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2 김현승

DH 교육용 위키
Hyunseung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20일 (일) 03:5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정해년 궁중연향 복식

정해진찬의궤 복식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1887년에 신정왕후의 팔순 잔치가 행해졌다. 이 행사는 『정해진찬의궤』로 편찬되었으며 《정해진찬도병》으로 그려져 현전하고 있다.

의궤에는 행사 모습을 자세히 알 수 있는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총 4권으로 이루어진 『정해진찬의궤』는 앞부분의 도식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한문 텍스트로 기술되어 있으며 각 내용은 의례를 기록한 다른 의궤들과 마찬가지로 형식화된 서술방식을 갖고 있다. 의궤 내용을 살펴볼 때, 각 권,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르지만 연결되는 부분들이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진찬에서 정재무를 췄던 정재여령의 복식은 '권수'에 도식으로 그려져 있고, '권1'과 '권2'에 복식 마련에 대한 질의응답이 있으며, '권3'에는 각 복식을 착용하는 착장자의 명단과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 및 가격 등이 적혀 있다. 이처럼 연결되는 요소들이 여러 군데에 흩어져 있어 주의깊게 읽지 않으면 중요한 부분을 놓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정해진찬의궤』의 개별 문자(Text) 나열 속에서 지식요소들이 문맥(Context)에 따라 의미있게 연결될 수 있도록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1] 이를 위해 온톨로지를 설계하는데, 그 방법으로 먼저 대상 자원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클래스(Class)로 범주화하고, 각 개체에 공통된 속성(Attribute)을 부여하며, 그 개체들이 다른 개체와 맺는 관계(Relation)를 설정한다.[2]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정해진찬의궤 복식 관련 활용 데이터

Text

Context

Node(엑셀 다운로드)

Link(엑셀 다운로드)

Icon

정해진찬의궤 복식 Semantic Database 구축

Class

Individuals

attribute

Relation

정해진찬의궤 복식 Semantic Network



정해년 진찬 복식



정해년 진찬시 여관 및 각 차비 여령

  • 정해년 진찬시 사흘 동안 행사에 배치된 여관과 각 차비 여령의 역할과 그 역할에 따른 위치를 살펴본다.


정해년 진찬시 정재여령과 복장




정해진찬의궤 복식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현황

기준일시: 2021.00. 00,00:00

  • Node Description
  • Contextual Relations


참고

  1.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Semantic Database)'의 의미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개념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맨틱 웹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김현, 「다산 저작 텍스트의 전자정보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 세계사 속의 다산학』 (AKSR2016-J08) 6쪽.)
  2. 김현 외, 『디지털 인문학 입문』 , HUBOOKs, 2016, 1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