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1901년(광무 5) 9월 4일, 순빈(淳妃) 엄씨(嚴氏)를 고종황제의 계비(繼妃)로 책봉할 때의 기록.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Contents
1. 時日
- 책봉 의식 준비 및 진행 일정 - 8월 13일 시역(始役), 9월 1일 책서(책봉문서)와 인장(금보) 내입 시행, 9월 4일 책봉 의식 거행
2. 事目
- 8월 13일자 : 의식 준비 기간 동안의 인력 운용 및 물자 조달 등에 관한 기본 원칙 기입
3. 座目
- 책봉 의식의 준비와 진행을 관장한 주요 관원 명단
- 고위 관료들의 경우 堂上, 郎廳 등의 직함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고, 宮內府大臣, 掌禮院卿과 같은 본래 관직명만 기록, 그 외 別看役, 雇員, 使令, 使喚 등의 명단
4. 詔勅
- 책봉 의식과 관련하여 고종이 내린 조칙(詔勅)과 신료들이 올린 주본(奏本)이 날짜순으로 수록
- 8월 2일 領敦寧院事 尹容善이 淳嬪을 妃로 봉할 것을 청하는 상소문으로 시작
-- 天子의 후궁은 妃가 되어야 하며, 더구나 그 아들이 親王이 되었으므로 妃로 陞封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내용
- 8월 3일에는 宮內府特進官 趙秉式 또한 淳嬪의 陞封을 청. 8월 8일 尹容善이 재차 건의하자, 마침내 고종이 이를 허락하고 掌禮院에 책봉 의식 준비를 명함
- 이어지는 詔勅과 奏本들은 주로 담당 관원 차출, 소요 물품 마련 등에 관한 내용
5. 掌禮院奏本
- 장례원에서 올린 주본을 모아 수록, 택일 및 각종 儀節 등에 관한 내용
6. 儀註
- 책비의(冊妃儀), 비수책의(妃受冊儀), 비조현황제의(妃朝見皇帝儀) 등 각종 의식의 제반 절차
7. 金冊文
- 새 황비의 금책문 전문과 형식
8. 印式
- 새 황비의 금도장 형식
9. 冊印封裏式
- 책과 도장을 싸서 궤에 담는 절차
10. 圖說
- 의식에 쓰인 주요 기물들의 정교한 채색 그림, 각 물품 별 규격 및 재료
11. 班次圖
- 금책과 금장을 가져가는 행렬 그림, 총 8면 구성, 인물과 각종 의장 및 기물들의 표현이 크고 자세하며, 채색 또한 선명하고 화려함
12. 造作
- 금책, 금장 및 관련 제구, 각종 의장과 가마 등 의식에 쓰인 물품들의 목록, 각 물품 제작에 쓰인 물자의 종류와 수량, 각종 장인 별 물자 사용 내역
* 의궤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함
13. 實入
- 전체 물자 이용 현황
14. 工匠
- 각종 물품 제작에 참여한 공장들의 명단
15. 甘結
- 시종원(侍從院), 교방사(敎坊司), 경부(警部), 한성부(漢城府) 등 하급 관청에 내려 보낸 공문 수록
-- 주로 의식 준비 및 진행에 필요한 인력 동원과 관련된 내용
16. 財用
- 책봉의식에 쓰인 비용
-- 탁지부(度支部)에서 48,422냥(兩) 3전(錢) 5푼(分)을 가져다 썼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중 인건비로는 매달 별간역(別看役)에게 60냥(兩), 패장(牌將)에게 30냥(兩), 고원(雇員)에게 40냥(兩)을 지급하였고, 각종 공장(工匠)들에게는 매일 2냥(兩) 4전(錢)을 지급
17. 賞典
- 9월 4일자 조칙 - 순비책봉의식에 참여한 이들에 대한 포상 내역
18. 儀軌事例
- 의궤 제작 및 보관에 관한 제반 사항
-- 총 9건 의궤 제작(규장각(奎章閣), 시강원(侍講院), 경선궁(慶善宮(순비 엄씨의 내궁)), 비서원(秘書院), 장례원(掌禮院), 정족산성(鼎足山城), 태백산(太白山), 오대산(五臺山), 적상산성(赤裳山城)에 각 1건씩 分上)
- 소요 물자 내역
19. 署押 (
- 의궤 제작을 관장한 관원들의 관직과 성, 서명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