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1887-03-04-02

DH 교육용 위키
Hyunseung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20일 (일) 16:27 판

(비교) ← 이전 판 | 최신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1년 1학기 AKS 인문정보학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정해진찬의궤 복식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정해진찬의궤』 권3 「의위(儀衛)」 만경전 정일 진찬시 대왕대비전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주렴 안

大王大妃殿

啓請尙儀一,
左右贊禮尙官二,
侍衛尙宮二,
寶差備一,
繖扇差備二,
香串之差備二,
爐烟升差備二,
壽酒亭兼茶亭差備尙食一,
進揮巾差備尙食一 【進匙楪兼行】
進御饌差備尙食二,
進壽爵差備尙食一,
進茶差備尙食一 【進壽 爵差備兼】
宣敎差備一 【啓請尙儀兼】
賜酒差備尙食一, 都執事一, 副執事一 【宣敎差僃兼】
司贊一 【都執事兼】
典贊二,
內賓頒花時唱名差備一,
尙寢一
致詞箋文凾奉入差備尙記一,
以上女官各差備二十八人 【竝簾內擧行】
이상 주렴 안에서

☞주렴 안에서 활동하는 여관 차비를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계청 상의 1
좌우찬례 상궁 2
시위 상궁 2
보차비 1
산선차비 2
향꽂이차비 2
노연승차비 2
수주정 겸 다정차비 상식 1
진휘건차비 상식 1 진시접 겸행
진어찬차비 상식 2
진수작차비 상식 1
진다차비 상식 1 진수작차비를 겸함
선교차비 1 계청상의 겸함
사주차비 상식 1
집사 1
집사 1 선교차비 겸함
사찬 1 도집사 겸함
전찬 2
내빈반화때 창명차비 1
상침 1
치사전문함봉입차비 상기 1
28 이상 여관 각 차비 28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24 ※ 3인의 겸행이 있음. 총 24인.


주렴 밖

奉揮巾差備一 【花仙】

奉御饌差備二 【洞庭月•花仙•傳捧女官】
外賓頒花時唱名差備二 【蕙玉•芙蓉】
鳳扇差備二 【弄珠•小香】
雀扇差備二 【月仙•琪月】
紅蓋差備一 【雪花】
靑蓋差備一 【鶴仙○婢子奉持傳捧女伶】
以上女伶各差備十一名 【竝簾外擧行】
이상 주렴 밖에서

☞주렴 밖에서 활동하는 차비 여령을 아래에 표로 정리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경전진찬' 때에 이들은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봉휘건차비 1 화선
봉어찬차비 2 동정월, 화선 전봉여관
창명차비 2 혜옥, 부용 외빈 반화시
풍선차비 2 롱주, 소향
작선차비 2 월선, 기월
홍개차비 1 설화
청개차비 1 학선 婢子奉持傳捧女伶 비자가 전봉여령으로 봉지한다
11 이상 여령 각 차비 11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10 ※ 1인의 겸행이 있음. 총 10인.


문 밖

陽繖差備一,

金罐子差備二,
銀罐子差備一,
旄節差備一,
旌差備一,
以上婢子各差備十二名 【竝門外奉持】
이상 문 밖에서

旌節八, 龍扇二, 鳳扇二, 雀扇二, 尾扇二, 引人杖二, 蓋四 【竝簾外, 只插儀仗機, 而女伶不爲奉持】
주렴 밖에 의장을 세워두고 여령이 들지 않는다.

☞문 밖에서 활동하는 비자 차비를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양산차비 1
금관자차비 2
은관자차비 1
모절차비 1
정차비 1
6 이상 비자 각 차비 12인. 모두 문 밖에서 봉지.
12


참고

원문 이미지 출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검색서비스, 청구기호 奎14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