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굴포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에 있는 당집으로, 정월 보름에 동제를 모셨다. 굴포당 이미지 크게보기 굴포당 해마다 정월 보름에 마을...)
 
(참고문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에 있는 당집으로, 정월 보름에 동제를 모셨다.
+
{{장소정보
굴포당
+
|사진= 민족기록화_문화유산_진도 굴포당_1.jpg
이미지 크게보기
+
|사진출처=  나경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굴포당
+
|대표명칭= 진도 굴포당
해마다 정월 보름에 마을 제사인 동제(洞祭)를 모시던 당집(제당, 신당)이다. 2005년부터 동제가 중단되면서 당집으로서의 기능은 사라지고 현재 건물만 남아 있다. 초가로 된 단칸집이었다가 1986년 한옥과 양옥을 혼합한 형태로 개축되어 오늘에 이르며, 당집 옆에는 고산 윤선도가 심었다고 전해지는 소나무 고목이 있다.
+
|한자표기= 珍島 掘浦堂
 
+
|영문명칭=
원래 마을 입구에 할머니당, 마을 위쪽에 할아버지당 등 두 곳의 당집이 있었으나 현재 할아버지당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현재 할머니당 자리에는 고려 무신정권 때 삼별초를 이끌었던 장수 배중손(裵仲孫 ?~1271)을 기리는 사당인 정충사(精忠祠)가 세워져 있다.
+
|이칭= 굴포당  
 
+
|유형= 
언제부터 당집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당집 앞에 있는 골포신당유적비(掘浦神堂遺蹟碑)에 몽골군에 항전하다 희생된 삼별초 장수 배중손과 김통정(金通精 ?~1273)을 비롯한 많은 병사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소나무와 귀목나무(느티나무)를 심고 제당을 지어 제를 모시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네이버 지식백과] 굴포당 [掘浦堂] (두산백과)
+
|위도=
 
+
|경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47276&cid=40942&categoryId=32175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진도 정충사]]
 +
}}
 +
=='''정의'''==
 +
정월 보름에 동제를 모셨던 제당으로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에 있다.
  
 +
=='''내용'''==
 +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는 매년 정월 보름이면 마을 제사인 당제를 지내왔으나, 2005년부터는 지내지 않는다. 당제를 모실 때 사용하는 제당을 이곳에서는 당집이라고 부르는데, 당집은 본래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 두 곳이었으나 현재는 하나만 남아 있다.<br/>
 +
제당은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 두 곳이 있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할아버지당은 굴포리 마을 위쪽에 있고, 지금은 사라진 할머니당은 마을 입구에 있었다.
 +
<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건립경위===
 +
당집 앞에 세워진 굴포신당유적비(掘浦神堂遺蹟碑)에 당을 짓고 당제를 지내게 된 내력을 밝혀놓고 있다. [[삼별초]] 장군이었던 [[배중손]]과 [[김통정]]이 몽고군에 대항해서 싸움을 하는 동안 많은 전몰장병이 생겼는데, 이들을 위로할 목적으로 소나무와 귀목나무를 심고 제당을 지어 제를 올리기 시작했다고 나와 있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분야
+
===변천===
생활·민속/민속, 문화유산/유형 유산
+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은 원래 모두 초가로 된 단칸집이었다. 한때 할아버지당은 태풍으로 인해 무너지기도 했는데 1986년에 두 당집 모두 개수하였다. 그 때 할아버지 당집 앞에는 조경을 위하여 인조목재로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의 두 장승을 세웠다. 굴포신당유적비를 통해서도 1986년 개수할 때 신당과 함께 장승을 세웠음을 알 수 있지만, 현재 장승은 없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시대
 
현대/현대
 
출처
 
디지털진도문화대전-굴포당
 
목차
 
정의개설건립경위위치변천형태현황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에서 매년 모시는 동제의 제당.
+
===형태===
 +
현재 할아버지당은 대문채를 갖춘 단칸집이며, 대문채와 당집 모두 맞배기와지붕이다. 할머니당이 있던 곳에는 현재 [[진도 정충사|정충사(精忠祠)]]라고 하는 [[진도 정충사|배중손 사당]]이 세워져 있다. 사당 옆에는 '굴포신당유적비'를 세워 그곳이 당제를 모시던 할머니당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개설
+
===현황===
 +
현재는 마을 위쪽에 남은 할아버지당에서 정월 보름에 당제를 지내고 있다. 부근에는 [[윤선도|고산 윤선도]]가 이곳 굴포에 원뚝을 막아 개간지를 만들 때 심었다고 전하는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는 매년 정월 보름이면 마을 제사인 당제를 모셔왔다. 그러나 2005년부터는 모시지 않는다. 당제를 모실 때 사용하는 제당을 이곳에서는 당집이라고 부르는데, 당집은 본래 두 곳이었으나 현재는 하나만 남아 있다.
+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8/C018.htm "삼별초의 대몽항전"(김서봉)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18/C01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건립경위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진도 굴포당]] || [[배중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진도 굴포당]] || [[삼별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진도 남도석성]] || [[진도 굴포당]]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진도 정충사]] || [[진도 굴포당]]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당집 앞에 세워진 굴포신당유적비(掘浦神堂遺蹟碑)에서는 당을 짓고 당제를 지내게 된 내력을 밝혀놓고 있다. 삼별초 장군이었던 배중손과 김통정이 몽고군에 대항해서 싸움을 하면서 많은 전몰장병이 생겼는데, 이들을 위무할 목적으로 소나무와 귀목나무를 심고 제당을 지어 제를 모시기 시작했다고 나와 있다.
+
=='''시각자료'''==
 +
===가상현실===
  
