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수
정의
자수 란 옷감이나 헝겊 따위에 여러 가지의 색실로 그림, 글자, 무늬 따위를 수놓는 일을 말한다.[1]
내용
자수는 바늘땀과 수실의 결합에 따라 그 효과와 느낌이 달라지기 때문에 문양마다 알맞은 기법을 선택하여 수를 놓는다. 우리나라 전통 자수는 부드러운 비단 천의 표면 위에 실을 단단하게 꼬아서 만든 꼰사를 이용하여 질감 표현을 강조하며, 크게 평수, 이음수, 가름수, 자련수, 매듭수, 징금수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자수 기법
전통 자수 기법 종류
평수
이음수
가름수
자련수
기법 형태
기법 설명
사선, 수직, 수평방향으로 문양의 면을 실로 메우는 기법. 실과 실이 겹치거나 틈새가 없어야 하며, 넓은 면을 메울 떄는 수실이 뜨지 않도록 가는 실로 눌러준다.[2]
일정 길이의 땀수를 연속적으로 이어 선을 표현하는 기법. 바늘땀을 일정하게 겹쳐서 선을 이어 직선 또는 곡선을 표현한다.[2]
좌우 대칭으로 문양의 안쪽을 향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한 면씩 메워 완성하는 기법. 주로 나뭇잎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2]
바늘땀을 불규칙적으로 길고 짧게 뜨면서 면을 메우는 기법. 색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표현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꽃잎이나 나뭇잎, 구름 등의 표현에 이용된다.[2]
전통 자수 기법 종류
자릿수
매듭수
징금수
새털수
기법 형태
기법 설명
땀의 간격과 방향을 일정하게 반복해 돗자리의 결처럼 촘촘하게 표현하는 기법. 각각의 자수열이 서로 맞물려 연결된 형태로 수놓아지며, 넓은 면을 메울 때 주로 사용된다.[2]
바늘에 실을 감아서 놓는 기법. 감는 실의 횟수나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작은 점을 입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꽃의 씨앗, 동물의 눈동자 등에 사용된다.[2]
금사와 은사 등 금속성의 실이나 굵은 실과 면적이 있는 띠를 천 위에 고정시켜주는 기법. 실을 천 위에 놓고 문양을 만든 후 고른 간격의 땀으로 징그거나 고정한다.[2]
동물이나 새의 부드러운 털을 표현하는 기법. 평수나 자련수로 표현된 새의 몸 안에 깃털 방향으로 결이 '팔八'자형이 되도록 수를 놓는다.[3]
전통 자수 기법 종류
솔잎수
선수
속수
납사수
기법 형태
기법 설명
선수의 변현된 형태로 소나무 잎을 수놓을 때 쓰이는 기법. 솔잎의 사실적인 효과를 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3]
겹치는 부분 없이 실을 잇지 않고 한 번에 선으로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 수를 놓는 각도나 길이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된다.[3]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겉수의 밑에 수를 놓거나 심을 넣어 양감을 나타내는 기법. 속수의 방향은 겉수의 반대 방향으로 놓는다. 심의 재료는 솜, 실, 종이, 창호지 등을 사용한다.[3]
올이 성긴 직물 전면에 짧은 땀의 수를 놓아 마름모꼴의 연속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 직조와 같은 느낌이 나며, 땀의 길이와 수놓는 방법에 따라 문양이 결정된다. 중국 명·청대에 유행한 기법으로 조선시대 흉배 바탕에도 보인다.[3]
자수 문양 의미
자수 종류
용
거북
기린
해태
봉황
불노초
의미
zzz
zzz
zzz
zzz
zzz
zzz
자수 종류
조문
분미문
보문
불문
적문
이화문
원앙
문양 형태
zzz
zzz
zzz
zzz
zzz
zzz
zzz
의미
zzz
zzz
zzz
zzz
zzz
zzz
zzz
자수 종류
구름
학
연꽃
목련
모란
석류
화초문
문양 형태
zzz
zzz
zzz
zzz
zzz
zzz
zzz
의미
zzz
zzz
zzz
zzz
zzz
zzz
zzz
복식 속 자수
지식관계망
클래스
Place-소장처 : 국립고궁박물관
Place-소장처 : 원주역사박물관
Object-직물 : 자수
Heritage-유물 : 영친왕비 적의
Heritage-유물 : 영친왕비 폐슬
Clothing-복식 : 영친왕비 적의
Clothing-복식 : 굴레
Clothing-복식 : 적의
Clothing-복식 : 폐슬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자수
영친왕비 적의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굴레
자수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적의
자수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폐슬
자수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영친왕비 적의
국립고궁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영친왕비 폐슬
국립고궁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굴레
원주역사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 의 아이콘 모음 자료 를 활용하였다.
주석
↑ "자수 ", 『표준국어대백과사전』online , 국립국어원.
↑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8쪽.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9쪽.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
↑ 6.0 6.1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3쪽.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소장 .
↑ 원주역사박물관 소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