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cyves 기사 표준 형식 예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
==기획 기사 표준 형식 예시==
 
*한글고문헌: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한글고문헌: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승탑비문: [[대각국사 의천의 삶과 문화유산]]
 
*승탑비문: [[대각국사 의천의 삶과 문화유산]]
4번째 줄: 6번째 줄:
 
*궁중기록화: [[정순왕후의 혼례식 - 왕실의 혼례 절차와 복식‎‎]]
 
*궁중기록화: [[정순왕후의 혼례식 - 왕실의 혼례 절차와 복식‎‎]]
  
==How to Cite Something You Found on a Website in APA Style<ref>Chelsea Lee. (November 18, 2010). How to Cite Something You Found on a Website in APA Style [Blog post]. Retrieved from http://blog.apastyle.org/apastyle/2010/11/how-to-cite-something-you-found-on-a-website-in-apa-style.html?_ga=1.127784334.2050835335.1479358700
+
==[[APA 웹 자원 인용 양식]]==
</ref>==
 
  
Imagine the Internet as a fried egg.
+
=='''<font color="purple">편집자 요청 사항</font>==
  
[[파일:CitationEgg.png]]
+
===교열한 부분 확인하는 법===
 +
* 편집자가 수정 제안한 부분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시됩니다. <br/>
 +
<p align="center">{{교열|원래 원고 텍스트|편집가 수정한 텍스트 또는 수정 지시 사항|편집자 이름}}</p>
  
The yolk contains easier to categorize content like journal articles and e-books. <br/>
+
===기사 기술 체계 관련===
Content in that egg white area may seem confusing to cite, but the template for references from this area is actually very simple, with only four pieces (author, date, title, and source): <br/>
+
<font color="red">
<html>
+
* '''주제별, 기사별로 일정하지 않았던 기사내 단락 순서와 헤딩을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통일하고자 합니다.  
<table border="1" cellpadding="3" cellspacing="0" width="90%">
+
*팀별로 1종의 예시 자료(1건의 기획 기사 또는 중심 기사 및 이 기사와 관련을 맺고 있는 다른 중심 기사, 문맥 기사: 현재 작업하고 있는 예시 자료)에 적용해 보시고 개선 사항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rt>
+
* 팀별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형식을 확정하겠습니다. (5월 11일 회의에서 논의)
<td bgcolor="#b5cc82" style="padding-left: 30px; padding-right: 5px; text-indent: -25px;">Author, A. (date). Title of document [Format description]. Retrieved from http://URL</td>
+
</font>
</tr>
+
<table border="1" width="95%" align="center" >
</table>
 
</html>
 
 
 
==Missing Pieces: How to Write an APA Style Reference Even Without All the Information<ref>Chelsea Lee. (May 17, 2012). Missing Pieces: How to Write an APA Style Reference Even Without All the Information [Blog post]. Retrieved from http://blog.apastyle.org/apastyle/2012/05/missing-pieces.html?_ga=1.20370747.2050835335.1479358700</ref>==
 
 
 
<html>
 
<p>The table below shows how to write an APA Style reference when information is missing. It is also <a href="http://blog.apastyle.org/files/missing-pieces---apa-style-reference-table.pdf">available for download as a PDF</a>.</p>
 
<table border="1" cellpadding="3" cellspacing="0" width="90%">
 
<tbody>
 
 
<tr>
 
<tr>
<td bgcolor="#b5cc82" rowspan="2" valign="bottom" width="13%">
+
<th width="6%">순서</th>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What’s missing?</strong></p>
+
<th width="25%">Level 2 헤딩</th>
</td>
+
<th width="25%">Level 3 헤딩</th>
<td bgcolor="#b5cc82"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valign="bottom" width="27%">
+
<th width="44%">비고</th>
<p><strong>Solution</strong></p>
 
</td>
 
<td bgcolor="#b5cc82"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valign="bottom" width="59%">
 
<p><strong>Reference template</strong></p>
 
</td>
 
 
</tr>
 
</tr>
 
<tr>
 
<tr>
<td bgcolor="#b5cc82" style="text-align: center;" valign="top" width="17%">
+
<td>1</td>
<p><strong>Position A</strong></p>
+
<td>
</td>
+
⚌⚌정의⚌⚌ <br/>
<td bgcolor="#b5cc82" style="text-align: center;" valign="top" width="17%">
+
또는 <br/>
<p><strong>Position B</strong></p>
+
⚌⚌개요⚌⚌<br/>
</td>
 
