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여우여우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년여우 여우비 속의 인물들)
(원조자 & 동반자적 이야기)
40번째 줄: 40번째 줄:
 
====원조자 & 동반자적 이야기====
 
====원조자 & 동반자적 이야기====
  
  <삼국유사 소재 ‘원광서학’ >- 미래사를 아는 존재, 원광법사가 불법을 대성할 수 있도록 구체넉인 방도를 알려주는 원조자.  
+
  <삼국유사 소재 ‘원광서학’>- 미래사를 아는 존재, 원광법사가 불법을 대성할 수 있도록 구체넉인 방도를 알려주는 원조자.  
  
 
  <이성계의 건국을 도운 여우> - 인간으로 변신한 여우는 조선 창업을 예시하고 창업공신들에게 도움을 준다. 구미호의 변신과 예지라는 능력은 인간의 경계 너머에 있는 위협과 두려움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 기여하는 신성한 능력인 것.
 
  <이성계의 건국을 도운 여우> - 인간으로 변신한 여우는 조선 창업을 예시하고 창업공신들에게 도움을 준다. 구미호의 변신과 예지라는 능력은 인간의 경계 너머에 있는 위협과 두려움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 기여하는 신성한 능력인 것.
 
   
 
   
  <강감찬 출생담 >- 건국신화로부터 이어오는 신성혼의 요소를 계승한 것으로 위대한 인물의 탄생을 인간과 구미호의 교혼이라는 출생의 신이함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여우는 위대한 인물을 출산하는 신성한 어머니로서 기능한다.  
+
  <강감찬 출생담>- 건국신화로부터 이어오는 신성혼의 요소를 계승한 것으로 위대한 인물의 탄생을 인간과 구미호의 교혼이라는 출생의 신이함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여우는 위대한 인물을 출산하는 신성한 어머니로서 기능한다.  
  
 
  <여우아내 이야기> - 여인으로 변신한 구미호가 가난으로 자살하려는 청년을 구해주고, 인간과 구미호가 서로 신뢰하고 사랑하여 어울리는 것.  
 
  <여우아내 이야기> - 여인으로 변신한 구미호가 가난으로 자살하려는 청년을 구해주고, 인간과 구미호가 서로 신뢰하고 사랑하여 어울리는 것.  
51번째 줄: 51번째 줄:
 
이렇게 인간과 구미호가 동반자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는 많지 않다. 전승되는 여우이야기 대부분은 경계 밖의 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로서의 모습과 그 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렇게 인간과 구미호가 동반자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는 많지 않다. 전승되는 여우이야기 대부분은 경계 밖의 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로서의 모습과 그 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요괴로서 여우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변신의 목적은 인간을 해치고 인간 사회의 질서를 파괴하기 위한 것과 사람이 되기 위해 남성을 유혹하여 정기를 빼앗으려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여우변신 이야기에서 여우는 인간을 잡아먹고 그 해골을 뒤집어써서 사람으로 변신한다. 변신한 여우는 잡아먹은 인간의 형상으로 인간 사회로 잠입하지만 여우의 본 모습을 파악하는 신이한 인물에 의해 퇴치되거나, 여우가 변신하는 순간을 목격한 소금장수(혹은 옹이장수 등)에 의해 정체가 탄로나 인간의 영역에서 쫓겨나게 된다.

 
요괴로서 여우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변신의 목적은 인간을 해치고 인간 사회의 질서를 파괴하기 위한 것과 사람이 되기 위해 남성을 유혹하여 정기를 빼앗으려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여우변신 이야기에서 여우는 인간을 잡아먹고 그 해골을 뒤집어써서 사람으로 변신한다. 변신한 여우는 잡아먹은 인간의 형상으로 인간 사회로 잠입하지만 여우의 본 모습을 파악하는 신이한 인물에 의해 퇴치되거나, 여우가 변신하는 순간을 목격한 소금장수(혹은 옹이장수 등)에 의해 정체가 탄로나 인간의 영역에서 쫓겨나게 된다.

