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비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1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반비의(半臂衣)는 소매 길이가 짧고 옆선이 겨드랑이 아래부터 트여 있는 세자락 구성의 옷으로 여겨진다.<ref>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3.</ref>  
+
*반비의(半臂衣)는 소매 길이가 짧고 옆선이 겨드랑이 아래부터 트여 있는 세자락 구성의 옷으로 여겨진다.<ref>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3.</ref>  
  
 +
==갈도의 주색(朱色) 반비의==
 +
<gallery>
 +
파일:문효세자보양청계병-갈도.png|갈도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파일:갈도-반비의 1-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1759)-국립중앙박물관 소장.png|갈도 <br>『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1758)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파일:갈도-모당홍이상공평생도(1781).jpg|갈도 <br><모당홍이상공평생도(募堂洪履相公平生圖)>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파일:갈도-평생도-(19세기 추정)-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png|갈도 <br> <평생도(平生圖)> <br>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
</gallery>
  
 +
*[[갈도]]의 복색에 관해서 [[태종실록|『태종실록(太宗實錄)』]]에서 주색 옷[朱衣] 혹은 담주색 옷[淡朱色衣]이라고 하였다.
  
==갈도의 주색(朱色) 반비의==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갈도]]는 붉은색 반비의를 착용하고 있다.
[[File:Galdo.png|200px|right]]
+
*[[갈도]]의 복색에 관해서 『태종실록(太宗實錄)』에서 주색 옷[朱衣] 혹은 담주색 옷[淡朱色衣]이라고 하였다.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 갈도는 붉은색 반비의를 착용하고 있다.
+
*[[갈도]]는 [[경국대전|『경국대전』]]이 완성되는 시기에 나장으로 명칭이 통합되기 때문에 [[경국대전|『경국대전』]]의 나장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갈도는 나장으로 명칭이 통합되기 때문에 [[경국대전|『경국대전』]]의 나장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반비의 아래에는 [[철릭]]을 받침옷으로 착용하였다.
 
*반비의 아래에는 [[철릭]]을 받침옷으로 착용하였다.
 
 
  
 
== 관련 지식 ==  
 
== 관련 지식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관계||대상 문서||설명
! 관계
+
! 대상 문서
+
! 설명
+
 
|-
 
|-
|복식
+
|복식||[[조건]], [[철릭]], [[세조대]], [[혜]]||갈도의 복식 구성
|[[조건]], [[철릭]], [[세조대]], [[혜]]
+
|갈도의 복식 구성
+
 
|-
 
|-
 +
|회화||[[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보양청 상견례 행사도에 갈도가 그려져 있다.
 
|-
 
|-
|회화
+
|문헌||[[경국대전]], [[태종실록]]||갈도의 복식을 언급하고 있다. <br>나장의 복식 규정으로 갈도의 복식 구성을 참고할 수 있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보양청 상견례 행사도에 갈도가 그려져 있다.
+
|-
+
|-
+
|문헌
+
|[[경국대전]]
+
|나장의 복식을 참고할 수 있다.
+
 
|-
 
|-
 
|}
 
|}
 
  
 
----
 
----
 +
Writer : [http://digerati.aks.ac.kr:82/index.php?title=김현승 김현승]
 +
 +
Main :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Writer: [[김현승]]
 
 
----
 
----
 
<references/>
 
<references/>
 
[[Digerati Wiki]]
 

2017년 3월 5일 (일) 10:17 기준 최신판

  • 반비의(半臂衣)는 소매 길이가 짧고 옆선이 겨드랑이 아래부터 트여 있는 세자락 구성의 옷으로 여겨진다.[1]

갈도의 주색(朱色) 반비의

  • 반비의 아래에는 철릭을 받침옷으로 착용하였다.

관련 지식

관계 대상 문서 설명
복식 조건, 철릭, 세조대, 갈도의 복식 구성
회화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보양청 상견례 행사도에 갈도가 그려져 있다.
문헌 경국대전, 태종실록 갈도의 복식을 언급하고 있다.
나장의 복식 규정으로 갈도의 복식 구성을 참고할 수 있다.

Writer : 김현승

Main :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1. 박윤미, 임소연(2015) 「조선 말기 나장복에 관한 연구 :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을 중심으로」, 『服飾』, 66(1). p.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