"굴뗏목양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상)
(참고문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
|사진=민족_일러_굴뗏목양식.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굴뗏목양식
 
|대표명칭=굴뗏목양식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1970년대 어민 소득 증대에 기여한 굴 생산 방식의 하나.  
+
1970년대 어민 소득 증대에 기여한 굴 생산 방식의 하나이다.  
  
=='''설명'''==
+
=='''내용'''==
1970년 당시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양식 어업을 중점 개발 사업으로 삼았고, 그 중에서도 굴 양식에 사용된 방법이 굴뗏목양식이다. 대나무·쇠파이프 등으로 뗏목을 만들고 그 아래에 합성수지로 만든 뜸통을 달아서 부력을 크게 한 것에다 수하연<ref>垂下連. 양식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기를 꿴 줄</ref>을 매단 것이다. 이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굴 양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많이 쓰였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당시에는 재래 양식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하다며 각광받았으며 특히 남해안 충무 앞바다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
+
1970년 당시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양식 어업을 중점 개발 사업으로 삼았다. 그 중에서도 굴 양식에 사용된 방법이 굴뗏목양식이다. 대나무·쇠파이프 등으로 뗏목을 만들고 그 아래에 합성수지로 만든 뜸통을 달아서 부력을 크게 한 다음 물 속에 수하연<ref>垂下連. 양식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기를 꿴 줄</ref>을 매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굴 양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많이 썼으나 현재는 거의 쓰지 않는다. 그러나 당시에는 재래 양식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각광받았으며 특히 남해안 충무 앞바다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이용환-굴뗏목양식]] || [[굴뗏목양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굴뗏목]] || [[굴뗏목양식]]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굴뗏목양식]]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67/C06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가상현실===
 
===가상현실===
 
===갤러리===
 
===갤러리===
26번째 줄: 45번째 줄:
 
*'''대한뉴스 제 880호-남해안에 큰 굴공장(게시일: 2016년 12월 6일)'''
 
*'''대한뉴스 제 880호-남해안에 큰 굴공장(게시일: 2016년 12월 6일)'''
 
<html>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ec_ln7cTfo8"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3jX8snj_d-Y"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34번째 줄: 5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A%B5%B4 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2017년 7월 28일.
+
#*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A%B5%B4 굴]",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2017년 7월 28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분류:민족기록화 개념]]
 

2017년 12월 27일 (수) 00:19 기준 최신판

굴뗏목양식
(굴뗏목養殖)
민족 일러 굴뗏목양식.png
대표명칭 굴뗏목양식
한자표기 굴뗏목養殖
유형 기술



정의

1970년대 어민 소득 증대에 기여한 굴 생산 방식의 하나이다.

내용

1970년 당시 정부는 시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양식 어업을 중점 개발 사업으로 삼았다. 그 중에서도 굴 양식에 사용된 방법이 굴뗏목양식이다. 대나무·쇠파이프 등으로 뗏목을 만들고 그 아래에 합성수지로 만든 뜸통을 달아서 부력을 크게 한 다음 물 속에 수하연[1]을 매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굴 양식이 시작된 초기에는 많이 썼으나 현재는 거의 쓰지 않는다. 그러나 당시에는 재래 양식보다 위생적이면서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각광받았으며 특히 남해안 충무 앞바다에서 큰 성과를 얻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용환-굴뗏목양식 굴뗏목양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굴뗏목 굴뗏목양식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굴뗏목양식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880호-남해안에 큰 굴공장(게시일: 2016년 12월 6일)

주석

  1. 垂下連. 양식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부착기를 꿴 줄
  2. "잡는 漁業에서 기르는 漁場으로", 『경향신문』, 1973년 1월 19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위키백과 기여자, "", 『위키백과』online, 작성일:2017년 7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