<td bgcolor="#b5cc82" style="text-align: center;" valign="top" width="17%">
 
<p><strong>Position C</strong></p>
 
 
</td>
 
</td>
<td bgcolor="#b5cc82" style="text-align: center;" valign="top" width="11%">
+
<td>없음</td>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Position D</strong></p>
+
<td>
 +
* 기획항목인 경우 '''개요'''
 +
* 기타 항목의 경우 '''정의'''
 
</td>
 
</td>
 
</tr>
 
</tr>
 
<tr>
 
<tr>
<td valign="top" width="13%">
+
<td>2</td>
<p>Nothing—all pieces are present</p>
+
<td>
</td>
+
⚌⚌설명⚌⚌<br/>
<td valign="top" width="29%">
+
또는 <br/>
<p>List information in the order of author, date, title (with description in square brackets if necessary for explanation of nonroutine information), and source</p>
+
⚌⚌내용⚌⚌<br/>
</td>
 
<td valign="top" width="15%">
 
<p>Author, A. A.</p>
 
</td>
 
<td valign="top" width="12%">
 
<p>(date).</p>
 
</td>
 
<td valign="top" width="17%">
 
<p><em>Title of document </em>[Format].</p>
 
<p><em>or</em></p>
 
<p>Title of document [Format].</p>
 
 
</td>
 
</td>
<td rowspan="8" width="11%">
+
<td>하위 단락의 헤딩은 주제별, 기사별로 '''자유롭게 적용'''하여도 무방</td>
<p>Retrieved from http://xxxxx</p>
+
<td>
<p><em>or</em></p>
+
* 대상 자료에 담긴 내용을 설명하는 기사인 경우 '''내용'''
<p>Retrieved Month Day, Year, from http://xxxxx</p>
+
* 그밖의 경우에는 '''설명'''
<p><em>or</em></p>
 
<p>Location: Publisher.</p>
 
<p><em>or</em></p>
 
<p>doi:xxxxx</p>
 
 
</td>
 
</td>
 
</tr>
 
</tr>
 
<tr>
 
<tr>
<td valign="top" width="13%">
+
<td>3</td>
<p>Author is missing</p>
+
<td>⚌⚌지식 관계망⚌⚌</td>
</td>
+
<td>
<td valign="top" width="29%">
+
⚌⚌⚌중심요소⚌⚌⚌<br/>
<p>Substitute title for author; then provide date and source</p>
+
⚌⚌⚌문맥요소⚌⚌⚌<br/>
</td>
+
⚌⚌⚌관계정보⚌⚌⚌<br/>
<td valign="top" width="15%">
+
⚌⚌⚌시간정보⚌⚌⚌<br/>
<p><em>Title of document </em>[Format].</p>
+
⚌⚌⚌공간정보⚌⚌⚌<br/>
<p><em>or</em></p>
+
또는<br/>
<p>Title of document [Format].</p>
+
⚌⚌⚌(특정 주제) 관련항목⚌⚌⚌
</td>
 
<td valign="top" width="12%">
 
<p>(date).</p>
 
 
</td>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7%">
+
<td>
<p>n/a</p>
+
* '''그래프'''는 소표제 없이 바로 Level 2 헤딩 밑에 삽입.
 +
*'''중심요소'''와 '''문맥요소'''는 최상위 기사(기획기사 또는 중심기사)에만 적용
 +
* '''(특정 주제) 관련항목''' 참조:
 
</td>
 
</td>
 
</tr>
 
</tr>
 
<tr>
 
<tr>
<td valign="top" width="13%">
+
<td>4</td>
<p><a class="zem_slink" href="http://en.wikipedia.org/wiki/Calendar_date" rel="wikipedia" target="_blank" title="Calendar date">Date</a> is missing</p>
+
<td>⚌⚌시각자료⚌⚌</td>
</td>
+
<td>
<td valign="top" width="29%">
+
⚌⚌⚌가상현실⚌⚌⚌<br/>
<p>Provide author, substitute <em>n.d.</em> for <em>no date</em>, and then give title and source</p>
+
⚌⚌⚌갤러리⚌⚌⚌<br/>
</td>
+
⚌⚌⚌영상⚌⚌⚌<br/>
<td valign="top" width="15%">
+
또는<br/>
<p>Author, A. A.</p>
+
⚌⚌⚌(주제별) 시각자료⚌⚌⚌
</td>
 
