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
DH 교육용 위키
목차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壯烈)王妃嘉禮稽制司謄錄』) | |
대표명칭 |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 |
---|---|
한자표기 | 『(壯烈)王妃嘉禮稽制司謄錄』 |
저술시기 | 1638(인조16년) |
간행시기 | 1638. 12 |
간행처 | 계제사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 | 1책(59장)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지정번호 | MF : 35-2914 |
개요
1638년에 거행된 인조와 계비 조씨(장렬왕후 1624~1688)와의 가례 행사에 대해 기록한 등록[1]
내용
1.구성과 내용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의 구성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의 구성체제는 날짜별로 가례의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본문위에 작은 활자로 내용의 주석을 적은 두주(頭註)를 달아 그날의 기록을 요약하고 있어서 논의사항이 무엇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의 내용은 예조에서 올린 계목(啓目) 계목(啓目)은 조선시대 중앙의 관부에서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양식이다. http//www.naver.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단자(單子) 단자(單子)는 부조나 선물 따위의 내용을 적은 종이를 말하며, 사주 또는 후보자의 명단 따위를 적은 종이이다. http//www.naver.com 국어사전 , 시행절목 등이 주류를 이루지만, 다른 관청의 계사(啓事) 계사(啓事)는 임금에게 공사(公事)의 일을 아뢰는 일이다. http//www.naver.com. 한국고전용어사전. 나 첩정(牒呈) 첩정(牒呈)은 조선시대 하급관아에서 상급관아로 올리는 문서이다, http//www.naver.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등도 실려 있다.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의 내용
『(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에 기록된 가례의 진행상황
인조의 계비(繼妃) 장렬왕후의 간택 과정
인조와 장렬왕후의 가례절차
2.『(장렬)왕비가례계제사등록』의 사료적 가치
주석
- ↑ 『장서각소장등록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