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소카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상현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정의'''==
 
=='''정의'''==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제3대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448 아소카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인도를 처음으로 통일한 [[마우리아 왕조|마우리아 제국]]의 제3대 왕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448 아소카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내용'''==
 
=='''내용'''==
===마우리아 왕조===
 
[[찬드라굽타]](기원전 4세기말~3세기초)는 독자적인 세력을 키워 기원전 322년~317년 사이 마가다 왕국의 [[난다왕]]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창건했다. [[찬드라굽타]]는 그리스 세력을 견제하면서 [[인더스강]]과 [[갠지스강]] 유역의 넓은 지역으로 지배력을 확장시켰다. 오늘날 인도 비하르주의 주도 파트나시 지역에 자리했던 [[마우리아 왕조|마우리아 제국]]의 수도 [[파탈리푸트라]]는 페르시아, 그리스 상인을 포함한 다양한 인종과 종족 출신 사람들이 왕래하는 국제도시로서 번영을 누렸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인도 최초의 통일제국 건설===
 
===인도 최초의 통일제국 건설===
아소카왕은 [[찬드라굽타]]의 손자로, 왕자 시절부터 부왕(父王) [[빈두사라]]의 팽창 정책을 도와 명성을 쌓아 나갔다. 즉위 후 8년 되는 해에는 동남 벵골만 해안에 위치한 칼링가(Kalinga)국을 무력으로 정복하였다. 이로써 [[마우리아 왕조]]는 제3대 아소카왕 시대(약 기원전 273~232년)에 전성기를 누려, 아소카왕 시대에 제국의 판도는 서쪽으로는 오늘날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쪽으로는 오늘날의 방글라데시와 인도 아셈주 지역, 남쪽으로는 타밀나두 지역을 제외한 인도 남부 케랄라주에 이르렀다. 남부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사실상 인도아대륙(亞大陸) 전역을 아우르는 대제국으로 성장했던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아소카왕은 [[마우리아 왕조]]를 창건한 [[찬드라굽타]]의 손자로, 왕자 시절부터 부왕(父王) [[빈두사라]]의 팽창 정책을 도와 명성을 쌓아 나갔다. 즉위 후 8년이 되었을 때 동남 벵골만 해안에 위치한 칼링가(Kalinga)국을 무력으로 정복하였다. 이로써 [[마우리아 왕조]]는 제3대 아소카왕 시대(약 기원전 273~232년)에 전성기를 맞았다. 아소카왕 시대에 제국의 판도는 서쪽으로는 오늘날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쪽으로는 오늘날의 방글라데시와 인도 아셈주 지역, 남쪽으로는 타밀나두 지역을 제외한 인도 남부 케랄라주에 이르렀다. 남부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사실상 인도아대륙(亞大陸) 전역을 아우르는 대제국으로 성장한 것이다.<ref>"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호불(護佛) 정책===
 
