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9번째 줄: 49번째 줄:
 
==각주==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2016 가을 답사 자료집]]
 +
[[분류:사찰]]
 +
[[분류:전라남도]]
 +
[[분류:강진군 문화유산]]

2016년 10월 12일 (수) 15:04 판


개관

전남 강진군 성전면(城田面) 월출산(月出山) 남동쪽에 있는 고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

1407년(태종 7)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 자복사(資福寺)[1]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경내 문화재


사진

위치


각주

  1. 조선 시대에 국가에 복이 있기를 기원하기 위하여 각 지방에 정책적으로 지정하였던 절. 주로 이전부터 내려오던 명찰을 종파별로 나누어 지정하였음. 출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