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의 직물산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강화 직물산업'''==
 
=='''강화 직물산업'''==
==='''국문 개관'''===
+
==='''직물산업'''===
1933년 [[강화도]] 지역에 설립된 최초의 [[직물공장]]으로 폐업 이후 방치되어 있다가 2018년 보수공사 끝에 카페,전시실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공장 건물의 골조를 그대로 살리고 기계들을 비롯한 1970년대 일상 소품부터 수입 장식품들을 곳곳에 배치해서 부지 전체가 거대한 설치 미술품처럼 운영되고 있다. 여러 방송매체와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점차 입소문을 타고 현재는 강화도 최고의 관광명소로 자리잡았다.
+
직물공업은 실을 원료로 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산업으로 우리나라의 직물공업은 1960년 중반부터 방직공업과 더불어 급속히 발전하였다. 강화도는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 최고의 직물생산지였다. 한때 30여 개의 직물공장이 몰려있었고, 그 규모는 당시 섬유산업의 메카였던 [[대구]]와 어깨를 견줄 정도였다. 수천 명의 공장 노동자가 거주하며 강화 지역경제를 책임지고 있었으나, 대구를 중심으로 현대식 섬유공장이 들어서고 나일론 등 인조직물이 등장하면서 강화 직물 산업은 사양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현재는 [[소창]] 공장 10여 곳만이 대부분 가내 수공업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
건물 외관은 1958년 폐업된 당시의 원형 그대로 두고 내부를 카페, 전시실, 작업공간으로 리모델링하였다. 보일러실은 주문 및 음료제조 공간으로, 가장 큰 건물인 공장 내부에는 양쪽으로 의자를 배치해 카페를 찾는 손님들을 위한 테이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당시의 콘크리트 구조물뿐 아니라 기계를 들어낸 곳에 길을 만들고  인조 직물을 생산하던 방직기계 지지대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
<ref>[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770, 홍인희, "[세상읽기] 조양방직과 도시재생", 『인천투데이』, 2019년 3월 25일]</ref>
+
  
==='''영문 개관'''===
+
<ref>[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770, 홍인희, "네이버 지식백과]</ref>
Cho Yang Bangjik is the first textile factory established in the Ganghwa Island area in 1933. It had been left unattended since its closure, but was reborn as a cafe and exhibition room space after renovation in 2018. The entire site is run like a giant installation art, keeping the structure of the factory building intact and placing imported ornaments from machines and other everyday items in the 1970s. Ganghwa Island is now a top tourist attraction, as many media outlets and media outlets are known.
+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as remodeled into a cafe, exhibition room, and work space, leaving the interior intact from the time it was closed in 1958. Boiler rooms are used as ordering and beverage manufacturing spaces, while chairs are placed on both sides inside the factory, the largest building, to serve as tablespaces for customers visiting cafes. In addition to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time, the textile supports that used to make roads and produce artificial fabrics were preserved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20번째 줄: 15번째 줄:
  
 
=='''해방이후'''==  
 
=='''해방이후'''==  
조양방직 카페[[신문리 미술관]]의 설립자 [[이용철]] 대표는 지인의 소개로 폐공장을 방문, 리모델링을 결심하고 1년여간 폐공장 부지를 임대하여 2017년 7월 2일부터 공사를 시작하였다. 쓰레기 치우는 것만 몇 달 걸렸다고. 이 대표는 " 세상에 쓸모없는 물건은 없다는 믿음"으로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이곳이 지나치게 상업적인 공간이 되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조양방직 공간을 하나의 거대한 설치 미술작품으로 인식하고, '신문리 미술관'이라는 이름으로 2018년 7월 새롭게 개관하였다.
+
1. 해방전 강화도의 직물공업: 주로 가내수공업
 +
거의 모든 가국에서 수족기를 갖추고 주로 면직물을 생산하여 일주일에 한번씩 서는 장날에 판매
 +
일제시대 말 근대적 직물공장이 세워지면서 인견직 생산이 주를 이루었다.
 +
 
 +
당시 주요 공장: 조양견직주식회사, 십자당직물, 강화산업조합
 +
- 100명 이하의 종업원과 80여대의 직조기를 갖춤
 +
- 많은 생산량을 기대하기느 어려움
 +
기존의 직물공장에 심도직물등이 합세
 +
생산량이 늘어나기는 하였으나 당시의 제품수요에 비해 생산량 부족
 +
 