<td valign="top" width="12%">
 
<p>(n.d.).</p>
 
 
</td>
 
</td>
<td valign="top" width="17%">
+
<td>
<p><em>Title of document </em>[Format].</p>
+
* '''가상현실''' 창 사이즈:
<p><em>or</em></p>
+
* '''영상''' 창 사이즈:
<p>Title of document [Format].</p>
+
* '''갤러리''' 및  '''(주제별) 시각자료'''는 갤러리 형식으로 표시
 
</td>
 
</td>
 
</tr>
 
</tr>
 
<tr>
 
<tr>
<td valign="top" width="13%">
+
<td>5</td>
<p>Title is missing</p>
+
<td>⚌⚌주석⚌⚌</td>
</td>
+
<td>
<td valign="top" width="29%">
+
없음
<p>Provide author and date, describe document inside square brackets, and then give source</p>
 
</td>
 
<td valign="top" width="15%">
 
<p>Author, A. A.</p>
 
</td>
 
<td valign="top" width="12%">
 
<p>(date).</p>
 
 
</td>
 
</td>
<td valign="top" width="17%">
+
<td>
<p>[Description of document].</p>
+
* 위키의 각주 분류 기능을 사용할 경우 '''참고문헌'''의 Level 3 헤딩과 같은 체계 적용
 
</td>
 
</td>
 
</tr>
 
</tr>
 
<tr>
 
<tr>
<td valign="top" width="13%">
+
<td>6</td>
<p>Author and date are both missing</p>
+
<td>⚌⚌참고문헌⚌⚌</td>
</td>
+
<td>
<td valign="top" width="29%">
+
⚌⚌⚌인용 및 참조⚌⚌⚌<br/>
<p>Substitute title for author and <em>n.d.</em> for <em>no date</em>; then give source</p>
+
⚌⚌⚌더 읽을 거리⚌⚌⚌<br/>
</td>
+
⚌⚌⚌유용한 정보⚌⚌⚌<br/>
<td valign="top" width="15%">
 
<p><em>Title of document </em>[Format].</p>
 
<p><em>or</em></p>
 
<p>Title of document [Format].</p>
 
</td>
 
<td valign="top" width="12%">
 
<p>(n.d.).</p>
 
 
</td>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7%">
+
<td>
<p>n/a</p>
+
*'''인용 및 참조''' : 기사 본문 서술에서 인용하거나 참조한 문헌
 +
*'''더 읽을거리''' : 기사에서 제공하는 것 이상의 심화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자료에 대한 안내
 +
*'''유용한 정보''' : 독자의 관심에 따라 유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
 
</td>
 
</td>
 
</tr>
 
</tr>
 +
</table>
 +
 +
===틀 형식 관련===
 +
* 현재 사용중인 가로 폭 100%의 '''틀'''은 기사 유형에 따라 공간 낭비가 많다고 판단됩니다. 아래의 예시대로 틀 프레임 폭은 400px 대표 이미지 가로폭은 360px로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PC 및 모바일 가로 보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
* 틀의 '''대표명칭'''에 한자를 병기하는 경우가 아니면, 반드시 '''한자표기''' 속성 두어 한자로 어떻게 쓰는지 알게 하세요.
 +
<pre>
 +
<includeonly>
 +
<table class="Info" align="right" style="width:400px; font-size:100%; border:1px dotted #cccccc; margin: 2px 2px 2px 2px;" cellspacing="10">
 
<tr>
 
<tr>
<td valign="top" width="13%">
+
<td colspan="2" style="background:#002660; color:#ffffff; font-size:150%; text-align:center;">{{{대표명칭|}}}</td>
<p>Author and title are both missing</p>
 
</td>
 
<td valign="top" width="29%">
 
<p>Substitute description of document inside square brackets for author; then give date and source</p>
 
