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1 김은숙

DH 교육용 위키
김은숙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22일 (화) 17:2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멀티미디어 콘텐츠

2021한국학중앙연구원 안내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내” 개요

역사를 공부하면서 자랑스러움과 뿌듯함을 느낄 때도 있지만 먼 조상의 어리석음과 잘못된 선택이 나의 수치와 과오처럼 여겨질 때가 있다. 어디 먼 역사에 대해서만 그러하겠는가. 가까이는 나 자신, 그리고 나의 가족 혹은 내가 몸담고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역사에 대해서도 그러한 부분이 있다. 그러나 수치와 과오의 흑역사라고 마냥 외면하고 모른척할 수 있겠는가. 제대로 알고 정확히 볼 때 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고 또 멀리 나아갈 수 있다.

“2021한국학중앙연구원 안내”를 처음 기획했을 때 이런 원대한 의도를 가지고 시작하지는 않았다. 단지 신입생을 위한 상세하고 입체적인 생활 안내 카탈로그 정도를 생각했을 뿐이다. 그러나 연구원 안내와 설명을 위해 무언가를 말하려 한다면 지금의 현재모습과 더불어 과거를 직면해야하고, 2021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모습을 담아내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지금의 여기에서부터 시간을 거슬러 40여전의 그때 그 곳이자 지금의 여기인 이곳에 담긴 이야기를 풀어내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너머 과거의 모습을 담은 자료는 그리 많지가 않다. 불과 반백년의 시공간 사이에도 그러한데 우리는 때로 100년을 1000년을 그리고 그 이상의 시간을 가로질러 그것을 구하고자 하니 우리의 학문이 얼마나 무심한 것인지 새삼스럽기만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이란 이름으로 1978년 6월 30일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산업화의 기반으로 경제와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지원을 추구하면서 “한국개발연구원(韓國開發硏究院,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과 “한국과학기술원(韓國科學技術院,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등을 설립하였고, 인문사회과학분야의 선도적 연구기관의 필요에 따라 본원이 설립된 것이다.

1978년 6월 22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설립인가를 받고 1978년 6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개원, 2005년 1월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이 공포되면서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7년 1월 20일 대통령의 재가를 받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설치(안)’으로 불리는 당시 문서에 따르면 설립목적은 “우리 고유의 문화사상 및 윤리를 재발견하고 민족의 슬기로운 얼을 되살려, 이를 국민지도층에게 고취함으로서 주체성이 희박한 국민정신을 고무•발양•심화하여 나아가 민족중흥의 기운을 진작케 함”이라 서술하고, 운영방침으로는

  • 대통령 각하께서 친히 설립자가 되시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을 설립(잠정적 발족후 특수법인체로 설립) [2]
  • 연구기능과 연수기능을 병립
  • 중견급이상 지도층 인사를 대상으로 연수실시, 효과 확산
  • 연수를 학구적인 분위기에서 민족혼의 진작과 지도이념의 정립에 치중

이라고 밝히고 있다. [3]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됨과 동시에 본원의 설립 목적을 “한국 문화의 심층 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하여 한국학을 진흥하고, 나아가 미래 한국의 좌표를 탐구하여 민족 문화 창달에 기여함”으로 조정하고 2007년 5월 한국학의 기획연구 및 장기발전을 위해 한국학기획사업단(現 한국학진흥사업단)이 부설기구로 설치되었다. [4]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은 인문학부 문화예술학부 사회과학부 글로벌한국학부 등의 4개 학부 16개 전공으로 매년 석사35명, 박사25명의 한국학생과 특별전형으로서 30명 내외의 외국인 학생을 선발하여 교육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내”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AKS.png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내도(이미지를 클릭해보세요!) 20210622 134618.jpg 개원 준비과정의 조감도 20210622 134605.jpg 개원당시 전경사진

청계서당(2016)[5] 운중관, 진현관
  청계관, 국은관 [6] 
대학원관, 학의정 도서관[7], 식당매점 강당, 본관 동편연못
시습재(2003)[8] 문형관(2014)[9] 장서각(2010)[10] 정문

위의 표와 같이 현재 기숙사 위치의 시습재와 문형관 장서각 청계서당 건물은 2000년대 이후로 지어진 건물로서 개원 당시의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지어진 년대와 연구원 안내도의 구조에 따라 구역을 정하여 각 구역(zone)내의 건물들을 모아서 안내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각 구역 내의 360영상으로 파빌리온(pavilion)을 구성하고 이를 모아서 콤플렉스(complex)로 만들며 각 파빌리온 안에는 참고자료링크와 스틸사진을 보여줄 수 있으며 콤플렉스 상에서도 연관정보의 네트워크와 링크가 클릭될 수 있다.



파빌리온

동물원 미술관

콤플렉스

네트워크그래프와 위키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내” 그 의미는?

이성적인 이해나 감성적인 체험의 가치가 있는 대상을 발견했을 때, 그 발견을 홀로 즐기기보다는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을 더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의 모든 문화적 활동의 저변에 놓인 사고이다. 큐레이터의 큐레이션이나 인문학자들의 저술 활동은 모두 자신이 얻은 앎과 느낌을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아울러 그 활동들은 단편적인 사물이나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나열하기보다는 그 요소들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맥락이 있는 이야기를 만듦으로써 잘 이해하고 더 많이 공감하게 하려 하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그 이야기의 구성 요소가 역사적인 유물이나 미술작품과 같은 유형의 실물 위주인 경우 그 이야기 구성의 행위를 큐레이션이라고 불렀고, 언어로 기술된 정보와 지식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경우 ‘저술’이나 ‘강의’ 등의 이름으로 차별화 했을 뿐이다.[11]





참고문헌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references/>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