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관

DH 교육용 위키
Silencevi424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29일 (월) 17:55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일반적으로 영혼은 인간의 신체에 의거하면서 그 활동을 지배하는 신비한 힘으로 간주한다.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음(陰)•양(陽)의 이원론적(二元論 的)인 사고에 입각하여 영혼을 혼(魂)과 백(魄)으로 나누어 생각하여 왔다. 혼은 인체를 구성하는 기(氣)에 의부해서 사람의 정신작용을 하는 양기(陽氣)의 영, 백은 육체적인 생명활동을 하는 음기(陰氣)의 영을 의미한다.148

이 둘은 육체라는 그릇 속에 조화롭게 들어 있어야만 생명체를 가진 인간다 운 구실을 하지만 죽으면 분리된다고 믿어 왔다.『예기(禮記)』에 천지(天地) 사이에 태어나는 자 모두를 ‘명’(命)이라 하였고, 만물로서 죽는 자를 ‘절’(折), 사람으로 죽는 자를 ‘귀’(鬼)라 한다.149

라고 하였다. 여기서 명(命)이란 천명(天命)을 말하는데, 이는 곧 만물은 천 명에 의해서 생겨나고 성장하여 소멸을 하기 때문이며, 만물의 죽음을 ‘절’(折), 곧 단절(斷折)이라고 한 것은 만물은 죽어서도 돌아갈 곳이 없다고 보았기 때 문이다. 그런데 사람의 죽음을 ‘귀’(鬼)라 한 것은 곧 귀(歸)의 뜻으로 죽어서 도 돌아갈 곳이 있기 때문에 귀(鬼)라 하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의 죽음을 ‘돌아갔다’(歸)라고 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이다. 또한, 『설문해자(說文解 字)』에 ‘사람이 돌아가는 것을 鬼라 한다’(人歸爲鬼)고 하였다. 이보다 더 이른 시기의 갑골문(甲骨文)에서 ‘鬼’자는 A 이다. 그 모양은 시신 위에 어떤 물건 으로 덮어 놓은 모습으로 시신을 가린다는 것은 혼이 떠나 돌아올 수 없다는 의미로 곧 죽은 사람임을 뜻한다. 이처럼 고대인들은 죽음으로 육체는 소실되나 영혼은 소실되지 않는다고 믿었다.『열자(列子)』에 정신은 하늘에 속하고, 골해(骨骸)는 땅에 속한다. 하늘에 속하는 것은 맑고 흩어지고, 땅에 속한 것은 흐리고 모인다. 그러므로 사람이 죽어서 정신이 육 체를 떠나는 경우, 이것은 정신과 골해(骨骸)가 각각 그 원래의 위치(眞;참된 근본)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鬼’라 하는 바, 鬼는 ‘歸’여서 본래의 참 모습(眞宅)으로 돌아 간다는 뜻이다.150

라고 하여 귀(鬼)를 ‘귀’(歸)로 해석하고 있다. 『禮記』「교특생(郊特生)」의 “혼기(魂氣)는 하늘에 돌아가고 형백(形魄)은 땅으로 돌아간다”(魂氣歸于天, 形魄歸于地)라는 말은 사람이 죽으면 혼•백은 근본(本)에 돌아가기 때문에 사람의 죽음을 돌아간다(歸)라 하고 또 귀(鬼)라고도 한다고 했다.151 이처럼 사람은 죽은 후 그 혼과 백은 분리되어 서로 각기 본래의 방향으로 흩어진다.

그렇다면, 살아 있는 사람의 영혼과 죽어서 귀로 변한 영혼은 어떤 구별이 있는가에 대해서 각기 그 견해들이 다르지만, 대체로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 는 살아 있는 사람의 영혼에는 혼과 백이 있으나 죽은 후 이 둘은 모두 귀(鬼) 로 바뀐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의 죽음 이후 백은 육체를 따라 소실하 나, 혼은 육체를 떠나 귀로 변한다고 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인간은 살아 있을 때는 천기(天氣)이자 양기(陽氣)인 혼으로 정신(精神)을 이루고, 지 기(地氣)이자 음기(陰氣)인 백으로 형해(形骸)를 이루지만 죽으면 이 혼•백 은 그 본래의 곳으로 돌아가는데, 혼은 하늘로 백은 땅으로 돌아간다. 이때, 하 늘로 올라간 것을 ‘신’(神)이라 하고 땅으로 돌아간 것을 ‘귀’(鬼)라고 하였다.

혼백은 산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라면 귀신은 죽은 사람을 지칭하므로 이 둘은 명칭만 다를 뿐 사실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중국에서의 영혼관은 곧 귀 신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