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계 성혼 KU

DH 교육용 위키
201410320 이지민 (토론) 사용자의 2014년 6월 8일 (일) 10:02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 Data

  • 타입 : 인물
  • 한글항목명 : 우계 성혼
  • 한자항목명 : 牛溪 成渾
  • 편자 : 자운서원팀 이지민

내용

  • 출생 : 1535년 6월 25일 / 조선 한성부 순화방(順和坊)
  • 사망 : 1598년 6월 6일 / 조선 경기도 파주목 파산서실
  • 사인 : 병사(노환)
  • 국적 : 조선
  • 별칭 : 자(字)는 호원(浩原), 호는 우계(牛溪), 또는 묵암(默庵), 시호는 문간(文簡)
  • 직업 : 문인, 시인, 사상가, 정치가, 교육자
  • 종교 : 유교(성리학)
  • 자녀 : 아들 성문준
  • 부모 : 아버지 성수침, 어머니 파평 윤씨
  • 친척 :사위 윤황, 외손 윤선거, 윤문거, 윤원거, 진외증손 윤증


성혼(成渾 : 1535~1598)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 자는 호원(浩原)이고, 호는 우계(牛溪)·묵암(墨庵)이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본관은 창녕이다.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이고, 이이·정철·송익필 등과 교유하였다. 선조 1년(1568)에 유일로 천거되어 전성서 참봉이 되고, 병조참지·이조참의·동지중추부사·좌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기묘명현인 성수침(成守琛)의 아들로 명망이 높았으나, 임진왜란 때 임금을 따라가지 않은 것과 일본과 화의를 주장한 것이 논란거리가 되었다.
서인들이 집권한 숙종 7년(1681)이 되서야 이이와 함께 문묘에 배향되었다. 1572년부터 이이와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나, 자신의 견해를 끝까지 주장하지 않고 이이와 타협하였다.
그러나 공부론에서는 경공부를 강조하였다.

웹 자원

  1. 위키백과 성혼
  2. 지식백과 성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