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희

DH 교육용 위키
Yeomim378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3일 (수) 15:1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구식 관복 도입

우리나라 복식사에서 관복(官服)에 서구식 복식이 공식적으로 도입된 것은 1895년 갑오개혁기에 군인과 경찰의 제복(制服)이 규정되면서이다.



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고종(高宗. 1852-1919년)은 1897년 10월 13일에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고치고 임금을 ‘황제(皇帝)’로 칭하며 근대적 국가로서의 대한제국(1897~1910)의 성립을 선포한다. 전통복식사에서의 대한제국은 전통식에서 서구식으로 바뀌는 과도기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복식의 변화는 황제국의 위상에 맞는 근대국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 가운데 하나였으며, 서구식으로 변화되는 관원의 제복을 시작으로 점차 일반 복식에도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확대되었을 것이다.

근대 경찰제도

근대적 경찰제도는 크게 네 단계로 나뉜다. 1894년 경무청(警務廳) 체제로 시작되어, 1900년에 경부(警部) 체제로 바뀌며, 1902년에 경무청이 복설되고, 1907년 경시청(警視廳)이 설치된다.

경찰 제복의 도입

국가의 중요한 의식과 행사를 개최한 후에 해당 의례의 모든 과정을 기록한 의궤 반차도는 17C부터 나타나고, 19C기에 들어서는 군인과 경찰이 등장하면서 전과 다른 양상의 반차도가 보이게 된다. 1895년 4월 11일(음력) 칙령 제78호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으로 서구식 군인의 제복이 도입되고, 이어 1895년 4월 19일 칙령 제81호 ‘경무사이하 복제’가 제정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경찰 제복이 시작된다.





















2020년 2학기 한국복식콘텐츠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 담당교수: 서동신
  • 개인주제: 대한제국기 서구식 경찰 제복

개요

  • 우리나라 복식사에서 관복(官服)에 서구식 복식이 공식적으로 도입된 것은 1895년 갑오개혁기에 군인과 경찰의 제복(制服)이 규정되면서이다.
  • 고종(高宗. 1852-1919년)은 1897년 10월 13일에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고치고 임금을 ‘황제(皇帝)’로 칭하며 근대적 국가로서의 대한제국(1897~1910)의 성립을 선포[1] 한다. 전통복식사에서의 대한제국은 전통식에서 서구식으로 바뀌는 과도기적 특징이 있다.[2] 이러한 복식의 변화는 황제국의 위상에 맞는 근대국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 가운데 하나였으며, 서구식으로 변화되는 관원의 제복을 시작으로 점차 일반 복식에도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확대되었을 것이다.[3]
  • 국가의 중요한 의식과 행사를 개최한 후에 해당 의례의 모든 과정을 기록한 의궤 반차도는 17C부터 나타나고, 19C기에 들어서는 군인과 경찰이 등장하면서 전과 다른 양상의 반차도가 보이게 된다.[4]
  • 1895년 4월 11일(음력) 칙령 제78호 ‘육군복장규칙(陸軍服裝規則)’으로 서구식 군인의 제복이 도입되고, 이어 1895년 4월 19일 칙령 제81호 ‘경무사이하 복제’가 제정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경찰 제복이 시작된다.
  • 근대적 경찰제도는 크게 네 단계로 나뉜다. 1894년 경무청(警務廳) 체제로 시작되어, 1900년에 경부(警部) 체제로 바뀌며, 1902년에 경무청이 복설되고, 1907년 경시청(警視廳)이 설치된다.





주석

  1. 출처: 『고종실록』1897년(광무 원년) 10월 13일(음력 9.17)
  2. 최규순(2011) 1905~1906년 서구식 대례복제도 개정에 나타난 일제의 한국병탄 준비-일본 서구식 대례복 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독립운동사연구, pp. 5-6.
  3. 박선희(2019)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4. 제송희(2016) 조선후기 관원 행렬의 시각화 양상과 특징. 정신문화연구, 39(3), p.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