 +
=== 부흥기:  50~60년대===
 +
주요 공장: 남화직물, 심도직물, 상호직물, 평화직물
 +
60년대: 동광직물, 무림직물, 삼화직물, 심도직물, 상호직물
 +
 
 +
50년대 강화도 직물공업은 6.25전쟁을 기점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다가 강화도의 직물공업은 60년대 이루어 절정을 이루었다. 전후 필품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직물공장들이 호황을 누린 까닭이다. 전국적으로 강화의 인조견에 대한 명성이 높아지고 수요량이 공급량을 항상 초과하는 부흥기를 이끌었다. 직물 공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50년대 들어서 직물 공장수가 급격히 늘어가 특히 인격직을생산하는 공장수가 급격히 늘어나 30여개에 달하였다. 때분에 40년대부터 있었던 기존의 직물공장들은 수요의 대처할 수 없을 정도였다. 다만 당시 교통조건이 열악해 강화도와 육지를 잇는 수단은 하루에 한번 오가는 나룻배뿐이었다. 동란 이후 급성장을 보이기 싲가한 근대적 직리를 갖춘 군소 공장들의 수가 50년에 비해 배에 달했다. 60년대 중반에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업체간 과잉경쟁과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후 수출정책에 따라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북일대 등 타지방으로 직물공업의 주도권이 넘어감. 강화도에서는 면직(천연섬유), 인견직(인조 섬유)을 생산하는 반면 대구 등 타지방에서는 합성 섬유의 대량 생산 체제에 돌입한 것도 타격의 원인이었다. 60년대 강화에서 생산된 면직, 인견직은 주로 옷감, 이불감등으로 사용되었다.
 +
 
 +
===  '''70년대'''===
 +
: 동광직물, 경도직물, 풍농직물
 +
강화대교 개통
 +
생산품 수송이 용이해졌음
 +
강화의 직물공업은 73년 석유파동을 겪으며 사양길로 접어들게 도미
 +
임금상승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됨60년대부터 있었던 기존의 공장들이 좁은 내수 시장에서 과다 경쟁을 벌인데다가 석유 파동 후 그 어려움이 가중되어 73년과 74년에 걸쳐 많은 공장들이 폐업을 하게되었다.
 +
폐업을 하지 ㅇ낳은 공장들은 나름대로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 60년대 인견직 생산에만 의존하던 생산체제를 폴리에스테르 등 화학 섬유 생산체제로 바꾸기 시작했다. 이때 생산되었던 제품들을 살펴보면 커텐지, 카바지, 양장지 등이다.
 +
 
 +
 
 +
== '''쇠퇴기: 80년대 이후''' ==
 +
73년의 석유 파동 후 화학 섬유 생산 체제가 오늘날까지 지속. 과거 수십여개에 달하던 직물 공장들이 현재는 ㅅ미도직물, 동진직물, 남화직물, (주) 두울 등 4개의 법인 기업ㅊ와 소규모의 개인 기업이 있을 따름이다. 현재 이들 업체들은 국내 대기업의 하청을 받거나 수출을 하고 있다.
 +
참고로 87년 현재 면직 공장의 직조기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0,60년대 '강화 인견'하면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던 강화도의 직물 공업이 현재는 쇠퇴 일로를 걷고 있다. 앞에서 역사적으로 살펴본 결과 석유 파동 후 임금 상승 압박과 국내 시장내 업체간 과잉 경쟁, 또한 화학 섬유처럼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지 못했던 점이 그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70년대 초 많은 공장들이 폐업을 하게 되고 또 설비가 기계화됨에 따라 종업원수가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강화도 전체 인구수의 변화를 보더라도 직물 공업의 성장 쇠퇴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직물 공업이 번창하던 시기에는 인구도 증가 일로에 있었으며 70년대를 거쳐 80년대 들어서는 직물 공업의 쇠퇴와 더불어 인구도감소 일로에 있음을 볼 수 있다.
 +
 