+
 
 
====공포와 불안의 대상의 이야기====
 
====공포와 불안의 대상의 이야기====
  

2017년 5월 16일 (화) 15:38 판

작품 정보

2007.01.25 개봉

판타지, 가족, 애니메이션

한국

85분

감독 이성강

출연 손예진(여우비), 공형진(강 선생), 류덕환(황금이), 이향숙(구릉영혼), 김소형(그림자 탐정), 등


줄거리

100년을 넘게 살았지만 인간의 나이로 10살 정도 밖에 되지 않은 어린 구미호인 여우비는 100년 전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 '요요'들과 함께 숲 속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마침내 요요들은 고장난 우주선을 고쳤으나 말썽요의 실수로 비행에 실패하고, 상심한 요요들은 말썽요를 쫓아낸다. 쫓겨난 말썽요는 마을로 내려가다 왕따 극복 훈련을 받고 있던 아이들에게 잡히게 된다. 말썽요를 구하기 위해 여우비는 어른으로 둔갑해 강선생을 속이고 학교에 자신을 편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여우비는 남자 주인공 황금이와 친해지게 되고 서로 호감을 느낀다. 어느 날 구미호 사냥꾼이 여우비를 사냥하기 위해 마을에 내려오고, 사나운 개들을 풀어 여우비를 쫓는다. 사냥꾼 때문에 위험에 빠진 여우비를 정체불명의 그림자 탐정이 구해준다. 그는 여우비를 돕고 싶다며 여우비에게 영혼을 흡수해 인간으로 만들어 준다는 수상한 상자를 건넨다. 한편 여우비가 위험에 처했던 것이 자신의 탓이라 생각한 황금이는 여우비에게 사과를 하기 위해 찾아가지만, 여우비의 의도와는 달리 그림자 탐정이 건넨 상자가 황금이의 영혼을 흡수하려 한다. 이를 발견한 사냥꾼은 황금이의 영혼 분리를 막고 상자를 가지고 있던 여우비를 구미호라 여겨 공격하고, 황금이는 여우로 변해버린 여우비를 끌어안고 도망을 친다. 그러나 도망치던 도중 절벽에서 떨어져 황금이는 영혼의 호수 카바나에 빠지게 되고, 황금이를 구하기 위해 여우비는 호수로 뛰어들지만 이미 황금이의 몸과 영혼은 분리되어 호수 속에 갇혀버린다. 여우비는 수많은 새장들 중 황금이의 영혼의 새가 들어 있는 것을 찾아내고 데에 성공하지만, 여우비를 뒤쫓아온 그림자 탐정이 황금이의 영혼을 뺏어버린다. 그러나 영혼을 흡수한 그림자탐정을 삼바바가 소멸시키고 이 틈을 타 여우비는 다시 황금이의 영혼과 새장을 되찾는데 성공한다. 삼바바는 여우비에게 빈 새장을 가지고 있으면 영혼이 흡수 당하니 황금이의 영혼을 다시 돌려 놓으라고 충고했으나 여우비는 새장을 놓지 않는다. 결국 황금이의 영혼을 원래의 세계로 돌려보내나 자신의 영혼이 대신 새장 속에 갇히게 된다. 그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삼바바는 여우비의 영혼을 풀어주고 여우비는 인간으로 환생하게 된다.


