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10-1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명의 사용자에 의한 1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pre>
 
<pre>
 
#Links
 
#Links
E10-101A 헤르만_산더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대한제국_육군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나카노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병인양요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볼얀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신미양요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덕어학교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임오군란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경무청_총순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조일수호조규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경무청_순검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보빙사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궁내부_순검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별기군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별기군_복식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연무공원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갑오개혁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을미개혁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을미사변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명성황후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경복궁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병인양요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군국기무처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군무아문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군부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칙령_제10호_육군장관직제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칙령_제78호_육군복장규칙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무관학교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윤웅렬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민영환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이도재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황석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홍철유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오득영 hasContextualElement
 +
E10-101A 오경근 hasContextualElement
 +
 
 +
 
 
#End
 
#End
 
</pre>
 
</pre>
 +
 +
{{clickable button | [[S10-101.story]]}}
  
 
==Theme==
 
==Theme==
독일인 헤르만 산더는 대한제국을 2차례 방문하여 상당수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지금까지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다. 그 중에는 대한제국 군인과 경찰의 모습이 담긴 사진과 그림도 있다.
+
Episode 1: 서구식 군복의 도입
  
 
==Synopsis==
 
==Synopsis==
헤르만 산더(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1868 - 1945)는 보병 중위 신분으로 1905년 12월 6일 주일본 독일대사관 무관으로 임명을 받았다. 1906년 2월부터는 일본 도쿄에서 1907년 4월까지 근무하였고 1907년 5월 시베리아 철도를 이용하여 베를린으로 귀국한다. 도쿄에서 러일전쟁의 주요 격전지에 대한 조사를 위해 관련 자료와 여행 정보를 수집하였고, 1906년 8월 사할린 여행을 시작으로, 9월에는 한국을, 11월에는 중국 여순·대련·목단 등을 방문한다. 이 여행에서 그는 한국문화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게 되어 1907년 3월 다시 방문하게 된다. 2차례에 걸친 한국 방문은 서울, 북한산성, 수원, 원산, 성진, 길주 등을 여행하며 한국에 관한 많은 자료를 남긴다.<br>
+
우리나라 관원(官員)의 복식에 서구식 복식이 공식적으로 도입된 것은 갑오개혁기에 군인의 제복이 규정되면서 시작된다. 관제의 변화와 함께 1895년 4월 9일(양 05.03) 칙령 제78호「육군복장규칙」으로 최초의 서구식 군복이 제정되고, 수차례의 제정과 개정을 거치며 한일강제병합까지 유지된다. 군복은 착용상황과 계급에 따라 구성품을 달리하며 일습(一襲)을 갖추게 되는데 처음에는 정장·군장·예장·상장 4종류로 나뉘고, 1906년에 대례장·군장·예장·상장·반예장 5종류로 구분되었다. 구성품에는 입전모, 모자, 웃옷, 바지, 견장, (), 식대, 정서, 도서, 도대, 하금(下襟), 장갑, 신발 등이 있다. 군복의 특징으로는 바탕 직물이 흑색 융이고, 소매에는 '人'자형 장식을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일본인 사진가 나카노를 고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남긴 자료는 크게 촬영사진과 수집사진, 엽서와 편지, 보고서, 수집 유물 등이 있다. 특히 그 당시의 우리문화를 고스란히 담아낸 사진은 촬영된 시간과 장소, 그리고 설명까지 담고 있어 그 의미와 가치가 높다.<br>
+
그는 당시 볼얀(J. Bolljahn)이 설립한 덕어학교(德語學校)의 한국인 교관 최태경(崔泰卿)을 통해서 한국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서울 지역의 통역을 맡았던 고씨, 함경북도 성진에서 만난 남경세 등과의 인연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을 여행하면서 갓, 부채, 놋그릇, 화첩 등 92건의 유물을 수집했고, 독일로 돌아간 후 중부 독일 마이닝겐 지역에 소재한 한 주택을 구입하여, 이곳에 수집유물을 전시하려는 박물관 설립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제2차 세계대전의 포화로 이 건물의 소실과 함께 수집 유물 대부분도 사라지고 그 일부 유물만이 남아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br>
+
헤르만 산더는 한국에서 수집한 유물들에 대한 기록화 작업을 하여 1920년에 장부 형태로 남겼는데, 이를 통해 그의 한국 유물에 대한 이해를 엿볼 수 있다. 그는 한국 유물을 크게 생활용품과 회화와 소묘로 나누고, 다시 세분하여 유물의 명칭, 형태와 특징, 크기, 무게, 구입 가격 등 설명 내용을 남겨 놓았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수집 지역의 정보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룻배에 앉은 남자 인물상’을 그린 족자는 조선 황제가 주한 독일 영사 나이(Ney)에게 하사한 것이라는 수집경유도 보이고, 화첩의 경우는 1907년 50엔(독일화폐로 105마르크)를 한국인 화가에게 지불하고 주문해서 그렸다는 내용 등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한국 수집유물에 대한 단상과 실재로 남아 있는 유물을 통해 100년 전 우리 생활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
<br><br>
+
 