===호불(護佛) 정책===
무력에 의한 정복전쟁이 불러온 참상에 죄책감을 느낀 아소카왕은 무력정복 방침을 버리고 불법(darma)에 의한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추구하였다. 그는 상용어인 팔리(Pali)어로 불경을 수집하고 10년간 불교 유적지를 순례하면서 도처에 불탑을 세우고 불법을 역설하였다. 또한 정책이나 칙령·법령 등을 새긴 [[아소카왕 석주|석주]](石柱)를 전국 30여 소에 세웠다. 높이 40~50척(13~16m)에 무게가 최소한 50~60톤이나 나가는 이 [[아소카왕 석주|석주]]는 뛰어난 조각예술로 장식되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83216&cid=55573&categoryId=55573 아소카왕]", 실크로드 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이는 인도 역사상 최초의 통일 제국인 [[마우리아 왕조]]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유물이자, 오늘날 인도의 국가 상징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
무력에 의한 정복전쟁이 불러온 참상에 죄책감을 느낀 아소카왕은 무력정복 방침을 버리고 불법(darma)에 의한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추구하였다. 그는 상용어인 팔리(Pali)어로 불경을 수집하고 10년간 불교 유적지를 순례하면서 도처에 불탑을 세우고 불법을 역설하였다. 또한 정책이나 칙령·법령 등을 새긴 [[아소카왕 석주|석주]](石柱)를 전국 30여 소에 세웠다. 높이 40~50척(13~16m)에 무게가 최소한 50~60톤이나 나가는 이 [[아소카왕 석주|석주]]는 뛰어난 조각예술로 장식되었다. <ref>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83216&cid=55573&categoryId=55573 아소카왕]", 실크로드 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이는 인도 역사상 최초의 통일 제국인 [[마우리아 왕조]]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유물이자, 오늘날 인도를 대표하는 국가 상징이기도 하다.<ref>"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아소카가 남긴 가장 큰 업적은 무엇보다도 불교를 지방(북인도) 종교에서 세계적 종교로 격상시킨 것이다. 그는 스리랑카, 미얀마, 시리아, 이집트, 마케도니아, 그리스, 북아프리카 등 유라시아 여러 지역과 나라에 불교 포교단을 파견하였다. 특히 스리랑카에는 두 차례나 왕자 [[마헨드라]](Mahendra)와 딸 [[산가미트라]](Sanghamitra)를 파견해 포교에 성공하였다. 이로 인해 스리랑카는 남방불교(소승불교)의 근거지가 되어 여기서부터 미얀마, 타이, 수마트라, 자바 등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불교가 전파되었다.<ref>"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아소카가 남긴 가장 큰 업적은 무엇보다도 불교를 지방(북인도) 종교의 지위에서 세계적 종교로 격상시킨 것이다. 그는 스리랑카 · 미얀마 · 시리아 · 이집트 · 마케도니아 · 그리스 · 북아프리카 등 유라시아 여러 지역과 나라에 불교 포교단을 파견하였다. 특히 스리랑카에는 두 차례나 왕자 [[마헨드라]](Mahendra)와 딸 [[산가미트라]](Sanghamitra)를 파견해 포교에 성공하였다. 이로 인해 스리랑카는 남방불교(소승불교)의 근거지가 되어 여기서 미얀마 · 타이 · 수마트라 · 자바 등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불교가 전파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황룡사 건축===
 
===황룡사 건축===
[[경주 황룡사]] 건축 당시 아소카왕과 관련된 기록이 『[[삼국유사]]』에 전해져 내려온다. 573년 3월 하곡현(河曲懸) 사포(絲浦)에 서역에서 온 큰 배가 닿았다. 이 배에는 인도의 아소카왕이 보낸 편지와 황금 3만푼, 황철 5만7,000근이 실려 있었다. 편지에는 아소카왕이 석가삼존불을 주조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황금과 황철을 배에 실어 인연 있는 국토에 가서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장육존상]]이 되기를 기원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배에는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장육상]]의 모형 불상도 함께 실려 있었다. 이에 [[신라 진흥왕|왕]]은 황금과 황철로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황룡사 장육존상]]을 만들었으며, 모형 불상은 사포 동쪽 부근의 깨끗한 곳을 골라 절을 짓고 모셨다.<ref>강정원,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525 울산의 설화 45.아소카왕과 동축사]", 『울산매일』, 2015년 7월 15일.</ref>
+
[[경주 황룡사]] 건축 당시 아소카왕과 관련된 기록이 『[[삼국유사]]』에 전해져 내려온다. 573년(신라 진흥왕 34) 3월 하곡현(河曲懸) 사포(絲浦)에 서역에서 온 큰 배가 닿았다. 이 배에는 인도의 아소카왕이 보낸 편지와 황금 3만푼, 황철 5만7,000근이 실려 있었다. 편지에는 아소카왕이 석가삼존불을 주조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황금과 황철을 배에 띄워 보내면서 인연 있는 국토에 가서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장육존상]]이 되기를 기원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배에는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장육상]]의 모형 불상도 함께 실려 있었다. 이에 [[신라 진흥왕|왕]]은 황금과 황철로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황룡사 장육존상]]을 만들었으며, 모형 불상은 사포 동쪽 부근의 깨끗한 곳을 골라 절을 짓고 모셨다.<ref>강정원,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525 울산의 설화 45.아소카왕과 동축사]", 『울산매일』, 2015년 7월 15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황룡사의 조영"(김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14/C014.htm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김충선)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12/C01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14/C01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70번째 줄: 79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encyves/Pavilions/C012/S001/S001.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갤러리===
 
===영상===
 
===영상===
78번째 줄: 9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448 아소카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0448 아소카왕]",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100&cid=59014&categoryId=5901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83216&cid=55573&categoryId=55573 아소카왕]", 실크로드 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83216&cid=55573&categoryId=55573 아소카왕]", 실크로드 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신문
 
 
#*강정원,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525 울산의 설화 45.아소카왕과 동축사]", 『울산매일』, 2015년 7월 15일.
 