 +
 
 +
==='''강'''===
  
==='''90년대 이후'''===
 
* "우리 박물관이 물건에 대한 시선을 달리해보는 체험학습장이 되면 좋겠어요. 트랙터나 경운기로 테이블을 만든 것도 그런 의도가 있거든요. [..] 하찮다고 낙인찍은 사물의 품격이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특히 어린이들이 느낄 수 있으면 해요." <ref>[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26, 김세라,"조양방직은 세월이 다듬은 최고의 예술작품입니다.", 『강화뉴스』,  2018년 7월 24일] </ref>
 
* "과거 조양방직이 강화읍의 부흥을 이끌었듯, 현재 조양방직이 재탄생해 다시 강화읍으로 르네상스를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해 이곳에서 결혼식도 하고 국제회의도 열 수 있게 하는 게 꿈" <ref> 김서진 외4명, 「강화도의 직물공업 」, 『綠友硏究論集 』30권, 梨花女子大學校 師範大學 社會生活科,1988, 94-109(16쪽), </ref>
 
  
 
=='''강화의 직물산업'''==
 
=='''강화의 직물산업'''==
강화도는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 최고의 직물생산지였다. 한때 30여 개의 직물공장이 몰려있었고, 그 규모는 당시 섬유산업의 메카였던 [[대구]]와 어깨를 견줄 정도였다. 수천 명의 공장 노동자가 거주하며 강화 지역경제를 책임지고 있었으나, 대구를 중심으로 현대식 섬유공장이 들어서고 나일론 등 인조직물이 등장하면서 강화 직물 산업은 사양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현재는 [[소창]] 공장 10여 곳만이 대부분 가내 수공업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
 
  
 
=== '''관련 이야기 : 심도직물 굴뚝'''===
 
=== '''관련 이야기 : 심도직물 굴뚝'''===

2019년 5월 6일 (월) 21:08 판

강화 직물산업

직물산업

직물공업은 실을 원료로 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산업으로 우리나라의 직물공업은 1960년 중반부터 방직공업과 더불어 급속히 발전하였다. 강화도는 1970년대까지 우리나라 최고의 직물생산지였다. 한때 30여 개의 직물공장이 몰려있었고, 그 규모는 당시 섬유산업의 메카였던 대구와 어깨를 견줄 정도였다. 수천 명의 공장 노동자가 거주하며 강화 지역경제를 책임지고 있었으나, 대구를 중심으로 현대식 섬유공장이 들어서고 나일론 등 인조직물이 등장하면서 강화 직물 산업은 사양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현재는 소창 공장 10여 곳만이 대부분 가내 수공업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1]


일제강점기

  • 영업시간 : AM 11:00 ~ PM 10:00
  • 연락처 : 032-933-2192
  • 대표 : 이용철
  • 주차 : 인근 대형주차장 운영(비포장), 주차비 무료
  • 면적 : 990 ㎡(약 300평)

해방이후

1. 해방전 강화도의 직물공업: 주로 가내수공업 거의 모든 가국에서 수족기를 갖추고 주로 면직물을 생산하여 일주일에 한번씩 서는 장날에 판매 일제시대 말 근대적 직물공장이 세워지면서 인견직 생산이 주를 이루었다.

당시 주요 공장: 조양견직주식회사, 십자당직물, 강화산업조합 - 100명 이하의 종업원과 80여대의 직조기를 갖춤 - 많은 생산량을 기대하기느 어려움 기존의 직물공장에 심도직물등이 합세 생산량이 늘어나기는 하였으나 당시의 제품수요에 비해 생산량 부족

