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수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사건정보
|사진=
+
|사진=민족_일러_강전투1.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사수대첩
 
|대표명칭=사수대첩
17번째 줄: 17번째 줄:
  
 
=='''정의'''==
 
=='''정의'''==
662년 [[합장강|사수]] 유역에서 고구려와 당나라가 벌인 전투.<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662년 [[평양]] 부근인 [[합장강|사수]] 유역에서 고구려와 당나라가 벌인 전투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내용'''==
 
=='''내용'''==
 
===배경===
 
===배경===
당나라는 태종(太宗) 때인 644년과 647년 두 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침공했으나 모두 크게 패했고, 649년 태종이 죽은 뒤에는 한동안 고구려를 침공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660년 신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다시 고구려를 침공했다.<br/>
+
당나라는 태종(太宗) 때인 644년과 647년 두 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침공했으나 모두 크게 패했고, 649년 태종이 죽은 뒤에도 한동안 고구려를 침공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660년 신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다시 고구려를 침공했다.<br/>
당나라 고종(高宗)은 660년(보장왕 19년) 11월에 이어 661년(보장왕 20년) 봄 4만4천여 명의 병사를 고구려에 추가 파병했다. 나아가 여름 4월에는 [[임아상]](任雅相)패강도행군총관, [[계필하력]]요동도행군총관, [[소정방]]을 평양도행군총관으로 삼아서, 35만의 병력을 이끌고 수륙으로 길을 나누어 동시에 고구려를 공격하게 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당나라 고종(高宗)은 660년([[고구려 보장왕]] 19년) 11월에 이어 661년(보장왕 20년) 봄 4만4천여 명의 병사를 고구려에 추가 파병했다. 나아가 여름 4월에는 [[임아상]](任雅相)패강도행군총관, [[계필하력]]요동도행군총관, [[소정방]]이 평양도행군총관이 되어, 35만의 병력을 이끌고 수륙으로 길을 나누어 동시에 고구려를 공격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전개===
 
===전개===
[[소정방]]이 이끈 평양도행군의 병력은 661년 가을 8월에 [[대동강|패강]](浿江)에서 고구려군에 승리를 거두어 [[마읍산]](馬邑山)을 점령하고 [[평양성]]을 포위했다. 당나라 군대가 요동 방면으로도 침공해오자 9월에 [[연개소문]]은 아들인 [[연남생]](淵男生)을 보내 [[압록강]]을 경계로 당나라 군대를 막게 했다. [[연남생]]당나라 군대의 도하를 저지하였으나, 겨울이 되어 강이 얼자 계필하력이 이끈 당나라 군대는 얼음 위로 강을 건너 공격해왔다. 고구려군은 패했고 3만여 명의 병사를 잃었으나, [[계필하력]]이 이끈 요동도행군 병력은 곧 물러났다.<br/>
+
[[소정방]]이 이끈 평양도행군의 병력은 661년 가을 8월에 [[대동강|패강]](浿江)에서 고구려군에 승리를 거두어 [[마읍산]](馬邑山)을 점령하고 [[평양성]]을 포위했다. 당나라 군대가 요동 방면으로도 침공해오자 9월에 [[연개소문]]은 아들인 [[연남생]](淵男生)을 보내 [[압록강]]을 경계로 당나라 군대를 막게 했다. [[연남생]]당나라 군대의 도하를 저지하였으나, 겨울이 되어 강이 얼자 계필하력이 이끈 당나라 군대는 얼음 위로 강을 건너 공격해왔다. 고구려군은 패했고 3만여 명의 병사를 잃었으나, [[계필하력]]이 이끈 요동도행군 병력은 곧 물러났다.<br/>
그러자 [[연개소문]]이 이끈 고구려 군대는 662년 봄 정월에 [[합장강|사수]] 유역에 주둔하던 당나라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전멸했으며, [[방효태]]도 그의 열세 명의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662년 정월 봄이 되어 날이 풀리자 [[연개소문]]이 이끈 고구려 군대는 662년 봄 정월에 [[합장강|사수]] 유역에 주둔하던 당나라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전멸했으며, [[방효태]]도 그의 열세 명의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70228001547472 사수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결과===
 
===결과===
사수 전투에서 [[방효태]]의 군대가 전멸되자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의 군대는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의 군량 지원을 받고 철수하였다.<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88%98_%EC%A0%84%ED%88%AC 사수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
사수 전투에서 [[방효태]]의 군대가 전멸하자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의 군대는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의 군량 지원을 받고 철수하였다.<ref>위키백과 기여자,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88%98_%EC%A0%84%ED%88%AC 사수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7년 6월 28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74번째 줄: 74번째 줄: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72 연개소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노태돈,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6672 연개소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3980 연개소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3980 연개소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누/수정요망]]
 

2017년 12월 26일 (화) 23:17 기준 최신판

사수대첩(蛇水大捷)
민족 일러 강전투1.png
대표명칭 사수대첩
한자표기 蛇水大捷
유형 전투
시대 삼국
날짜 662년
관련인물 연개소문,방효태
관련장소 사수



정의

662년 평양 부근인 사수 유역에서 고구려와 당나라가 벌인 전투이다.[1]

내용

배경

당나라는 태종(太宗) 때인 644년과 647년 두 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침공했으나 모두 크게 패했고, 649년 태종이 죽은 뒤에도 한동안 고구려를 침공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나 660년 신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다시 고구려를 침공했다.
당나라 고종(高宗)은 660년(고구려 보장왕 19년) 11월에 이어 661년(보장왕 20년) 봄 4만4천여 명의 병사를 고구려에 추가 파병했다. 나아가 여름 4월에는 임아상(任雅相)이 패강도행군총관, 계필하력이 요동도행군총관, 소정방이 평양도행군총관이 되어, 35만의 병력을 이끌고 수륙으로 길을 나누어 동시에 고구려를 공격하였다.[2]

전개

소정방이 이끈 평양도행군의 병력은 661년 가을 8월에 패강(浿江)에서 고구려군에 승리를 거두어 마읍산(馬邑山)을 점령하고 평양성을 포위했다. 당나라 군대가 요동 방면으로도 침공해오자 9월에 연개소문은 아들인 연남생(淵男生)을 보내 압록강을 경계로 당나라 군대를 막게 했다. 연남생이 당나라 군대의 도하를 저지하였으나, 겨울이 되어 강이 얼자 계필하력이 이끈 당나라 군대는 얼음 위로 강을 건너 공격해왔다. 고구려군은 패했고 3만여 명의 병사를 잃었으나, 계필하력이 이끈 요동도행군 병력은 곧 물러났다.
662년 정월 봄이 되어 날이 풀리자 연개소문이 이끈 고구려 군대는 662년 봄 정월에 사수 유역에 주둔하던 당나라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했다. 이 전투에서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전멸했으며, 방효태도 그의 열세 명의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3]

결과

사수 전투에서 방효태의 군대가 전멸하자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의 군대는 김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의 군량 지원을 받고 철수하였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사수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사수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연개소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사수대첩 사수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연개소문 사수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연개소문 임아상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연개소문 방효태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사수전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사수전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사수전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위키백과 기여자, "사수 전투", 『위키백과』online,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사수전투",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위키백과 기여자, "사수 전투", 『위키백과』online, 작성일: 2017년 6월 28일.

유용한 정보

  1. 노태돈, "연개소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연개소문", 『doopedia』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