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의 정의

DH 교육용 위키
Ym5020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8일 (일) 20:5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본 항목은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 에서 사용하는 환상(Fantagy)의 정의를 다룬 항목이다. 본 페이지에서 정의된 환상의 정의에 따라서, 각 클리셰 설명 파트에서 추천하는 추천작들이 올라올 것이다.

환상에 대한 최초의 논의

환상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시도한 대표적인 학자는 프랑스의 츠베탕 토도로프이다. 토도로프의 유명한 저서 환상문학 입문은 1968년 탈고 되어 1970년에 출간된 것인데, 사실 그 이전에 프랑스 에서는 이미 환상문학 관련 저서들이 발간되고 있었다. 토도로프는 자신의 책을 통해 몇몇 프랑스 학자들이 이미 시도한 환상의 정의에 내재한 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카스텍스는 프랑스의 환상소설에서 환상의 특징은 현실 생활의 틀 속으로 신비가 갑자기 들어오는 것이라고 지적했으며, 루이 박스는 환상예술과 환상문학에서 환상적 이야기는 우리가 존재하는 현실 세계에 살곡 있고 또한 우리가 다를 바 없는 인간이 설명할 수 없는 것 앞에 돌연히 직면하는 모습을 즐겨 제기한다고 말했다.

한편 로제 카이유아는 환상의 중심부에서 라는 책에서 모든 환상을 인정된 질서의 파괴이며, 일상적이며 양도할 수 없는 적법성의 한 가운데로 용인하기 어려운 것이 침입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이 세 가지 정의는 거의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자연계에 초자연적인 요소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초자연적인 요소가 등장하는 것이 환상이라 규정한다면, 그 외연은 너무 넓다고 토도로프는 판단했다. 그렇게 되면 환상은 신화, 전설, 옛이야기로부터 중세 로망스를 거쳐 근대의 많은 소설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시기의 방대한 문학작품을 망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도로프는 환상의 범위를 축소하여 좀더 명확히 정의하고자 한다. 토도로프는 우선 모든 초자연적이 이야기가 환상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환상은 자연법칙만을 알 뿐인 존재가 초자연적인 것으로 보이는 요소의 개입 앞에서 체험하는 '망설임' 이다. 이 망설임과 함께 토도로프는 망설임의 주체 문제 그리고 텍스트 해석의 문제를 아울러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토도로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환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 첫째, 텍스트가 독자로 하여금 작중인물들의 세계를 살아 있는 사람들의 세계로 간주하고, 언급된 사건들을 자연적으로 이해해야 할지, 아니면 초자연적으로 이해해야 할 지를 망설이도록 만들어야 한다.
  • 둘째, 이러한 망설임은 작중인물에 의해서도 경험될 수 있다. 이 경우 독자의 역할은 작중인물에 맡겨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동시에 그 망설임은 재현(표상) 되며, 작품의 주체들 가운데 하나가 된다. 소박한 독서의 경우, 현실의 독자는 자신을 작중인물과 동일시한다.
  • 셋째, 독자는 텍스트와 관련하여 어떤 특정한 태도를 취해야 한다. 즉 그는 시적인 해석과 알레고리적인 해석을 거부해야 한다.

오늘날의 정의

존 클루트와 판타지 백과사전

존 클루트(Johu Clute)와 존 그랜트(John Grant)가 편집하여 1997년 미국에서 출간한 ‘판타지 백과사전 The Encyclopedia of Fantasy’ 은 토도로프의 환상정의와는 다른 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fantastic’ 항목의 필자(Gary Westfahl)는 ‘fantastic’이라는 용어가 1930~1940년대에 SF 공동체에서 비평 용어로 사용될 때 SF와 판타지를 망라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데, 비평가들은 이를 판타지와 SF, 마술적 사실주의, 우화와(fabulation), 초현실주의 등을 포함한 사실적이지 않은 인간 표현의 모든 형태를 일컫는 말인 일반적인 용어로 채택하고 있다. 1980년 이래 매년마다 열리는 국제 환상예술 학술 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Fantastic in the Arts) 와 그와 관련된 출간물인 '환상예술 학술지 The Journal of the Fantastic in the Arts' 에서는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 'the fantastic'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위에 언급한 백과사전에서는 판타디(fantasy)를 '환상적인 것(the fantastic)'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항목('fantasy') 의 필자(John Clute)는 사실주의와 대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는 '환상' 이 매우 신축성이 많은 개념으로서, 사실적이 아닌 것(unrealistic)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문화와 다양한 시대의 이야기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20세기 말에 와서 'fantastic'이 'fantasy'를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한다. 이 항목의 필자도 'fantasy'를 좀더 특수한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 물론 'fantasy'의 정확한 정의, 범귀, 'fantastic' 에 속하는 다른 장르들과의 상호 관계 규졍에서 엄밀한 비평적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브라이언 애트리버리(Brian Attebery) 가 판타지를 '퍼지 집합(fuzzy set)' 이라 묘사했듯이, 판타지의 명확한 경계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fantasy'항목의 집필자는 이런 점들을 인정하고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판타지 텍스트는 자체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서사(self coherent narrative)이다. 우리가 사는 세계가 무대인 경우,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세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가 사는 세계가 아닌 다른 세계가 무대인 경우, 비록 그 세계에서 전개되는 이야기가 나름대로 성립 가능하긴 하지만, 다른 세계는 존재할 수 없는 세계이다. 이러한 정의를 통해 집필자(논문 작성자) 는 'fantastic' 과 구별되는 '판타지' 의 고유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 정의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 첫째, 판타지는 자체적인 일관성을 지니고 있는 이야기(story) 이다.

