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DH 교육용 위키
Leegy3568 (토론) 사용자의 2014년 6월 18일 (수) 00:07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 Data

요약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국·내외 탈춤단체들이 서로의 신명을 함께 느끼며, 문화적 교류를 꾀하는 탈춤인의 진정한 축제의 장이다. 축제기간 중 국내 중요문화재 지정 탈춤 13개가 공연되고 세계 여러나라의 민속탈춤, 그리고 민속축제와 각종 부대행사가 열린다.


내용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첫해인 1997년에 축제위원회가 만들어졌으며 안동시장이 추진위원장을 맡고 안동 지역 문화 관련 인사들로 위원회가 구성되면서 축제의 기틀이 잡히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1998년부터 지역민들의 의지 결집과 더불어 지역 전문 활동가들을 축제에 참여시키고자 노력했다. 이에 따라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지역 인력들이 축제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축제 역량이 해가 거듭되면서 축적되고 있다. 그 결과 문화관광부 선정 전국최우수 축제로 수차례 선정될 정도로 그 성공을 인정받고 있으며, 재정 또한 축제 수익금에 의한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사진

Op1.jpg Op2.jpg Op3.jpg

연혁

1997.06.13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추진위원회 구성 1997.10.01 탈춤페스티벌 97 개최(5일간) 2000.12.07 전국축제종합평가 1위(문화관광부) 2001~2006.12. 문화관광부 선정 전국최우수 축제선정 2007. 12 2008 대한민국 대표축제 선정(문화광광부) 2008. 12 2009 대한민국대표축제 2회 연속선정(문화체육관광부) 2009. 12 2010 대한민국대표축제 3회 연속선정(문화체육관광부) 2010. 12 2011 대한민국 명예대표축제 선정(문화체육관광부)

2009. 12 2010 대한민국대표축제 3회 연속선정(문화체육관광부) - 주 제 : 신명의 탈춤, 천년의 꿈 - 슬로건 : 21세기에 만나는 탈도령 - 장 소 : 안동시내 일원(탈춤공원, 하회마을) - 주 최 : 안동시 - 주 관 : 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등

2010. 12 2011 대한민국 명예대표축제 선정(문화체육관광부) - 주제 : 축제, 왕이 되는 마법! - 장소 : 안동시내 일원(탈춤공원, 안동시내), 하회마을 - 주최 : 안동시 - 주관 : (재)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행사 내용

- 한국에 전승되는 전통탈춤 공연 - 가산오광대 - 강릉관노가면극 - 고성오광대 - 동래야류 - 봉산탈춤 - 북청사자놀음 - 송파산대놀이 - 수영야류 - 양주별산대놀이 - 은율탈춤 - 통영오광대 - 하회별신굿탈놀이 - 영양원놀음 - 예천청단놀음

- 지구촌 7개국 10개팀 탈놀이 민속공연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리투아니아, 러시아, 불가리아

-탈춤을 계승한 우리시대의 놀이판 "마당극" 5마당

- 탈과 춤이 있는 열광의 10일 . 마스크 댄스(열광과 흥분 대동춤판, 매일경연) . 나의탈 나의 마스크(매일) . 탈놀이 경연대회(매일 경연)

- 탈춤따라배우기 . 우리나라 전통탈춤과 외국 전통민속춤을 따라 배우는 시간

- 꿈나라 인형나라 . 가족 인형극, 동화구연, 동극, 어린이 체험전 등


국내 탈춤 공연단 안내

1. 하회별신굿탈놀이

중요무형문화재 69호. 경상북도 안동 하회마을에 전승되는 탈놀이로 뛰어난 가면예술과 풍자를 바탕으로 한 가면놀이로서 한국적 이미지를 대표하는 전통판.

2. 봉산탈춤

중요무형문화재 13호. 한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탈춤으로 황해도 지역 봉산, 사리원에서 전승되었다. 힘찬 춤사위가 북방의 호방함을 드러내는 놀이이다.

3. 은율탈춤

중요무형문화재 61호. 황해도 지역의 탈놀이로서 소박하고 농촌스러운 익살이 있다. 북방의 산악지역의 춤사위의 전형성을 보인다.

4. 송파산대놀이

중요무형문화재 49호. 경기도 송파지역에서 전승되는 탈놀이이다. 경기지역의 정교함이 살아있으며 세련된 미감이 있는 탈놀이이다.

5. 양주별산대놀이

중요무형문화재 2호. 탈춤으로 가장 먼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예능 보유자는 김상용(1926년생, 먹중, 원숭이),노재영(1932년생, 옴중, 취발이)등이 전수에 힘쓰고 있다.


하회마을 축제

- 외국공연단 공연(매일 2회) - 국내 탈춤공연(매일 2회) - 선유줄불놀이 : 한국에서 가장 우아한 미학, 선비들의 풍류(2회) - 강변 공연 : 만송정에서 펼쳐지는 각종 공연 - 고가 전시회 : 고가에서 만들어지는 붓글씨 등의 전시회 - 전통혼례 : 한국의 혼례, 최고의 축제마당 - 다도시연 : 차를 마시는 즐거움 - 가훈써주기 등 마을 곳곳에서 펼쳐지는 전통놀이의 향연


하회마을 투어버스 운영

  • 축제기간 동안 하회마을 연계버스 운영

◎ 축제장→하회마을 10:00, 11:00, 12:20, 13:20, 14:20, 16:30(18:00 토요일만 운행)

(축제장⇒청소년수련관⇒어가골3거리⇒옥동10호광장⇒송현5거리⇒삼성명가앞⇒과학대학⇒풍산읍⇒하회마을)

◎ 하회마을→축제장 11:00, 12:00, 13:20, 14:20, 15:20, 18:00( 20:30 토요일만 운행) (하회마을⇒풍산읍⇒과학대학⇒송현5거리⇒공고앞⇒태화3거리⇒신시장⇒안동역앞⇒법흥지하도⇒신라예식장⇒축제장 )


찾아오시는 길

· 남안동IC 진입시 - 남안동IC에서 안동시내 방면 5번 국도를 따라 이동, 영호대교를 건너 우회전. 우측 주차장에 주차. 도보로 5분 소요.

· 서안동IC 진입시 - 서안동IC에서 안동시내 방면 34번 국도를 따라 이동. 안동댐 방면으로 진입하다가 천리고가교남단 삼거리를 지나 우측 주차장에 주차. 도보로 5분 소요.

· 대중교통 이용시 - 안동역에서 도보로 10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