위치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제당은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 두 곳이 있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할아버지당은 굴포리 마을 위쪽에 있고, 지금은 사라진 할머니당은 마을 입구에 있었다.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진도 굴포당_1.jpg|굴포당 정면 사진<ref>나경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gallery>
  
변천
+
===영상===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은 원래 모두 초가로 된 단칸집이었다. 한때 할아버지당은 태풍으로 인해 무너지기도 했는데 1986년에 두 당집 모두 개수되었다. 개수하면서 할아버지 당집 앞에는 조경을 위하여 인조목재로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의 두 장승을 세웠다. 굴포신당유적비를 통해서도 1986년 개수할 때 신당과 함께 장승을 세웠음을 알 수 있지만, 현재 장승은 없다.
+
=='''주석'''==
 +
<references/>
  
형태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나경수,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201802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재 할아버지당은 대문채를 갖춘 단칸집이며, 대문채와 당집 모두 맞배기와지붕이다. 할머니당이 있던 곳에는 현재 정충사(精忠祠)라고 하는 배중손 사당이 세워져 있다. 사당 옆에는 ‘굴포신당유적비’를 세워 그곳이 당제를 모시던 할머니당이었던 곳임을 알려주고 있다.
+
===유용한 정보===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9003 굴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현황
 
  
현재는 마을 위쪽에 남은 할아버지당에서 정월 보름 당제를 지내고 있다. 부근에는 고산 윤선도가 이곳 굴포에 원뚝을 막아 개간지를 만들 때 심었다고 전하는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
[네이버 지식백과] 굴포당 [掘浦堂]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29753&cid=51952&categoryId=55355
 

2017년 12월 27일 (수) 00:05 기준 최신판

진도 굴포당(珍島 掘浦堂)
나경수,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진도 굴포당
한자표기 珍島 掘浦堂
이칭 굴포당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관련유물유적 진도 정충사


정의

정월 보름에 동제를 모셨던 제당으로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에 있다.

내용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는 매년 정월 보름이면 마을 제사인 당제를 지내왔으나, 2005년부터는 지내지 않는다. 당제를 모실 때 사용하는 제당을 이곳에서는 당집이라고 부르는데, 당집은 본래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 두 곳이었으나 현재는 하나만 남아 있다.
제당은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 두 곳이 있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할아버지당은 굴포리 마을 위쪽에 있고, 지금은 사라진 할머니당은 마을 입구에 있었다. [1]

건립경위

당집 앞에 세워진 굴포신당유적비(掘浦神堂遺蹟碑)에 당을 짓고 당제를 지내게 된 내력을 밝혀놓고 있다. 삼별초 장군이었던 배중손김통정이 몽고군에 대항해서 싸움을 하는 동안 많은 전몰장병이 생겼는데, 이들을 위로할 목적으로 소나무와 귀목나무를 심고 제당을 지어 제를 올리기 시작했다고 나와 있다.[2]

변천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은 원래 모두 초가로 된 단칸집이었다. 한때 할아버지당은 태풍으로 인해 무너지기도 했는데 1986년에 두 당집 모두 개수하였다. 그 때 할아버지 당집 앞에는 조경을 위하여 인조목재로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의 두 장승을 세웠다. 굴포신당유적비를 통해서도 1986년 개수할 때 신당과 함께 장승을 세웠음을 알 수 있지만, 현재 장승은 없다.[3]

형태

현재 할아버지당은 대문채를 갖춘 단칸집이며, 대문채와 당집 모두 맞배기와지붕이다. 할머니당이 있던 곳에는 현재 정충사(精忠祠)라고 하는 배중손 사당이 세워져 있다. 사당 옆에는 '굴포신당유적비'를 세워 그곳이 당제를 모시던 할머니당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4]

현황

현재는 마을 위쪽에 남은 할아버지당에서 정월 보름에 당제를 지내고 있다. 부근에는 고산 윤선도가 이곳 굴포에 원뚝을 막아 개간지를 만들 때 심었다고 전하는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도 굴포당 배중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도 굴포당 삼별초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진도 남도석성 진도 굴포당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진도 정충사 진도 굴포당 A는 B와 인접해 있다 A ekc:isNear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나경수,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나경수,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1. "굴포당",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