비형식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서사이기에, 일단 'fantastic'으로 분류되는 것 가운데에도 자체적인 일관성을 추구하지 않는 텍스트가 실제로 존재한다. 가령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텍스트에서 판타지의 요소들을 사용하긴 하지만, 이는 판타지에서와 같이 독자로 하여금 그 설화(tale)를 함꼐 체험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은 이야기의 본질에 의문을 제기하고, 서사의 시작에서 출발하여 서사의 결말에 도달하는, 서사적 귀결이라는 '순진한' 결합 조직을 철저하게 전복시킨다. 모사 소설(mimetic novel) 의 기본 가정들로부터 거리를 두거나 의문을 제기하는 거의 모든 20세기 소설들은 'the fantastic'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런 소설들을 판타지라 부르는 것은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기획을 철저히 오해하는 것이며, 또한 판다지의 고유한 의미를 박탈하는 것이다.


  • 둘째, 판타지는 이 세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이야기다.

이 점에서 판타지는 과학 소설과 구분된다. 과학 소설은 작품의 이야기가 비록 현재로서는 가능하지 않을지라도 언젠가는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서 쓰여지고 또한 읽힌다. 판타지는 아얘 실현 불가능한 세계를 묘사한다. 이와 같이 실제로는 불가능한, 작가가 만들어낸 세계를 다루면서도 나름대로의 일관된 법칙하에서 전개되는 서사는 판타지에 해당된다.

수잔 헤이워드의 정의

영화이론가 수잔 헤이워드의 『영화 사전』에서는 판타지를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판타지는 우리 무의식의 표현이다. 따라서 그것은 우리가 억압하는 영역, 즉 무의식의 영역과 꿈의 세계를 가장 쉽게 반영한다.” 결국 판타지란 실재하지 않지만 우리의 꿈과 무의식 속에 그럴듯하게 자리 잡고 있는 세계다. 영화가 디제시스, 즉 ‘실재하는 허구’라고 할 때 판타지는 영화 그 자체라고 할 수 있고, 판타지 영화는 영화적 욕망이 가장 잘 발현된 장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판타지 장르의 특성

다음의 목록은 판타지 장르의 일관적인 특징이다.


  • 판타지는 어떠한 논리나 이성으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 판타지에는 현실이 아닌 꿈이 있다.

판타지는 현실을 지배하는 모든 중요한 법칙을 거부하고 시공을 초월함은 물론 이를 뛰어넘어 설명할 필요 없는 판타지만의 현실을 만들어 낸다.


  • 판타지는 신화와 근친성을 가진다.

즉 자연의 거대한 힘에 압도당한 인간이 자신의 처지에 대해 자위하고 이를 상상적으로 극복하거나 설명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 판타지이고, 그 결과가 신화라는 말이다. 판다지가 신화로 전환될 때 인간은 이분법적 사유 방식을 통해 주로 선과 악, 자연과 인간, 자연과 초자연의 대결이라는 갈등 주도를 차용하기를 즐긴다.


  • 판타지는 현실세계의 찰출구가 될 수 있다.

현실 세계는 인간의 능력으로만 이룰 수 없거나 얻을 수 업는 것이 존재한다. 그러나 판타지의 세계는 그런 것들이 가능하다.


  • 판타지의 기본적인 세계관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세계의 형상화다.

그것은 인간이 스스로의 운명을 운행해 나가고자 하는 욕망의 구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여

김유미 : 최초 문서 개설 및 작성

출처

판타지 영화 속의 표현기법에 나타난 신학적 연구 : <나니아 연대기 : 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을 중심으로, 이중영, 2008 [[1]] ,상당부분을 발췌하였음을 밝힘 판타지 (영화적순간, 2014. 4. 15., 커뮤니케이션북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