</td>
 
<td valign="top" width="15%">
 
<p>[Description of document].</p>
 
</td>
 
<td valign="top" width="12%">
 
<p>(date).</p>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7%">
 
<p>n/a</p>
 
</td>
 
 
</tr>
 
</tr>
<tr>
+
{{#if:{{{이미지|}}} | <tr>
<td valign="top" width="13%">
+
<td colspan="2">[[file:{{{이미지|}}}|360px|center|{{{사진출처|}}}]] </td>
<p>Date and title are both missing</p>
+
</tr> }}
</td>
+
{{#if:{{{한자표기|}}} | <tr>
<td valign="top" width="29%">
+
<th style="text-align:left; width:20%;">한자표기</th>
<p>Provide author, substitute <em>n.d.</em> for <em>no date</em>,<em> </em>describe document inside square brackets, and then give source</p>
+
<td style="text-align:left; width:40%;">{{{한자표기|}}}</td>
</td>
+
</tr> }}
<td valign="top" width="15%">
+
 
<p>Author, A. A.</p>
+
......
</td>
+
......
<td valign="top" width="12%">
+
......
<p>(n.d.).</p>
+
 
</td>
 
<td valign="top" width="17%">
 
<p>[Description of document].</p>
 
</td>
 
</tr>
 
<tr>
 
<td valign="top" width="13%">
 
<p>Author, date, and title are all missing</p>
 
</td>
 
<td valign="top" width="29%">
 
<p>Substitute description of document inside square brackets for author, substitute <em>n.d.</em> for <em>no date</em>, and then give source</p>
 
</td>
 
<td valign="top" width="15%">
 
<p>[Description of document].</p>
 
</td>
 
<td valign="top" width="12%">
 
<p>(n.d.).</p>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7%">
 
<p>n/a</p>
 
</td>
 
</tr>
 
<tr>
 
<td valign="top" width="13%">
 
<p>Source is missing</p>
 
</td>
 
<td valign="top" width="29%">
 
<p>Cite as personal communication (see §6.20) or find a substitute</p>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5%">
 
<p>n/a</p>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2%">
 
<p>n/a</p>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7%">
 
<p>n/a</p>
 
</td>
 
<td bgcolor="#F0F0F0" valign="top" width="11%">
 
<p>n/a</p>
 
</td>
 
</tr>
 
</tbody>
 
 
</table>
 
</table>
 +
</includeonly>
 +
</pre>
 +
 +
===지식 관계망 그래프 관련===
 +
 +
* '''그래프 생성 프로그램''' 수정하였습니다. /Encyves/System Folder에서 새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하세요.
 +
** Download: Make Grapth.bat, MakeGraph.exe, MakeGraph_self.exe
 +
** 새 프로그램을 쓰면, '''xxxx.lst'''에 대해 '''xxxx.htm'''과 '''xxxx_self.htm'''을 생성합니다. 
 +
** xxx.htm은 위키 링크 용, xxx_self.htm은 파빌리온에서 링크할 때 사용하세요.
 +
* 위키 문서에서 '''Graph html 파일을 링크'''하는 방법: 다음과 같이 하세요. 때때로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해결됩니다.
 +
<pre>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303/A3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pre>
 +
 +
===데이터 수정 요청===
 +
* '''"다산 정약용의 강잔에서의 발자취" 파빌리온 메뉴. 새로 제공한 Make Menu 프로그램으로 만드세요.''' : 수정하였습니다
 +
* '''학봉 종택 파노라마 이미지''': krpano tool 1.19의 MAKE PANO (MULTIRES) droplet.bat 로 다시 제작하세요. 이전 버전으로 제작하면 새로운 파빌리온 프로그램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화면 깨짐 현상 발생. : 학봉 종택 파노라마 수정했습니다.
  
==References==
+
[[분류:프로젝트관리]]
<references/>
 

2017년 11월 28일 (화) 23:20 기준 최신판

기획 기사 표준 형식 예시

APA 웹 자원 인용 양식

편집자 요청 사항

교열한 부분 확인하는 법

  • 편집자가 수정 제안한 부분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시됩니다.

