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을 노래하다. 세시봉
목차
음악감상실 세시봉
1963년에 서울 무교동에 자리 잡은 음악감상실 '세시봉'은
이후 한국의 통기타 음악 역사에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음악 인프라였다.
상호인 세시봉은 프랑스어인 C'est Si Bon(영어로 it's so good)에서 따온 것인데
영어만 사용해도 문화적으로 앞서가는 분위기를 연출하던 당시
프랑스어를 상호로 사용한다는 자체가 한걸음 더 앞서는 문화를 향유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다른 음악감상실과 다를 수 있었던 것은 음악만 들려준 것이 아니라 당시 젊은이들이 갖고 있었던
음악 이외의 문화를 적극 이끌어내는 차별적인 프로그램들을 요일별로 신설했기 때문.
음악을 감상하는 태도는 감상이라기보다 체질화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그들의 몸에는 음악이 배어있다. 여럿이 있는 곳에서 듣는 음악이어야 건강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집에서 혼자 듣는 음악은 어떤 점은 소아마비적인 것 같을 때가 있지만 음악감상실에서는 한 번도 음악이 싫어본 적이 없었다는 것. -'태양이 있는 지하실 음악감상실의 생태' 주간한국 65.6.13 |
위의 글은 청년문화세대가 함께 모여 음악을 들으며 그들의 중요한 공동체의식과 문화적 정체성을 획득해 나갔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1]
세시봉의 OOO
세시봉의 사람들
세시봉에서 운영했던 많은 프로그램들은 현 대한민국 음악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준 많은 아티스트를 배출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상벽이 진행했던 대학생의 밤[2]이라는 프로그램이었다. 각지의 대학생들이 모여 자신의 끼를 뽐내는 시간이었는데, 이 무대를 통해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조영남,윤형주,이장희,송창식,김세환 등이 데뷔하였고, 이 때 세시봉에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이상벽과 윤여정등이 활동 했다. 이 7명을 아울러 세시봉 7인방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외에도 한대수,김민기, 전유성, 정강자 등 한국 문화의 각 분야에서 영향을 끼친 수많은 인물들이 세시봉을 거쳐갔다.
세시봉의 음악
세시봉과 유신정권
세시봉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
문화적 시도
-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월요일에는 '성점(星占) 감상실'로 수용자들이 신보를 듣고 곡에 별의 숫자로 등급을 매기는 수용자 비평 마당이었다.
수요일에는 '시인만세'라는 프로가 있었는데, 시인을 불러서 자작시를 낭송하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금요일에는 '대학생의 밤'이 마련되어 대학생들의 라이브 노래 마당이 펼쳐졌다.
이 무대에는 각 대학의 통기타 마니아들이 모여들어 첨단 유행인 통기타 음악을 들려줬는데 하나같이 기존 관행을 뛰어넘는 무언가를 지닌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 정강자의 누드 퍼포먼스
1968년 5월 30일 서울의 음악감상실 쎄시봉에서 정강자라고 하는 홍익대 미대생의 '기행'[3]이 벌어졌다. 러닝셔츠와 반바지 차림으로 등장한 여성의 옷을 남자들이 칼로 찢고, 상반신에 투명한 풍선을 붙여댄다. 그리고 풍선을 터뜨리자 여성의 상반신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국내 첫 누드 퍼포먼스로 기록된 ‘투명 풍선과 누드’였다.[4]
문화적 선도
- 통기타음악의 문을 열다
송창식과 윤형주가 1968년 한국 최초의 통기타 듀엣 트윈폴리오를 결성하면서 세시봉은 한국 사회에서 통기타 음악의 문을 연 장소가 되었다. 바로 이런 이유로 세시봉이란 업소명은 현재에 통기타 음악을 상징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 클럽문화의 시초
방송 관계자들은 '쓸 만한' 물건을 헌팅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로 이곳을 드나들었으며, 이들의 측면 지원에 의해 세시봉의 스타들은 이후 1970년대 새로 등장한 통기타 음악의 스타로 가요계를 석권한다. 1960년대 중반의 음악감상실은 한국의 클럽 문화의 시초라고 할 수 있으며, 이곳을 토양으로 통기타 음악은 새로운 음악 문화로 피어오르게 된다.[5]
세시봉의 쇠퇴, 그리고 오비스캐빈
세시봉은 1969년 5월 전세 계약 만료 이후 새집을 구하지 못하고 폐업한다.
주석
- ↑ 김형찬의 대중음악 이야기 <4> 음악과 함께 한 다방의 역사- 음악감상실 세시봉
- ↑ 시작은 대학생 위주로 했지만, 점점 프로 연주자나 명사들의 참여가 많아졌다. 박목월 시인이 와서 좌담회도 열고, 패티김도 대담에 참여하고 그랬으니까요. MBC가 ‘대학가요제’ 만들 때, ‘대학생의 밤’을 모티브로 삼았다는 얘기도 있었다고.
- ↑ 당시로서는 퍼포먼스가 예술이 아닌 기행으로 인식되었다
- ↑ 서울신문 ‘벗은 몸’ 낙인 작가 여성 넘어 인간 해방 꿈꾸다(2018.02.05작성기사)
- ↑ 김형찬의 대중음악 이야기 <4> 음악과 함께 한 다방의 역사- 음악감상실 세시봉
참고문헌
"세시봉, 우리들의 이야기"-윤형주 조선일보 칼럼
다음블로그
국제일보, 김형찬의 대중음악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