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Graph:2023:101:윤종웅:구 전남도청02
광주민주화항쟁
광주민주화항쟁은 예전에는 ‘광주 사태’로 불렸었고. 지금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광주민중항쟁(光州民衆抗爭)’ 등으로 불리고 있다. 5・18은 처음 발발 때 계엄사에 의해 ‘무장폭동’, ‘난동’으로 규정되었으나 노태우 정부 이후 국가가 사용하는 공식 명칭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이었고 민주 진보진영에서는 ‘5·18 광주민중항쟁’이라는 용어를 선호했다. 광주민주화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약 10일 동안의 약 2만 5천 명의 군인들이 동원된 무력 폭력 진압으로, 정부 공식발표에 의하면 사망 191명, 부상자 852명을 발생했다. 옛 전남도청에서는 사태 수습을 위해서 노력하던 시민군이 계엄군의 강제 진압이 임박한 5월 26일 어린 학생들과 여자들을 귀가조치 시킨 후 자신들은 전남도청에 끝까지 남아 목숨을 걸고 항전했다. 1980년 5월 27일 새벽, 3공수 여단 특공대가 도청에 남은 마지막 ‘시민군’을 진압하면서 5・18민주화운동은 종결되었다. 한국의 민주화를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국제적으로는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의 민주화에 영향을 주었다.
상무충정작전
‘광주 재진입 작전(光州再進入作戰)’은 1980년 광주민주화 항쟁 당시 공수부대 특공조가 광주 시내의 주요 건물에 은밀히 침투해 시민군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뒤따라 온 보병부대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작전이었다. 계엄군 측의 공식작전명은 ‘상무충정작전(尙武忠正作戰)’이다. 27일 0시 01분 광주 재 진입 상무충정작전은 개시됐고, 대한민국 최정예 3공수 특공조 80명, 11공수 특공조 37명, 7공수여단 특공조 262명이 투입됐다. 5월 27일 새벽 3시 30분 경 광주 시내 주요 지점으로 진입하여, 옛 전남도청에서 3공수여단과 시민군은 새벽 4시 5분에 처음으로 교전이 시작되어 새벽 5시 21분 작전이 완료된다. 이 작전으로 시민군 17명이 사망하고, 수 십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작전 중 계엄군 3명도 숨졌다.
5·18 광주항쟁의 희생자
1980년 5월 21일 옛 전남도청에서 광주 재진입 작전(상무충정작전)에 의해 희생된 희생자
5·18 왜곡 시도
전두환 신군부가 계엄군의 체험수기, 간첩사건 등을 조작해 광주학살 진실을 은폐하려는 시도가 여러 개가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독침사건, 검거 간첩 손성모 사건, 검거 간첩 이청룡 사건, 북한군 개입설 유포 등이다.
상무충정작전
1980년 5월 21일 옛 전남도청에서 광주 재진입 작전(상무충정작전)에 의해 희생된 희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