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미황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수정예정))
22번째 줄: 22번째 줄:
 
이 절의 부도군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한 곳은 26기(基)의 부도와 설봉당(雪峯堂)·송파(松坡)·금하(錦河)·낭암(朗巖)·벽하(碧霞) 등 대사비(大師碑) 5기가 있다. 다른 한 곳에도 5기의 부도가 있으나 전부 도굴되어 흩어져 있다.<br/>
 
이 절의 부도군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한 곳은 26기(基)의 부도와 설봉당(雪峯堂)·송파(松坡)·금하(錦河)·낭암(朗巖)·벽하(碧霞) 등 대사비(大師碑) 5기가 있다. 다른 한 곳에도 5기의 부도가 있으나 전부 도굴되어 흩어져 있다.<br/>
 
또한, 미황사 사적비는 1692년(숙종 18) 민암(閔黯, 1634∼1692)이 세운 것으로서 초서로 된 높이 3m의 비인데, 옥개석 위에 용을 얹어 조각하였다. 이 밖에 절 뒷산 사자봉에는 ‘토말(土末)’이라 쓰인 비석이 있어 우리 나라 육지의 끝을 나타내고 있다.<br/>
 
또한, 미황사 사적비는 1692년(숙종 18) 민암(閔黯, 1634∼1692)이 세운 것으로서 초서로 된 높이 3m의 비인데, 옥개석 위에 용을 얹어 조각하였다. 이 밖에 절 뒷산 사자봉에는 ‘토말(土末)’이라 쓰인 비석이 있어 우리 나라 육지의 끝을 나타내고 있다.<br/>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118&cid=46648&categoryId=466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미황사']
+
<ref>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118&cid=46648&categoryId=466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미황사']</ref>
  
 +
 +
==배치도==
 
<html>
 
<html>
 
<iframe width="50%" height="800px" src="http://t067.danah.kr/mihwangsa/story/html/map.html"></iframe>
 
<iframe width="50%" height="800px" src="http://t067.danah.kr/mihwangsa/story/html/map.html"></iframe>
 
</html>
 
</html>
 +
<ref>출처: [http://www.mihwangsa.com/ 미황사 공식 홈페이지]</ref>
  
 
==위치==
 
==위치==

2016년 10월 11일 (화) 23:00 판


개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749년(경덕왕 8) 의조(義照)가 창건하였다.
주요 문화재로는 보물 947호인 대웅보전, 보물 1183호인 응진당과 명부전 등이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삼존불이 모셔져 있고 후불탱화(後佛幀畫)가 걸려 있으며, 법당 뒤편의 목궤에 넣어둔 괘불(掛佛)은 오래된 것으로 몹시 상하였다. 이 절의 부도군은 두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한 곳은 26기(基)의 부도와 설봉당(雪峯堂)·송파(松坡)·금하(錦河)·낭암(朗巖)·벽하(碧霞) 등 대사비(大師碑) 5기가 있다. 다른 한 곳에도 5기의 부도가 있으나 전부 도굴되어 흩어져 있다.
또한, 미황사 사적비는 1692년(숙종 18) 민암(閔黯, 1634∼1692)이 세운 것으로서 초서로 된 높이 3m의 비인데, 옥개석 위에 용을 얹어 조각하였다. 이 밖에 절 뒷산 사자봉에는 ‘토말(土末)’이라 쓰인 비석이 있어 우리 나라 육지의 끝을 나타내고 있다.
[1]


배치도

[2]

위치

Virtual Pavilion

관련 항목

기여

주석

  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미황사'
  2. 출처: 미황사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