부흥기: 50~60년대

주요 공장: 남화직물, 심도직물, 상호직물, 평화직물 60년대: 동광직물, 무림직물, 삼화직물, 심도직물, 상호직물

50년대 강화도 직물공업은 6.25전쟁을 기점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다가 강화도의 직물공업은 60년대 이루어 절정을 이루었다. 전후 필품에 대한 수요 급증으로 직물공장들이 호황을 누린 까닭이다. 전국적으로 강화의 인조견에 대한 명성이 높아지고 수요량이 공급량을 항상 초과하는 부흥기를 이끌었다. 직물 공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50년대 들어서 직물 공장수가 급격히 늘어가 특히 인격직을생산하는 공장수가 급격히 늘어나 30여개에 달하였다. 때분에 40년대부터 있었던 기존의 직물공장들은 수요의 대처할 수 없을 정도였다. 다만 당시 교통조건이 열악해 강화도와 육지를 잇는 수단은 하루에 한번 오가는 나룻배뿐이었다. 동란 이후 급성장을 보이기 싲가한 근대적 직리를 갖춘 군소 공장들의 수가 50년에 비해 배에 달했다. 60년대 중반에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업체간 과잉경쟁과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후 수출정책에 따라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북일대 등 타지방으로 직물공업의 주도권이 넘어감. 강화도에서는 면직(천연섬유), 인견직(인조 섬유)을 생산하는 반면 대구 등 타지방에서는 합성 섬유의 대량 생산 체제에 돌입한 것도 타격의 원인이었다. 60년대 강화에서 생산된 면직, 인견직은 주로 옷감, 이불감등으로 사용되었다.

70년대

동광직물, 경도직물, 풍농직물

강화대교 개통 생산품 수송이 용이해졌음 강화의 직물공업은 73년 석유파동을 겪으며 사양길로 접어들게 도미 임금상승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됨60년대부터 있었던 기존의 공장들이 좁은 내수 시장에서 과다 경쟁을 벌인데다가 석유 파동 후 그 어려움이 가중되어 73년과 74년에 걸쳐 많은 공장들이 폐업을 하게되었다. 폐업을 하지 ㅇ낳은 공장들은 나름대로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 60년대 인견직 생산에만 의존하던 생산체제를 폴리에스테르 등 화학 섬유 생산체제로 바꾸기 시작했다. 이때 생산되었던 제품들을 살펴보면 커텐지, 카바지, 양장지 등이다.


쇠퇴기: 80년대 이후

73년의 석유 파동 후 화학 섬유 생산 체제가 오늘날까지 지속. 과거 수십여개에 달하던 직물 공장들이 현재는 ㅅ미도직물, 동진직물, 남화직물, (주) 두울 등 4개의 법인 기업ㅊ와 소규모의 개인 기업이 있을 따름이다. 현재 이들 업체들은 국내 대기업의 하청을 받거나 수출을 하고 있다. 참고로 87년 현재 면직 공장의 직조기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50,60년대 '강화 인견'하면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던 강화도의 직물 공업이 현재는 쇠퇴 일로를 걷고 있다. 앞에서 역사적으로 살펴본 결과 석유 파동 후 임금 상승 압박과 국내 시장내 업체간 과잉 경쟁, 또한 화학 섬유처럼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지 못했던 점이 그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70년대 초 많은 공장들이 폐업을 하게 되고 또 설비가 기계화됨에 따라 종업원수가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강화도 전체 인구수의 변화를 보더라도 직물 공업의 성장 쇠퇴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직물 공업이 번창하던 시기에는 인구도 증가 일로에 있었으며 70년대를 거쳐 80년대 들어서는 직물 공업의 쇠퇴와 더불어 인구도감소 일로에 있음을 볼 수 있다.


강화의 직물산업

관련 이야기 : 심도직물 굴뚝

심도직물은 1947년부터 2005년까지 운영됐던 국내 굴지의 섬유회사이다. 1960-1970년대에는 직원이 약 1천 200여 명 정도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공장터에 굴뚝의 일부가 남아있다. 근처에 철종의 고향인 용흥궁 공원이 조성되자 심도직물을 기억하는 강화읍 주민들이 이를 기념하는 표지서와 함께 2008년에 세워둔 것이다.

주요 연혁

   · 1933년 : 강화지주였던 홍재묵, 홍재용 형제가 조양방직 주식회사 설립
              - 자본금 50만원(불입자본금 12만 5,000원)으로 시작
              - 건축 연면적 700여평, 일본 나고야, 오사카 등지에서 기계 50대를 수입
              - 주로 인조견 생산
   · 1942년 : 홍씨 형제는 경영이 어려워지자 일본기업 미쓰이(三井:삼정물산) 출신 이세현이 인수
   · 1958년 : 조양방직 폐업
   · 2017년 : 현 대표 이용철이 인수, 7월 2일 공사 시작
   · 2018년 :「신문리 미술관」이라는 이름으로 7월 24일 개관

사진

그래프


위치

관련 사이트

출처

  1. 홍인희, "네이버 지식백과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4. 편집 이수민 인문정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