원래 원고 텍스트편집가 수정한 텍스트 또는 수정 지시 사항 (편집자 이름)

기사 기술 체계 관련

  • 주제별, 기사별로 일정하지 않았던 기사내 단락 순서와 헤딩을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통일하고자 합니다.
  • 팀별로 1종의 예시 자료(1건의 기획 기사 또는 중심 기사 및 이 기사와 관련을 맺고 있는 다른 중심 기사, 문맥 기사: 현재 작업하고 있는 예시 자료)에 적용해 보시고 개선 사항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 팀별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형식을 확정하겠습니다. (5월 11일 회의에서 논의)

순서 Level 2 헤딩 Level 3 헤딩 비고
1

⚌⚌정의⚌⚌
또는
⚌⚌개요⚌⚌

없음
  • 기획항목인 경우 개요
  • 기타 항목의 경우 정의
2

⚌⚌설명⚌⚌
또는
⚌⚌내용⚌⚌

하위 단락의 헤딩은 주제별, 기사별로 자유롭게 적용하여도 무방
  • 대상 자료에 담긴 내용을 설명하는 기사인 경우 내용
  • 그밖의 경우에는 설명
3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문맥요소⚌⚌⚌
⚌⚌⚌관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특정 주제) 관련항목⚌⚌⚌

  • 그래프는 소표제 없이 바로 Level 2 헤딩 밑에 삽입.
  • 중심요소문맥요소는 최상위 기사(기획기사 또는 중심기사)에만 적용
  • (특정 주제) 관련항목 참조:
4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또는
⚌⚌⚌(주제별) 시각자료⚌⚌⚌

  • 가상현실 창 사이즈:
  • 영상 창 사이즈:
  • 갤러리(주제별) 시각자료는 갤러리 형식으로 표시
5 ⚌⚌주석⚌⚌

없음

  • 위키의 각주 분류 기능을 사용할 경우 참고문헌의 Level 3 헤딩과 같은 체계 적용
6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 거리⚌⚌⚌
⚌⚌⚌유용한 정보⚌⚌⚌

  • 인용 및 참조 : 기사 본문 서술에서 인용하거나 참조한 문헌
  • 더 읽을거리 : 기사에서 제공하는 것 이상의 심화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자료에 대한 안내
  • 유용한 정보 : 독자의 관심에 따라 유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

틀 형식 관련

  • 현재 사용중인 가로 폭 100%의 은 기사 유형에 따라 공간 낭비가 많다고 판단됩니다. 아래의 예시대로 틀 프레임 폭은 400px 대표 이미지 가로폭은 360px로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PC 및 모바일 가로 보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 틀의 대표명칭에 한자를 병기하는 경우가 아니면, 반드시 한자표기 속성 두어 한자로 어떻게 쓰는지 알게 하세요.
<includeonly>
<table class="Info" align="right" style="width:400px; font-size:100%; border:1px dotted #cccccc; margin: 2px 2px 2px 2px;" cellspacing="10">
<tr>
<td colspan="2" style="background:#002660; color:#ffffff; font-size:150%; text-align:center;">{{{대표명칭|}}}</td>
</tr>
{{#if:{{{이미지|}}} | <tr>
<td colspan="2">[[file:{{{이미지|}}}|360px|center|{{{사진출처|}}}]] </td>
</tr> }}
{{#if:{{{한자표기|}}} | <tr>
<th style="text-align:left; width:20%;">한자표기</th>
<td style="text-align:left; width:40%;">{{{한자표기|}}}</td>
</tr> }}

......
......
......

</table>
</includeonly>

지식 관계망 그래프 관련

  • 그래프 생성 프로그램 수정하였습니다. /Encyves/System Folder에서 새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하세요.
    • Download: Make Grapth.bat, MakeGraph.exe, MakeGraph_self.exe
    • 새 프로그램을 쓰면, xxxx.lst에 대해 xxxx.htmxxxx_self.htm을 생성합니다.
    • xxx.htm은 위키 링크 용, xxx_self.htm은 파빌리온에서 링크할 때 사용하세요.
  • 위키 문서에서 Graph html 파일을 링크하는 방법: 다음과 같이 하세요. 때때로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해결됩니다.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303/A3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데이터 수정 요청

  • "다산 정약용의 강잔에서의 발자취" 파빌리온 메뉴. 새로 제공한 Make Menu 프로그램으로 만드세요. : 수정하였습니다
  • 학봉 종택 파노라마 이미지: krpano tool 1.19의 MAKE PANO (MULTIRES) droplet.bat 로 다시 제작하세요. 이전 버전으로 제작하면 새로운 파빌리온 프로그램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화면 깨짐 현상 발생. : 학봉 종택 파노라마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