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경밀직(隱經密織)

DH 교육용 위키
Sharondesig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5일 (화) 00:4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자리를 엮는 제작기법은 은경밀직법(隱經密織法)과 노경소직법(露經疎織法)이 있으며, 강화 참골화문석(등메)는 은경밀직으로 강화 완초(왕골)화문석(莞草花紋席), 자리(蓆)와 방석 등은 노경소직으로 제작한다.

  • 은경밀직으로 제직되던 등메는 이미 사라진 기술이 되었고, 보성, 함평 등에서 일부 작업이 이루어지지만 관련 자료가 적어 실제 공정에 대한 자료가 미흡한 부분이 많다.

해설

의미 및 특징

은경밀직(隱經密織)은 숨을 은隱, 날실(경사) 경經, 빽빽할 밀密, 짤 직織의 뜻으로 자리를 짤 때, 경사가 보이지 않으면서 촘촘하게 짜는 방법이라는 의미이다. 봉경밀직이라고도 한다.
돗틀 참골, 용수초, 왕골의 껍질 따위를 엮어 왕실, 양반가가 사용하고 해외 교역품이었던 등메, 화문석, 용수초지석, 용문석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하며, 골을 한 올씩 가마니 치듯 바디로 다져 짜서 표면을 엮어준 날줄(경사)가 보이지 않는 게 특징이다.
[1]

제직을 위한 도구들

  • 돗틀
  • 씨실(위사)을 날실(경사) 사이에 끼워주는 대

제직 방법

  • ‘돗자리틀(돗틀)’에 먼저 ‘날실’을 건다.(주:돗틀에 날실을 거는 방법이 담긴 자료는 찾지 못하였고, 작업하는 자료만 담았다. 자료는 찾는대로 업데이트 예정이다)
  • 은경밀직1.png 은경밀직은 두 사람이 1조를 이루어 작업해야 한다.
  • 은경밀직2.png 한 사람이 멀려진 틈 사이로 대를 이용하여 씨실(위사)를 집어 넣는다.
  • 은경밀직3.png 씨실(위사)가 놓여진 상태
  • 은경밀직4.png 다른 사람은 바디를 눌러 다진다.
  • 은경밀직6.png 의도적으로 골을 넣지 않는 이상, 경사는 가려진다.

[2]

시각자료

은경밀직인데도 경사골이 보여진다고 여길 수 있지만, 조선시대 때 칡넝쿨을 사용하여 노경소직으로 제작된 자리들과 비교하면 경사가 감춰져있음을 알 수 있다.

영상

  • IRISmovie, 돗자리 짜기 (Korean mat Dotjari making), 게시일:2013년 10월 31일.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945
  2. [광주MBC뉴스] 왕골 5대째 명맥 끊기나 https://www.youtube.com/watch?v=QBSJFpySJvw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정리 및 편집 손형남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