천년여우 여우비 속의 인물들

<천년여우 여우비>는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들과 함께 살고 있는 구미호 소녀 (여우비)가 산 속에서 또래의 인간 아이들을 만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이 작품은 구미호의 한(恨)과 공포라는 요소 대신 구미호 소녀인 ‘여우비’의 정체성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작품에서 ‘여우비’는 숲 속에서 버려져 홀로 살고 있는 어린 구미호로 설정되어 있다. 여우비는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 요요들을 만나 숲 속에서 함께 살아간다. 버려진 구미호와 불시착한 외계인은 인간의 관점에서 보면 일상적 삶의 공간에서 벗어난 타자들이다. 여우비는 인간을 유혹하고 사람이 되기 위해 간을 빼먹는 이전의 구미호와 달리 고립을 극복하고 인간과 화합하기를 소망하는 타자로 그려진다. 구미호의 흔적을 쫓는 사냥꾼이 등장하여 인간과 소통을 꿈꾸는 여우비를 인간의 영역에서 몰아내려고 한다. 구미호 사냥꾼은 구미호와 인간을 구분하는 기존의 관념을 상징하는 인물로 사람들과 소통을 꿈꾸는 여우비를 인간사회와 단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우비의 희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미호와 인간이 공존하던 신화적 세계가 재현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인간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구미호를 멸종시키려는 인간의 독선적 사고가 지배하고 있다. 또한 인간과 소통하려는 여우비를 이용해 영혼을 얻으려는 그림자 탐정이 존재 한다. 그림자 탐정은 이름 그대로 사람의 그림자로 형상화되는데, 그림자처럼 실체가 아닌 이미지로만 나타난다. 그림자 탐정이 영혼을 훔치려는 것은 그림자라는 분열된 존재가 아니라 영혼과 육신을 가진 실체하는 주체로서의 삶을 욕망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영혼을 훔치기 위해서는 인간의 영혼이 푸른색으로 빛날 때를 기다려야 한다. 인간의 영혼이 푸른색을 띨 때 는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할 때이다. 즉, 누군가와 가장 완벽하게 소통하는 순간에 그 대상을 배신해야만 자기 정체성을 벗어던지고 인간으로 변하는 것이다. 여우비가 사람이 되고 싶은 것은 고립된 단절을 극복하고 소통하는 주체로 거듭나고 싶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우비는 진정한 소통을 느낀 친구 황금이의 영혼을 훔치려 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황금이의 영혼을 돌려주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우비의 행위는 그림자 탐정과 대조를 이룬다. 자신의 욕망을 위해 인간의 영혼을 훔치려 한 그림자 탐정은 끝내 응징을 받고 존재가 소멸하지만, 인간과 소통하기 위해 카바나에서 자신을 희생한 여우비는 인간으로 환생한다.

천년여우 여우비 속의 도깨비 <구미호>

<전설의 고향> 구미호 는 여름 납량특집의 단골 메뉴이었고, 영화 <구미호>, 드라마 <구미호 외전> 등은 구미호라는 소재로 인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이들 작품은 ‘사람이 되고 싶은 구미호’, ‘인간의 간을 빼먹는 구미호’, ‘금기로 인해 좌절하는 구미호’라는 구미호를 부정적 타자로 인식하는 상상력에 기반하였다. <천년여우 여우비> 역시 구미호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서사적 전통에 기대어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천년여우 여우비>는 기존에 재현된 부정적 구미호의 모습과는 달리 인간과 구미호가 공존하던 신화적 상상력을 재현하려고 한다.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우선 구미호에 대한 형상화가 달라졌다. 전통적인 구미호의 모습은 남성을 홀리는 매력적인 외모의 여성이지만, <천년여우 여우비>에서는 이제 막 사춘기에 접어 든 귀여운 여자 아이의 모습이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신한 구미호는 인간 세계의 질서를 위협하고 남성을 파멸로 이끄는 팜므 파탈(femme fatale)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러한구미호의 형상화는 남성이라는 질서의 중심을 파괴할 수 있는 낯선 존재에 대한 거부감의 증표이다. 이에 비해 앳된 소녀의 모습인 여우비는 아직 미숙하고 불완전해서 위협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우비는 요괴라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구미호라는 자체의 삶의 방식 속에서 성장 중에 있는 생명체로 형상화되었다.


한국의 도깨비 <구미호>에 대해

구미호의 2가지 이미지 : 원조자, 동반자적 관계/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


원조자 & 동반자적 이야기

<삼국유사 소재 ‘원광서학’>- 미래사를 아는 존재, 원광법사가 불법을 대성할 수 있도록 구체넉인 방도를 알려주는 원조자. 
<이성계의 건국을 도운 여우> - 인간으로 변신한 여우는 조선 창업을 예시하고 창업공신들에게 도움을 준다. 구미호의 변신과 예지라는 능력은 인간의 경계 너머에 있는 위협과 두려움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 기여하는 신성한 능력인 것.

