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산교회

DH 교육용 위키
Jack Cho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0일 (목) 20:2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교산교회

강화 최초의 개신교 교회. 1893년 세워진 교항교회(현 강화교산교회)다. 1892년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이며 인천 내리교회를 담임하고 있던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는 몇 차례 강화도에 들어오려고 시도했으나 강화 유수의 거부로 들어올 수 없었다. 강화읍 남문에서 발길을 돌렸다. 이 때 강화도 시루미(지금의 양사면) 출신으로서 인천에 있던 이승환(양사면 시루미 마을 출신으로 제물포에서 주막을 운영)이 예수를 영접하고 인천 내리교회에 출석하고 있었다. 그는 당시 인천의 교회계(계) '계꾼 교인'의 한 명이었다. 한 명의 계꾼이 50명의 돈을 갖고 도망갔으나 이승훈은 교회를 떠나지 않았다. 존스 목사는 세례를 주겠다고 했으나 그는 거부했다. 술파는 사람이라서. 그리고 천국같이 좋은 곳을 가는 일을 고향에 계신 어머니보다 먼저 할 수는 없다고 해서. 그리고 같은 해 여름, 존스 목사는 자신의 어머니에게 세례를 베풀어 달라는 이승환의 요청으로 강화도 북쪽 해안까지 왔다. 그러나 지역 유지인 유학자 김상임의 반대로 육지에 발을 붙일 수 없었다. 그러자 이승환은 한 밤중에 어머니를 업고 해안 갯벌을 지나 존스 목사가 있는 배로 갔다. 그리하여 존스 목사는 이승환의 어머니에게 선상에서 세례를 베풀 수 있었다.

이 장면을 헤스(M.Hess) 선교사는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기독교를 미워하는 주민들의 완강한 반대로 세례예식은 마을에서 거행되지 못했다. 
      아들은 어머니를 등에 업고 존스 박사가 배에서 기다리고 있는 해안으로 나갔다. 그리
      하여 은빛 찬란한 달밤에 한 노파의 기쁨의 잔이 넘쳤으니, 이는 죄 씻음 받은 기쁨의 
      잔이었다. 그녀는 강화의 겨자씨로 불렸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인물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 이승훈, 김상임 전도사, 종순일

강화도의 양반 중 선상세례의 과정에 감명을 받은 이가 있었다. 경주 김씨 가문으로 벼슬을 하지 않고 초시 신분으로 교항(현 교산)에 서당을 차려 후학을 양성하며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끼치던 김상임이 바로 그다. 양반이자 유학자요, 마을의 스승이던 김상임이 예수를 믿기 시작하자 그 파급효과는 컸다. 김상임의 가족은 물론 제자와 다리목과 시루미 마을 주민들도 예수를 믿기 시작했고, 그 여파는 강화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1895년 4월에 그는 15칸 초가와 토지를 기증했다. 이로써 시루미의 이승환 집에 모이던 천민들과 다리목 양반들이 한 곳에 모여 예배를 드리게 됐다. 이후 김상임이 마을의 가신과 산당을 불사르고, 말씀 공부에 집중한 결과 교산교회 신앙공동체의 교인 수가 급증하게 된다. 서민층 일색이던 신앙공동체에 양반층이 합세하며 강화교산교회는 복음을 전 지역으로 확산시키게 된다. 김상임의 개종은 개신교를 부녀자와 천민들이나 믿는 종교로 여기고 천시하던 주민들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되었다. 교산교회는 기존 서민층과 가세한 양반층이 어우러진 균형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강화지역 지도급 인사들이 연이어 개종해 강화 전역으로 복음을 확장시키는 초석이 되었다. 김상임 전도사는 교산 감리교회 2대 담임자로 사역을 하고, 그의 장남 김홍제 전도사는 4대 담임자로, 그의 차남 김우제(김이제) 목사는 강화 중앙감리교회 3대 담임자로 목회를 하였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