#*강정원,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525 울산의 설화 45.아소카왕과 동축사]", 『울산매일』, 2015년 7월 15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12월 25일 (월) 02:09 기준 최신판

아소카왕(金剛智)
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대표명칭 아소카왕
한자표기 金剛智
영문명칭 Ashoka
생몰년 B.C. 273(?)-B.C. 232
이칭 아육왕(阿育王),아수가(阿輸迦)
국적 인도
빈두사라
자녀 마헨드라,산가미트라
전임자 빈두사라
유형



정의

인도를 처음으로 통일한 마우리아 제국의 제3대 왕이다.[1]

내용

인도 최초의 통일제국 건설

아소카왕은 마우리아 왕조를 창건한 찬드라굽타의 손자로, 왕자 시절부터 부왕(父王) 빈두사라의 팽창 정책을 도와 명성을 쌓아 나갔다. 즉위 후 8년이 되었을 때 동남 벵골만 해안에 위치한 칼링가(Kalinga)국을 무력으로 정복하였다. 이로써 마우리아 왕조는 제3대 아소카왕 시대(약 기원전 273~232년)에 전성기를 맞았다. 아소카왕 시대에 제국의 판도는 서쪽으로는 오늘날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쪽으로는 오늘날의 방글라데시와 인도 아셈주 지역, 남쪽으로는 타밀나두 지역을 제외한 인도 남부 케랄라주에 이르렀다. 남부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사실상 인도아대륙(亞大陸) 전역을 아우르는 대제국으로 성장한 것이다.[2]

호불(護佛) 정책

무력에 의한 정복전쟁이 불러온 참상에 죄책감을 느낀 아소카왕은 무력정복 방침을 버리고 불법(darma)에 의한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추구하였다. 그는 상용어인 팔리(Pali)어로 된 불경을 수집하고 10년간 불교 유적지를 순례하면서 도처에 불탑을 세우고 불법을 역설하였다. 또한 정책이나 칙령·법령 등을 새긴 석주(石柱)를 전국 30여 소에 세웠다. 높이 40~50척(13~16m)에 무게가 최소한 50~60톤이나 나가는 이 석주는 뛰어난 조각예술로 장식되었다. [3]이는 인도 역사상 최초의 통일 제국인 마우리아 왕조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유물이자, 오늘날 인도를 대표하는 국가 상징이기도 하다.[4]
아소카가 남긴 가장 큰 업적은 무엇보다도 불교를 지방(북인도) 종교에서 세계적 종교로 격상시킨 것이다. 그는 스리랑카, 미얀마, 시리아, 이집트, 마케도니아, 그리스, 북아프리카 등 유라시아 여러 지역과 나라에 불교 포교단을 파견하였다. 특히 스리랑카에는 두 차례나 왕자 마헨드라(Mahendra)와 딸 산가미트라(Sanghamitra)를 파견해 포교에 성공하였다. 이로 인해 스리랑카는 남방불교(소승불교)의 근거지가 되어 여기서부터 미얀마, 타이, 수마트라, 자바 등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불교가 전파되었다.[5]

황룡사 건축

경주 황룡사 건축 당시 아소카왕과 관련된 기록이 『삼국유사』에 전해져 내려온다. 573년(신라 진흥왕 34) 3월 하곡현(河曲懸) 사포(絲浦)에 서역에서 온 큰 배가 닿았다. 이 배에는 인도의 아소카왕이 보낸 편지와 황금 3만푼, 황철 5만7,000근이 실려 있었다. 편지에는 아소카왕이 석가삼존불을 주조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황금과 황철을 배에 띄워 보내면서 인연 있는 국토에 가서 장육존상이 되기를 기원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배에는 장육상의 모형 불상도 함께 실려 있었다. 이에 은 황금과 황철로 황룡사 장육존상을 만들었으며, 모형 불상은 사포 동쪽 부근의 깨끗한 곳을 골라 절을 짓고 모셨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아소카왕 빈두사라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빈두사라 찬드라굽타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아소카왕 마우리아 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빈두사라 마우리아 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찬드라굽타 마우리아 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소카왕 아소카왕 석주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소카왕 경주 황룡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소카왕 경주 황룡사 장육존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아소카왕 삼국유사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아소카왕",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아소카왕", 실크로드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강정원, "울산의 설화 45.아소카왕과 동축사", 『울산매일』, 2015년 7월 15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아소카왕",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표정훈, 2009. 온라인 참조: "아소카왕", 인물세계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아소카왕", 실크로드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강정원, "울산의 설화 45.아소카왕과 동축사", 『울산매일』, 2015년 7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