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전등사(傳燈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5번째 줄: | 5번째 줄: | ||
− | ○ | + | ○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는 다음과 같다. <br /> |
− | + | 蠟屐登山興自'''淸''' (랍극등산흥자'''청''') 나막신에 산오르니 흥이 절로 맑은데<br />傳燈老釋導吾'''行''' (전등로석도오'''행''') 전등사의 노승은 우리 갈길 인도하네. <br />窓間遠樹齊天立 (창간원수제천립) 창사이로 먼 나무는 하늘 닿아 서있고<br />樓下長風吹浪'''生''' (루하장풍취랑'''생''') 누 아래엔 바람불어 물결이 이는구나. <br />星曆滄茫伍太史 (성력창망오태사) 역법 알아 유명했던 사람은 오태사이고 <br />雲烟縹緲三郞'''城''' (운연표묘삼랑'''성''') 구름 안개가 깁처럼 휘감는 건 [[221.삼랑성(三郞城)|삼랑성]]이네. <br />貞和願幢誰更植 (정화원당수경식) 정화궁주의 원당을 고쳐 세울 자 그 누구인가 <br />壁記塵昏傷客'''情''' (벽기진혼상객'''정''') 벽기에 쌓인 먼지에 손의 마음 상하네. <br /> | |
− | 전등사의 노승은 우리 갈길 인도하네. | + | |
− | 창사이로 먼 나무는 하늘 닿아 서있고 | + | |
− | 누 아래엔 바람불어 물결이 이는구나. | + | |
− | 역법 알아 유명했던 사람은 오태사이고 | + | |
− | 구름 안개가 깁처럼 휘감는 건 [[221.삼랑성(三郞城)|삼랑성]]이네. | + | |
− | 정화궁주의 원당을 고쳐 세울 자 그 누구인가 | + | |
− | 벽기에 쌓인 먼지에 손의 마음 상하네. | + | |
오태사(伍太史)는 오윤부(伍允浮)이다.<br /> | 오태사(伍太史)는 오윤부(伍允浮)이다.<br /> | ||
− | ○ | + | ○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이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br /> |
− | + | 南指伽藍海北'''漘''' (남지가람해북'''순''') 남쪽의가람은 해변 북쪽을 가리키고 <br />紫霞飛散碧嶙'''峋''' (자하비산벽린'''순''') 자주빛 노을은 푸른 누에 날아 흩어지네. <br />三韓俗節流頭日 (삼한속절류두일) 삼한에서 세속의 명절은 유두 일이고 <br />萬卷書床刺股'''人''' (만권서상자고'''인''') 만권의 서실에선 학문에 몰두하네. <br />舊醳剩燒消瘴毒 (구역잉소소장독) 오랜 술을 태워서 풍토병을 치료하고 <br />小鷄初炙備時'''珍''' (소계초자비시'''진''') 병아리를 구워서 진료에 대비하네. <br />未能相訪徒相問 (미능상방도상문) 찾아가진 못하고 속절없이 물으니 <br />符竹深慚誤此'''身''' (부죽심참오차'''신''') 이 몸이 잘못된 걸 무척이나 부끄럽네. <br /> | |
− | 자주빛 노을은 푸른 누에 날아 흩어지네. | + | |
− | 삼한에서 세속의 명절은 유두 일이고 | + | |
− | 만권의 서실에선 학문에 몰두하네. | + | |
− | 오랜 술을 태워서 풍토병을 치료하고 | + | |
− | 병아리를 구워서 진료에 대비하네. | + | |
− | 찾아가진 못하고 속절없이 물으니 | + | |
− | 이 몸이 잘못된 걸 무척이나 부끄럽네. | + | |
− | ○ | + | ○ 내가 20년 전에 이 절을 노닐다가 시를 지은 적이 있다. 그시는 다음과 같다. <br /> |
− | + | 三月風和日又'''淸''' (삼월풍화일우'''청''') 삼월이라 바람이 온화하고 맑으니 <br />傳燈寺路我今'''行''' (전등사로아금'''행''') 전등사 가는 길이 지금의 내 길이네. <br />千株樹邑參天立 (천주수읍참천립) 수많은 나무 자라 하늘 닿아 서있는데 <br />萬里江聲拍岸'''生''' (만리강성박안'''생''') 만리의 강소리는 절벽 에서 나는구나. <br />聖傳事業璿源閣 (성전사업선원각) 성인을 모시고자 [[선원각]]을 지었고 <br />神築形容鼎足'''城''' (신축형용정족'''성''') 신이 쌓아 훌륭하고 뛰어난 건 [[정족성]]이네. <br />大雄殿上黃金佛 (대웅전상황김불) 대웅전 앞에 있는 황금의 부처님은 <br />黙黙無言此世'''情''' (묵묵무언차세'''정''') 이 세상 마음에 아무 말도 없구나. | |
− | 전등사 가는 길이 지금의 내 길이네. | + | |
− | 수많은 나무 자라 하늘 닿아 서있는데 | + | |
− | 만리의 강소리는 절벽 에서 나는구나. | + | |
− | 성인을 모시고자 [[선원각]]을 지었고 | + | |
− | 신이 쌓아 훌륭하고 뛰어난 건 [[정족성]]이네. | + | |
− | 대웅전 앞에 있는 황금의 부처님은 | + | |
− | 이 세상 마음에 아무 말도 없구나. | + | |
<googlemap lat="37.631972" lon="126.484569" type= "normal" zoom="14.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googlemap lat="37.631972" lon="126.484569" type= "normal" zoom="14.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2019년 5월 10일 (금) 07:07 기준 최신판
傳燈寺下覺心淸 (전등사하각심청) 전등사에 이르니 마음이 맑아지네.