+
 
+
테마 ① E10-001A<br>
+
대한제국시대에 편찬된 19건의 의궤에 내입된 반차도에 등장하는 군인과 경찰의 복식을 시기별 관제와 복제를 규정과 함께 알아본다.<br>
+
예) 의궤 19건에 내입된 반차도 34건, 관제별 계급의 변화, 계급별 복식과 규정, 의례별 행렬 양상 등 <br>
+
테마 ② E10-101A<br>
+
사진과 그림으로 전하는 대한제국시대 군인과 경찰 모습을 규정과 비교해 본다.<br>
+
예) 헤르만 산더(군인, 경찰, 생활사, 장인 등) 민족의 사진첩(계급별 군인과 경찰의 사진), 문양으로 하는 <br>
+
테마 ③ E10-201A<br>
+
이 시기의 군복 유물은 소속 및 계급별로 구성 품목이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다. 착장자가 확인되는 유물도 상당수 있으므로, 유물 주인의 인물관계, 관직 변화 및 군복의 형태를 살펴본다.<br>
+
예) 육군 부장 민영환, 육군 부장 윤웅렬, 육군 부장 이도재, 육군 부위 황석, 헌병 부위 홍철유 외 착장자 미상의 유물 다수<br>
+
<br>
+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01A"></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10-101A"></iframe>
 
<br/>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10-101A'">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10-101A'">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Graph.py?account=edu&script=E10-101A.episode'">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E10-101A.episode&db=Class2022&project=hanyang'">  
 
</html>
 
</html>

2022년 6월 16일 (목) 02:16 기준 최신판

#Links
E10-101A	대한제국_육군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병인양요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신미양요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임오군란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조일수호조규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보빙사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별기군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별기군_복식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연무공원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갑오개혁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을미개혁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을미사변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명성황후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경복궁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병인양요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군국기무처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군무아문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군부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칙령_제10호_육군장관직제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칙령_제78호_육군복장규칙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무관학교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윤웅렬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민영환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이도재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황석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홍철유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오득영			hasContextualElement
E10-101A 	오경근			hasContextualElement


#End

S10-101.story

Theme

Episode 1: 서구식 군복의 도입

Synopsis

우리나라 관원(官員)의 복식에 서구식 복식이 공식적으로 도입된 것은 갑오개혁기에 군인의 제복이 규정되면서 시작된다. 관제의 변화와 함께 1895년 4월 9일(양 05.03) 칙령 제78호「육군복장규칙」으로 최초의 서구식 군복이 제정되고, 수차례의 제정과 개정을 거치며 한일강제병합까지 유지된다. 군복은 착용상황과 계급에 따라 구성품을 달리하며 일습(一襲)을 갖추게 되는데 처음에는 정장·군장·예장·상장 4종류로 나뉘고, 1906년에 대례장·군장·예장·상장·반예장 5종류로 구분되었다. 구성품에는 입전모, 모자, 웃옷, 바지, 견장, 도(검), 식대, 정서, 도서, 도대, 하금(下襟), 장갑, 신발 등이 있다. 군복의 특징으로는 바탕 직물이 흑색 융이고, 소매에는 '人'자형 장식을 한다는 것이다.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