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허균·허난설헌 생가

DH 교육용 위키
KOOJH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5일 (수) 16:3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위치

정의

조선시대 여류시인 허난설헌(1563-1589)과 그의 동생인 문신 허균(1569-1618)이 태어난 집이다.

소개

강릉시가 2001년 강원의 얼 선양 사업의 일환으로 허균·허난설헌 선양 사업을 추진하면서 허씨 가족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가옥을 매입하여 복원한 것이다. 5년에 걸쳐 기념관을 건립하고 자료 및 유물을 수집하여, 현재는 허균·허난설헌 기념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일화

  • 허씨 남매의 아버지인 허엽(1517-1580)의 본가는 서울 건천동(乾川洞)[1] 이다. 동인의 영수로 활약하였는데, "동인"은 그의 집이 동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 허엽의 두번째 아내는 예조참판 김광철(1493-1550)의 딸로, 그녀에게서 난 허봉(1551-1588), 허난설헌, 허균이 외가인 강릉에서 출생하였다.
  • 허균은 자신의 출생지 강릉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강릉부(江陵府)는 옛 명주(溟州) 땅인데, 산수의 아름답기가 조선[東方]에서 제일이다. 산천이 정기를 모아가지고 있어 이인(異人)이 가끔 나온다. 국초(國初)의 함동원(咸東原)의 사업이 역사에 실려 있고, 참판 최치운(崔致雲) 부자의 문장과 절개가 또한 동원(東原)만 못지 않다.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호)은 천고에 동떨어지게 뛰어났으니, 온 천하에 찾아보더라도 참으로 찾아볼 수 없으며, 원정(猿亭) 최수성(崔壽城) 또한 뛰어난 행실로 일컬어지고, 중종조의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과 최간재(崔艮齋)의 문장이 세상에 유명하다. 요즘 이율곡(李栗谷) 또한 여느 사람과는 다르다. 우리 중씨(仲氏)와 난설헌 또한 강릉의 정기를 받았다 할 수 있다. 현재는 최운보(崔雲溥) 이후에는 등과(登科)한 사람이 없어, 이인(異人)이나 문인[翰士]을 만나기 쉽지 않다. 그런데도 과거한 선비는 전혀 볼 수 없으니, 또한 극히 성했다가는 쇠해지는 것이 만물의 이치인가보다.[2]

  • 허균이 편집하여 중국에 보낸 <난설헌집>에 실린 죽지사 제 3수에 강릉이 언급되어 있다.
 강릉의 돌쌓인 물가에 살면서 家住江陵積石磯。
 문 앞에 시내에서 비단옷 빨았었네 門前流水浣羅衣。
 아침이면 한가하게 목란주 노 매어놓고 朝來閑繫木蘭棹。
 짝지어 날던 원앙 부러운듯 쳐다봤네 貪看鴛鴦相伴飛
  • 난설헌은 강릉 초당에서 태어나 아버지와 잠시 살았으나 허엽은 곧 경주부윤이 되어 떠났고, 7세 무렵 일가가 서올로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3] 허균 역시 건천동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 난설헌은 1585년 모친상을 당해 강릉 외삼촌 집에 머물렀다. 이때 선계인 광상산(廣桑山)에서 노니는 꿈을 꾸고 일어나 시를 지었는데, 이 시는 그녀가 스물일곱에 죽을 것을 예언한 시참(詩䜟)으로 알려져 있다.
 푸른 바다가 구슬바다 침범하고 碧海侵瑤海
 푸른 난새가 채색 난새 의지하네 靑鸞倚彩鸞
 부용꽃 스물일곱 꽃송이가 芙蓉三九朶
 붉게 지니 달과 서리 서늘하구나 紅墮月霜寒

주석

  1. 현재 중구 인현동 일대로 추정된다.
  2. 한국고전번역원 성소부부고 권 26 부록 학산초담 번역에서
  3. 장정룡, <허난설헌과 강릉>, 강릉시 발행, 1998,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