老去奇觀在此行 (노거기관재차행) 늘그막의 명승관광 여기에서 하게 됐네.
樹頭鸎喚黃金擲 (수두앵환황금척) 나무 위에 꾀꼬리 우니 황금을 던진 듯 하고,
甃口龍噴白玉生 (추구용분백옥생) 우물 입구서 용이 내뿜으니 백옥이 생기는 듯.
○ 전등사(傳燈寺)는 정족산성(鼎足山城)에 있는데 언제 창건되었는지 알 수 없다. 고려 원종 7년(1266, 元 至元 3년)까지 세 번 중수하였고, 고려 충렬왕 원비(元妃) 정화궁주(貞和宮主)가 승려 인기(印奇)를 시켜 배를 타고 중국에 가서 대장경을 인쇄하여 오게 하여 이 절에 두었다고 한다. 불전(佛前)에 옥등(玉燈)이 있으니 역시 정화궁주가 시주한 것이라고 한다.
○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시는 다음과 같다.
蠟屐登山興自淸 (랍극등산흥자청) 나막신에 산오르니 흥이 절로 맑은데
傳燈老釋導吾行 (전등로석도오행) 전등사의 노승은 우리 갈길 인도하네.
窓間遠樹齊天立 (창간원수제천립) 창사이로 먼 나무는 하늘 닿아 서있고
樓下長風吹浪生 (루하장풍취랑생) 누 아래엔 바람불어 물결이 이는구나.
星曆滄茫伍太史 (성력창망오태사) 역법 알아 유명했던 사람은 오태사이고
雲烟縹緲三郞城 (운연표묘삼랑성) 구름 안개가 깁처럼 휘감는 건 삼랑성이네.
貞和願幢誰更植 (정화원당수경식) 정화궁주의 원당을 고쳐 세울 자 그 누구인가
壁記塵昏傷客情 (벽기진혼상객정) 벽기에 쌓인 먼지에 손의 마음 상하네.
오태사(伍太史)는 오윤부(伍允浮)이다.
○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이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南指伽藍海北漘 (남지가람해북순) 남쪽의가람은 해변 북쪽을 가리키고
紫霞飛散碧嶙峋 (자하비산벽린순) 자주빛 노을은 푸른 누에 날아 흩어지네.
三韓俗節流頭日 (삼한속절류두일) 삼한에서 세속의 명절은 유두 일이고
萬卷書床刺股人 (만권서상자고인) 만권의 서실에선 학문에 몰두하네.
舊醳剩燒消瘴毒 (구역잉소소장독) 오랜 술을 태워서 풍토병을 치료하고
小鷄初炙備時珍 (소계초자비시진) 병아리를 구워서 진료에 대비하네.
未能相訪徒相問 (미능상방도상문) 찾아가진 못하고 속절없이 물으니
符竹深慚誤此身 (부죽심참오차신) 이 몸이 잘못된 걸 무척이나 부끄럽네.
○ 내가 20년 전에 이 절을 노닐다가 시를 지은 적이 있다. 그시는 다음과 같다.
三月風和日又淸 (삼월풍화일우청) 삼월이라 바람이 온화하고 맑으니
傳燈寺路我今行 (전등사로아금행) 전등사 가는 길이 지금의 내 길이네.
千株樹邑參天立 (천주수읍참천립) 수많은 나무 자라 하늘 닿아 서있는데
萬里江聲拍岸生 (만리강성박안생) 만리의 강소리는 절벽 에서 나는구나.
聖傳事業璿源閣 (성전사업선원각) 성인을 모시고자 선원각을 지었고
神築形容鼎足城 (신축형용정족성) 신이 쌓아 훌륭하고 뛰어난 건 정족성이네.
大雄殿上黃金佛 (대웅전상황김불) 대웅전 앞에 있는 황금의 부처님은
黙黙無言此世情 (묵묵무언차세정) 이 세상 마음에 아무 말도 없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