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항목) |
(→시각자료) |
||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찬자=[[최충|최충(崔冲)]] | |찬자=[[최충|최충(崔冲)]] | ||
|서자=[[김거웅|김거웅(金巨雄)]] | |서자=[[김거웅|김거웅(金巨雄)]] | ||
− | |각자=[[정원|정원(貞元)]], [[계상|계상(契想)]], [[혜명|혜명(惠明)]], [[득래|득래(得來)]], [[혜보|혜보(惠保)]] | + | |각자=[[정원(각승)|정원(貞元)]], [[계상|계상(契想)]], [[혜명|혜명(惠明)]], [[득래|득래(得來)]], [[혜보|혜보(惠保)]] |
|서체=[[해서(楷書)]] | |서체=[[해서(楷書)]] | ||
|승려=[[지종|지종(智宗)]] | |승려=[[지종|지종(智宗)]] | ||
|건립연대=1025년 | |건립연대=1025년 | ||
|승탑=[[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승탑=[[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
− | |||
}} | }} | ||
=='''정의'''== | =='''정의'''== | ||
−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원주 거돈사지|거돈사지(居頓寺址)]]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지종|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930-1018)]]의 탑비. | +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원주 거돈사지|거돈사지(居頓寺址)]]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지종|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930-1018)]]의 [[탑비]]. |
=='''내용'''== | =='''내용'''== | ||
===개요=== | ===개요=== | ||
− | + | 비신(碑身)<ref>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ref>의 높이 252㎝, 너비 124.5㎝. 이 탑비는 전체적으로 비신은 가늘고 상부는 비대한 조형 경향을 보여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847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귀부|귀부(龜趺)]]의 거북머리가 용머리같이 변화하였는데 양쪽 귀 뒤가 물고기 지느러미같이 되어 있다. 귀갑문 안에는 만(卍)자와 연꽃무늬가 교대로 장식되었다. 비머리인 [[이수|이수(螭首)]]에는 구름 위에 요동치는 용이 불꽃에 싸인 보주를 다투어 물고자 하는 모습을 섬세하고 화려하게 조각하였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561&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기남부와 남한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최충|최충(崔沖)]]이 글을 짓고, [[김거웅|김거웅(金巨雄)]]이 글씨를 썼다. 비문에 새긴 글씨는 [[해서|해서(楷書)]]인데, 중국 [[구양순|구양순(歐陽詢)]]의 서법을 이어받은 것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여러 비에 새긴 글 중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중국에 비교해서도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780000,32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1963년 보물 제78호로 지정되었다. | |
===비문=== | ===비문=== | ||
− | 비문에는 [[지종|원공국사(圓空國師)]]의 생애가 기술되어있다. [[지종|원공국사 지종]]은 태어나 [[양평 사나사|사나사(舍那寺)]]에 있던 인도 홍범(弘梵)에게 출가하여 수학하고 [[고려 광종|광종]] 때 실시한 | + | 비문에는 [[지종|원공국사(圓空國師)]]의 생애가 기술되어있다. [[지종|원공국사 지종]]은 태어나 [[양평 사나사|사나사(舍那寺)]]에 있던 인도 [[홍범|홍범(弘梵)]]에게 출가하여 수학하고 [[고려 광종|광종]] 때 실시한 [[승과|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 955년에는 오월(吳越)에 가서 [[영명연수|영명연수(永明延壽)]]에게서 법을 전해 받고 국청사에서 [[정광|정광(淨光)]]을 만나고 법화(法華)를 강론하는 등 활동을 했다. 962년에는 고려에 돌아와 [[고려 광종|광종]]과 [[고려 경종|경종]], [[고려 성종|성종]], [[고려 목종|목종]], [[고려 현종|현종]]에게 대대로 우대를 받았으며, 1013년([[고려 현종|현종]] 4)에 왕사(王師)에 책봉되어 [[원주 거돈사지|거돈사(居頓寺)]]에서 입적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37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 | == | + | {{비문정보 |
− | " | + | |비문1=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3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비문2="[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37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
+ | |비문3=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0/stele_jijong_geod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최충]]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최충]]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김거웅]]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김거웅]]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 || A는 B에 있었다 || |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 ||
− | |[[원주 거돈사지]] || [[원주 거돈사]] || A는 B의 터이다 || | + | | [[원주 거돈사지]] || [[원주 거돈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0/Geod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0/Geodonsaji.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 |
+ | 파일:BHST_Geodonsaji_Wongong_stele.jpg|원공국사탑비 | ||
+ | 파일:BHST_Geodonsaji_Wongong_stupa-replica.jpg|원공국사탑(복제)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
60번째 줄: | 7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 +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6043#none 한국금석문집성 21 : 고려5 비문5]",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561&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561&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기남부와 남한강,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847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847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780000,32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780000,32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37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37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보물]] [[분류:탑비]] [[분류:승탑/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보물]] [[분류:탑비]]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2월 21일 (목) 14:28 기준 최신판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原州 居頓寺 圓空國師勝妙塔碑) |
|
대표명칭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ong at Geod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居頓寺 圓空國師勝妙塔碑 |
주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로 270(정산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7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최충(崔冲) |
서자 | 김거웅(金巨雄) |
각자 | 정원(貞元), 계상(契想), 혜명(惠明), 득래(得來), 혜보(惠保)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지종(智宗) |
건립연대 | 1025년 |
승탑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지(居頓寺址)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930-1018)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碑身)[1]의 높이 252㎝, 너비 124.5㎝. 이 탑비는 전체적으로 비신은 가늘고 상부는 비대한 조형 경향을 보여준다.[2] 귀부(龜趺)의 거북머리가 용머리같이 변화하였는데 양쪽 귀 뒤가 물고기 지느러미같이 되어 있다. 귀갑문 안에는 만(卍)자와 연꽃무늬가 교대로 장식되었다. 비머리인 이수(螭首)에는 구름 위에 요동치는 용이 불꽃에 싸인 보주를 다투어 물고자 하는 모습을 섬세하고 화려하게 조각하였다.[3] 최충(崔沖)이 글을 짓고, 김거웅(金巨雄)이 글씨를 썼다. 비문에 새긴 글씨는 해서(楷書)인데, 중국 구양순(歐陽詢)의 서법을 이어받은 것이다. 이는 고려시대의 여러 비에 새긴 글 중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중국에 비교해서도 조금도 뒤떨어지지 않는다.[4] 1963년 보물 제78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에는 원공국사(圓空國師)의 생애가 기술되어있다. 원공국사 지종은 태어나 사나사(舍那寺)에 있던 인도 홍범(弘梵)에게 출가하여 수학하고 광종 때 실시한 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 955년에는 오월(吳越)에 가서 영명연수(永明延壽)에게서 법을 전해 받고 국청사에서 정광(淨光)을 만나고 법화(法華)를 강론하는 등 활동을 했다. 962년에는 고려에 돌아와 광종과 경종, 성종, 목종, 현종에게 대대로 우대를 받았으며, 1013년(현종 4)에 왕사(王師)에 책봉되어 거돈사(居頓寺)에서 입적하였다.[5]
비문 보러가기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고려5 비문5", |
•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 관계망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최충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김거웅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원주 거돈사지 | 원주 거돈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두산백과』online .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기남부와 남한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21: 고려5 비문5』,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7 -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경기남부와 남한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두산백과』online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거돈사원공국사승묘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