<강감찬 출생담>- 건국신화로부터 이어오는 신성혼의 요소를 계승한 것으로 위대한 인물의 탄생을 인간과 구미호의 교혼이라는 출생의 신이함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여우는 위대한 인물을 출산하는 신성한 어머니로서 기능한다. 
<여우아내 이야기> - 여인으로 변신한 구미호가 가난으로 자살하려는 청년을 구해주고, 인간과 구미호가 서로 신뢰하고 사랑하여 어울리는 것. 

이러한 여우의 신성(神性)과 긍정적 면모는 인간이 경계 밖의 존재를 성스러움 의 대상으로 인식하던 신화적 세계의 흔적일 것이다. 신화적 세계관이 인간을 지배하던 시대에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구미호가 무력한 인간을 도와주는 원조자였고, 혈연을 통해 비범한 능력을 전승해주는 어머니였다 이렇게 인간과 구미호가 동반자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는 많지 않다. 전승되는 여우이야기 대부분은 경계 밖의 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로서의 모습과 그 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요괴로서 여우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변신의 목적은 인간을 해치고 인간 사회의 질서를 파괴하기 위한 것과 사람이 되기 위해 남성을 유혹하여 정기를 빼앗으려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여우변신 이야기에서 여우는 인간을 잡아먹고 그 해골을 뒤집어써서 사람으로 변신한다. 변신한 여우는 잡아먹은 인간의 형상으로 인간 사회로 잠입하지만 여우의 본 모습을 파악하는 신이한 인물에 의해 퇴치되거나, 여우가 변신하는 순간을 목격한 소금장수(혹은 옹이장수 등)에 의해 정체가 탄로나 인간의 영역에서 쫓겨나게 된다.


공포와 불안의 대상의 이야기

<여우누이 이야기>  - 막내 아들이 여우굴에서 태어난 누이가 여우가 변신한 존재로 커 닭, 소, 말 등 집안 가축의 간을 빼먹는 모습을 목격하고 집에서 쫓겨나게 되는데, 막내 같은 평범한 인간은 자신의 힘으로만 구미호를 퇴치할 수 없고 초월적 존재의 도움을 통해서만 극복할 수 있다. 이렇게 구미호는 인간의 평범한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두려운 능력을 가진 존재로, 가족과 마을이라는 인간의 터전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이다. 
<이화전> - 구미호는 이화에게 남편을 빼앗긴 원한을 갚기 위해 천자를 유혹하여 이화를 중국으로 소환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 사회의 질서를 위협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반드시 구미호를 퇴치해야 할 이유로 나타난다. 

구미호는 인간을 유혹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한 구미호는 인간 남자를 유혹하고 구슬을 이용하여 정기를 빼앗으려 한다. 구미호가 남성 천 명의 정기를 빼앗으면 사람이 된다. 그러나 정기를 빼앗긴 인간은 생명력을 상실하여 죽음에 이르게 된다.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공포이다. 이상의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을 위협하는 부정적 존재로 인식되고, 특히 남성을 유혹하여 파멸시키는 부정적 아니마로 나타난다. 인간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 구미호의 유혹을 이기고 구미호를 인간 세계 밖으로 몰아내야 한다. 인간에게 구미호는 공존과 어울림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들의 영역에서 배제하고 퇴치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인간이 자연을 대상화하고 인간 중심의 사고로 파악하면서부터 구미호는 주체에 대한 타자로 인식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이 되고 싶은 요괴이며, 남성을 유혹하는 여성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야기에서는 구미호가 왜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이유는 드러나지 않는다. 단지 그들은 사람이 되고 싶어서 인간을 유혹하고 인간의 질서를 파괴하는 불안과 공포의 대상일 뿐이다.


위의 논의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구미호에 대한 전통적 상상력은 단일한 이미지로 존재하지 않았다. 구미호의 능력에 대한 인식태도에 따라 신성한 여우와 요괴로서의 구미호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구미호에 대한 상반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은 신성한 여우와 인간이 공존하는 신화적 사유가 시대의 추이에 따라 지배규범과 가치에 배치되면서 한편으로는 부정적 존재로 변화하고, 또 한편으로는 신성성의 편린이 기층민중 집단의 사유에 스며들었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