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생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관련 설화 == 제주도에 부임하는 목사는 부임하자마자 모두 죽어나갔다. 그런 상황이 되니 나라에 제주목사되겠다는 사람을 찾아 볼 수...)
 
1번째 줄: 1번째 줄:
  
 
== 관련 설화 ==
 
== 관련 설화 ==
제주도에 부임하는 목사는 부임하자마자 모두 죽어나갔다. 그런 상황이 되니 나라에 제주목사되겠다는 사람을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어 급기야는 널리 방을 붙여 제주목사를 공개 채용하는 형국이 되었는데, 이때 떡하니 나랏님 앞으로 나서 “제가 제주목사가 되겠습니다.”라고 이야기한 용감한 청년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정병사(이름: 정기원) 였다. 그런데 부임을 해보니, 이게 뭔 조화인지, 육지 사람을 싫어하는 키가 껑충 큰 도깨비가 나타나서 해꼬지를 하는 것이다? 어려서부터 담이 크고 기운이 센 정기원은 그 도깨비를 제압하게 되고 그 도깨비는 정병사를 돕는 존재로 다시 태어나고 정병사는 병사벼슬까지 하겠다고 도깨비의 예언을 듣게 된다.
+
제2대 부통령, 동아일보사, 고려대학교를 설립한 인촌 김성수와 삼양사, 경방을 설립한 수당 김연수 형제의 생가이다. 그들은 1907년 이곳을 떠나 이사를 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화적때의 잦은 출몰과 귀화(도깨비불)의 출몰로 이곳을 떠나게 된다." 당시 전북 일대에서 소문난 만석꾼 집안이었던 김성수의 생가는 도깨비불이 자주 일어나기로도 유명했다. 그리고 인촌 집안의 재력이 눈덩이 처럼 불어나게 된것도 도깨비의 도움이라고 회자되고 있다. 집안의 곳간 구석구석에서 '도깨비불지른 곳'이라는 푯말을 찾아볼 수 있다. 도깨비 불이 생기고 난 다음날이면 도깨비가 입었다고 생각 될 만한 옷들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다고 한다. 현재까지도 지붕의 아래에는 불이 났었던 흔적이 선명하며, 그로 인해 수차례에 걸친 증축에도 불구하고 불이 난 흔적을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당시에는 지방의 도적이 자주 출몰하여, 집안의 화를 경고한 도깨비의 뜻이라고 그를 받아들여서, 결국 인촌 일가는 이곳을 다른 사람에게 맞기고 줄포라는 곳으로 이사한다. 이와 관련해서 '도깨비 이용해서 부자되기'라는 이야기가 <초등학교 2학년 읽기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장난 치기를 좋아하는 도깨비가 하루는 논밭에 똥을 잔뜩 가져다 놓았다. 이를 도깨비의 장난으로 생각한 인촌의 조부는 꾀를
 
+
써서, "올해 농사는 망쳤다. 이렇게 똥이 논밭에 많으면 어떻게 한해 농사를 마무리 짓나!" 라며 탄식했다. 이 장면을 본 도깨비는 인촌의 조부가 똥이 논과 밭에 있는것을 싫어한다고 생각하고 이 지역 일대의 모든 똥을 모아서, 그날 밤 인촌가의 논밭에 뿌려 놓았고 농사는 유래없는 풍년을 맞게 되어 인촌가는 큰 부자가 되었다.
 
+
정기원은 어려서부터 담이 크고 기운이 센 사람이었는데, 주변에 늘 도깨비가 나타나서 정병사님 안녕하셨습니까? 하고 문안을 했다고 한다. 한번은 입산수도를 마치고 내려와서 고향에 들렸는데, “정병사님 이제오십니까” 하고 인사를 하기에 “그대는 누구요?”하고 물어보니, “저는 김공입니다.”라고 대답을 했단다. 김공이라고하면 키가 큰 도깨비를 일컫는 말로 정병사가 “그러면 그대는 도깨비요”하고 되물었는데 눈을 들어 보니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때 정병사는 제주목사가 죽어나간다는 말을 듣고 고향에 잠시 들렀다가 서울로 제주목사를 자청하러 가는 참이었다. 나라에 고하고 제주로 부임을 하게 되었는데, 신임사또를 맞이하는 제주사람들의 눈빛에서 이상함을 느낀 정병사는 칼을 품고 부임 첫날밤을 보낸다. 아니나 다를까? 그날 밤 육지 사람을 싫어하는 섬사람들의 무리가 정병사를 덮쳤지만 모두 제압당한다. 첫날밤을 잘 넘긴 정병사는 제주목사로 치적을 쌓았으며 이 계기를 통해 병사벼슬까지 올라가는 기회를 잡았다고 한다.
+
 
+
 
+
 
== 노드관계표 ==
 
== 노드관계표 ==
  

2017년 6월 12일 (월) 15:46 판

관련 설화

제2대 부통령, 동아일보사, 고려대학교를 설립한 인촌 김성수와 삼양사, 경방을 설립한 수당 김연수 형제의 생가이다. 그들은 1907년 이곳을 떠나 이사를 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화적때의 잦은 출몰과 귀화(도깨비불)의 출몰로 이곳을 떠나게 된다." 당시 전북 일대에서 소문난 만석꾼 집안이었던 김성수의 생가는 도깨비불이 자주 일어나기로도 유명했다. 그리고 인촌 집안의 재력이 눈덩이 처럼 불어나게 된것도 도깨비의 도움이라고 회자되고 있다. 집안의 곳간 구석구석에서 '도깨비불지른 곳'이라는 푯말을 찾아볼 수 있다. 도깨비 불이 생기고 난 다음날이면 도깨비가 입었다고 생각 될 만한 옷들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었다고 한다. 현재까지도 지붕의 아래에는 불이 났었던 흔적이 선명하며, 그로 인해 수차례에 걸친 증축에도 불구하고 불이 난 흔적을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당시에는 지방의 도적이 자주 출몰하여, 집안의 화를 경고한 도깨비의 뜻이라고 그를 받아들여서, 결국 인촌 일가는 이곳을 다른 사람에게 맞기고 줄포라는 곳으로 이사한다. 이와 관련해서 '도깨비 이용해서 부자되기'라는 이야기가 <초등학교 2학년 읽기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장난 치기를 좋아하는 도깨비가 하루는 논밭에 똥을 잔뜩 가져다 놓았다. 이를 도깨비의 장난으로 생각한 인촌의 조부는 꾀를

써서, "올해 농사는 망쳤다. 이렇게 똥이 논밭에 많으면 어떻게 한해 농사를 마무리 짓나!" 라며 탄식했다. 이 장면을 본 도깨비는 인촌의 조부가 똥이 논과 밭에 있는것을 싫어한다고 생각하고 이 지역 일대의 모든 똥을 모아서, 그날 밤 인촌가의 논밭에 뿌려 놓았고 농사는 유래없는 풍년을 맞게 되어 인촌가는 큰 부자가 되었다.

노드관계표

노드 관계 노드
정기원 은 -의 이름이다. 정병사
정병사 는 -에 지원하였다. 제주목사
육지 사람을 싫어하는 도깨비 는 -을 해꼬지했다. 정병사
정병사 는 -을 제압했다. 육지 사람을 싫어하는 도깨비
육지 사람을 싫어하는 도깨비 는 -를 돕는 존재가 됐다. 정병사
김공 은 -를 일컫는 말이다. 키가 큰 도깨비

위치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 435

기여

최초작성 : 김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