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숙룡교(宿龍橋)"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125. 숙룡교(宿龍橋304)) 麗山水出向東流고려산 계곡물이 동쪽 향해 흐르고, 亘一橋龍駕浦頭ʻ용ʼ다리 걸쳤으니 포구의 어가로다. 北望崇陵...)
 
 
1번째 줄: 1번째 줄:
125. 숙룡교(宿龍橋304))
+
麗山水出向東流고려산 계곡물이 동쪽 향해 흐르고,
+
<big>麗山水出向東'''流''' (<small>여산수출향동'''류'''</small>)     고려산 계곡물이 동쪽 향해 흐르고, <br />亘一橋龍駕浦'''頭''' (<small>긍일교룡가포'''두'''</small>)    ʻ용ʼ다리 걸쳤으니 포구의 어가로다.<br />北望崇陵何處是 (<small>북망숭릉하처시</small>)    북쪽의 숭릉은 어디에 있는지,<br />九疑雲影滿天'''浮''' (<small>구의운영만천'''부'''</small>)    의심 많은 구름들이 하늘 가득 떠있네.<br />
亘一橋龍駕浦頭ʻ용ʼ다리 걸쳤으니 포구의 어가로다.
+
 
北望崇陵何處是북쪽의 숭릉은 어디에 있는지,
+
 
九疑雲影滿天浮의심 많은 구름들이 하늘 가득 떠있네.
+
</big>
 
○ 숙룡교(宿龍橋)는 송정(松亭) 앞의 포구의 다리이다. 다리 상하 좌우가 모두 넓은 들이다.
 
○ 숙룡교(宿龍橋)는 송정(松亭) 앞의 포구의 다리이다. 다리 상하 좌우가 모두 넓은 들이다.
 +
 
○ 사람들이 전하기를 “다리 북쪽에는 고려 때에 숭릉(崇陵)이 있었기 때문에 본래의 이름은 숭릉교(崇陵橋)였다고 한다. 불교(佛橋)와 하교(蝦橋)가 이 근처에 있다.
 
○ 사람들이 전하기를 “다리 북쪽에는 고려 때에 숭릉(崇陵)이 있었기 때문에 본래의 이름은 숭릉교(崇陵橋)였다고 한다. 불교(佛橋)와 하교(蝦橋)가 이 근처에 있다.
  
304) 송해면 숭뢰리의 숙룡머리에 있는 다리이다.
+
==참고==
 +
 
 +
* 숙룡교(宿龍橋) : 송해면 숭뢰리의 숙룡머리에 있는 다리이다.

2019년 5월 24일 (금) 12:00 기준 최신판

麗山水出向東 (여산수출향동)     고려산 계곡물이 동쪽 향해 흐르고, 
亘一橋龍駕浦 (긍일교룡가포) ʻ용ʼ다리 걸쳤으니 포구의 어가로다.
北望崇陵何處是 (북망숭릉하처시) 북쪽의 숭릉은 어디에 있는지,
九疑雲影滿天 (구의운영만천) 의심 많은 구름들이 하늘 가득 떠있네.


○ 숙룡교(宿龍橋)는 송정(松亭) 앞의 포구의 다리이다. 다리 상하 좌우가 모두 넓은 들이다.

○ 사람들이 전하기를 “다리 북쪽에는 고려 때에 숭릉(崇陵)이 있었기 때문에 본래의 이름은 숭릉교(崇陵橋)였다고 한다. 불교(佛橋)와 하교(蝦橋)가 이 근처에 있다.

참고

  • 숙룡교(宿龍橋) : 송해면 숭뢰리의 숙룡머리에 있는 다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