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 남산동(南山洞 수록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壽祿巖前壽祿增수록암 앞에 살면 수명 복록이 늘어난다는데, 南宮世世卜居仍남궁씨 가문이 대를 이어 살고 있네. 乃知壽祿由心德수명과...)
 
1번째 줄: 1번째 줄:
壽祿巖前壽祿增수록암 앞에 살면 수명 복록이 늘어난다는데,
+
<big>壽祿巖前壽祿'''增''' (<small>수록암전수록'''증'''</small>)    수록암 앞에 살면 수명 복록이 늘어난다는데, <br />南宮世世卜居'''仍''' (<small>남궁세세복거'''잉'''</small>)    남궁씨 가문이 대를 이어 살고 있네.<br />乃知壽祿由心德 (<small>내지수록유심덕</small>)    수명과 복록은 심덕(心德)에서 나옴을 알겠으니,<br />一鑑東天水月'''澄''' (<small>일감동천수월'''징'''</small>)  동쪽 하늘 물에 비친 달을 거울삼고 살았네.<br />
南宮世世卜居仍남궁씨 가문이 대를 이어 살고 있네.
+
</big>
乃知壽祿由心德수명과 복록은 심덕(心德)에서 나옴을 알겠으니,
+
 
一鑑東天水月澄동쪽 하늘 물에 비친 달을 거울삼고 살았네.
+
 
○ 함열 남궁씨인 부제학 남궁찬(南宮璨)139)의 후손이 수록암
+
○ 함열 남궁씨인 부제학 남궁찬(南宮璨)의 후손이 수록암 마을에서 대대로 세습하여 살았다. 손자 남궁제(南宮埞)는 진사로서 행실과 의리에 돈독하였다. 향리에서 장녕전(長寧殿) 참봉에 제수된 것으로 인하여 형조좌랑 회덕 현감을 지냈다.
을에서 대대로 세습하여 살았다. 손자 남궁제(南宮埞)는 진사로서
+
○ 그 아들 남궁헌(南宮(金憲))은 관직이 인동 부사에 이르렀는데 효행이 뛰어났었다. 영조 계유년(1753)에 정려문을 내려주었다. 그 아들 남궁철(南宮澈)은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그 후손 가선대부 남궁일(南宮鎰)과 남궁주(南宮澍) 부자는 향반(鄕班)의 우두머리가 되었으니 어찌 장수와 복록의 징험이 아니겠는가?
실과 의리에 돈독하였다. 향리에서 장녕전(長寧殿) 참봉에 제수된
+
 
으로 인하여 형조좌랑 회덕 현감을 지냈다.
+
○ 그 아들 남궁헌(南宮金憲)은 관직이 인동 부사에 이르렀는데
+
행이 뛰어났었다. 영조 계유년(1753)에 정려문을 내려주었다. 그
+
남궁철(南宮澈)은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그 후손 가선대부 남궁일
+
(南宮鎰)과 남궁주(南宮澍) 부자는 향반(鄕班)의 우두머리가 되었으니
+
어찌 장수와 복록의 징험이 아니겠는가?
+
 
137) 강화읍 남산리이다.
 
137) 강화읍 남산리이다.
138) 이형상 ≪강도지≫에 보이는 남산 남쪽에 수륙암리(水陸庵里)가 수록암·
+
138) 이형상 ≪강도지≫에 보이는 남산 남쪽에 수륙암리(水陸庵里)가 수록암·술감으로도 불린 것으로 짐작된다.
술감으로도 불린 것으로 짐작된다.
+
139) 남궁찬(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자는 여헌(汝獻), 호는 창랑(滄浪). 제주목사·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39) 남궁찬(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자는 여헌(
+
), 호는 창랑(滄浪). 제주목사·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

2019년 4월 21일 (일) 19:36 판

壽祿巖前壽祿 (수록암전수록)     수록암 앞에 살면 수명 복록이 늘어난다는데, 
南宮世世卜居 (남궁세세복거) 남궁씨 가문이 대를 이어 살고 있네.
乃知壽祿由心德 (내지수록유심덕) 수명과 복록은 심덕(心德)에서 나옴을 알겠으니,
一鑑東天水月 (일감동천수월) 동쪽 하늘 물에 비친 달을 거울삼고 살았네.


○ 함열 남궁씨인 부제학 남궁찬(南宮璨)의 후손이 수록암 마을에서 대대로 세습하여 살았다. 손자 남궁제(南宮埞)는 진사로서 행실과 의리에 돈독하였다. 향리에서 장녕전(長寧殿) 참봉에 제수된 것으로 인하여 형조좌랑 회덕 현감을 지냈다. ○ 그 아들 남궁헌(南宮(金憲))은 관직이 인동 부사에 이르렀는데 효행이 뛰어났었다. 영조 계유년(1753)에 정려문을 내려주었다. 그 아들 남궁철(南宮澈)은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그 후손 가선대부 남궁일(南宮鎰)과 남궁주(南宮澍) 부자는 향반(鄕班)의 우두머리가 되었으니 어찌 장수와 복록의 징험이 아니겠는가?

137) 강화읍 남산리이다. 138) 이형상 ≪강도지≫에 보이는 남산 남쪽에 수륙암리(水陸庵里)가 수록암·술감으로도 불린 것으로 짐작된다. 139) 남궁찬(생몰년 미상)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자는 여헌(汝獻), 호는 창랑(滄浪). 제주목사·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