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4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행정구역
[[분류:광진구]]
+
|대표명칭 = 광진구  
{{객체간단정보
+
|영문명칭 = Gwangjin-Gu
|객체명 = 광진구
+
|위치 = 서울특별시 광진구
|사진 = [[File:Gwangjin.jpg|400px]]
+
|행정관청소재지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117
|테마 = 수제화거리
+
|행정관청홈페이지 = http://www.gwangjin.go.kr/
|범주 =  서울특별시 > 광진구
+
|우편번호 = 05026
|정의 = 서울특별시 행정구역의 하나
+
|지도 = <googlemap width="400" height="300" lat="37.538540" lon="127.082777"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구청장 = 김기동 (새정치민주연합)
+
37.538540, 127.082777, [[광진구]]
|구청소재지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117
+
</googlemap>
|URL = [http://map.naver.com/index.nhn?query=7ISx64-Z6rWs&enc=b64&queryRank=1&tab=1 네이버 지도]
+
|편찬자 = [[장진혁]] , 내용편찬
+
|편집-1 =[[장진혁]] , 사진추가
+
 
}}
 
}}
== 개요 ==
 
광진구는 아차산과 한강을 접한 훌륭한 지리적 특성으로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로 유명한 온달|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지고한 사랑을 간직한 아차산을 중심으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뺏고 뺏기는 각축장이었다. 광나루와 뚝섬나루는 예로부터 많은 사람이 오가던 교통의 요충지로 각 지방의 산물과 문화가 집산되어 번성하던 곳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넓은 구릉과 벌판에 펼쳐져 있는 말 목장이 유유히 흐르는 한강과 조화를 이루는 멋진 풍경으로 낙천정과 화양정이 세워져 많은 귀족과 묵객들에게 인기있는 지역이었다. 오늘날에도 서울의 한강 상류에 접한 청정지역으로 아차산생태공원과 서울어린이대공원, 세종대학교, 건국대학교, 뚝섬유원지역|뚝섬한강시민공원으로 이어지는 풍부한 녹지대를 형성하고 있어 쾌적한 환경을 자랑하며, 워커힐, 테크노마트, 리틀엔젤스예술회관 등 문화 관광자원이 풍부하게 산재하고 있다. 또한 서울 지하철 2호선|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이 관통하고 동서울터미널, 7개의 교량이 연결된 교통의 요충지로 동부 서울의 관문이며, 지하철 역세권을 중심으로 전자, 의류, 가구, 음식 등 특화된 상가지역이 잘 발달되어 있어 생활이 편리한 안정된 주거지역이다.
+
==개요==
 +
[[광진구|광진구(廣津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동쪽으로 경기도 [[구리시]], 남쪽으로 [[한강]]을 경계로 [[강남구]]와 [[송파구]], 서쪽으로는 [[동대문구]]와 [[성동구]], 북쪽으로는 [[중랑구]]와 이웃하고 있다.<ref>광진구,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7%84%EA%B5%AC</ref>
 +
 
 +
==역사==
 +
[[광진구]] 지역에 사람이 정착했던 때는 [[신석기시대]]이다. [[백제]]가 [[아차산성]]을 축조한 286년([[책계왕]] 원년)에 역사의 무대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고대의 교통 및 군사적 요충지로서 396년 [[고구려]]의 [[광개토왕]]이 [[아차산성]]을 함락시킨 이후 [[신라]]가 [[한강]]하류를 장악한 553년([[진흥왕]] 14년)까지 삼국이 국운을 걸고 싸웠던 고대사의 현장이다.
 +
[[고려]] [[고려태조|태조]] 때부터 [[고려정종|정종]]때까지는 [[양주]]로, [[문종]] 이후 [[충렬왕]] 때까지는 [[남경]], [[충선왕]] 이후 고려말까지는 [[한양부]]라고 불렸다. 당시 각 지방은 호족세력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양주]]지방에서는 뚜렷한 호족세력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고려]] [[고려태조|태조 왕건]]의 공격에 의해 이 지역이 점령된 후 [[고려왕조]]의 직할지가 되었다.
 +
그 후 [[조선시대]] [[광진구]] 지역은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하였는데 이 곳은 국가의 군사용 말을 기르고 훈련하는 마장이 넓게 자리잡고 있어 임금이 수시로 나와 군사훈련을 참관하기도 하였다.
 +
[[일제시대]]에는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에 속하였으며 해방 후 1949년 8월 13일 [[뚝도출장소]]를 설치, [[서울특별시]]에 편입하였다.
 +
1968년 1월 11일에 [[뚝도출장소]]를 폐지하고 관할구역을 [[성동구]] 직할로 편입하였다가 1995년 3월 1일 [[성동구]]를 [[중랑천]]과 동이로를 경계로 하여 [[성동구]]와 [[광진구]]로 분할,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행정동 15개([[중곡동|중곡]] 1·2·3·4동, [[능동]], [[구의동|구의]] 1·2·3동, [[광장동]], [[자양동|자양]]1·2·3·4동, [[화양동]], [[군자동]]), 면적 17.04㎢, 인구 39만명으로 이루어져 있다.<ref>광진구청-문화관광-역사속의광진, http://www.gwangjin.go.kr/jsp/kr/c6/02/cul02_11.jsp</ref>
  
== 지리 ==
+
==광진구 소재 문화유적==
남쪽에 한강이 흐르고, 동쪽에 아차산(해발고도 287m)과 용마봉 (서울)|용마봉(해발고도 348m)이 솟아 있다. 동쪽과 남쪽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강동구·송파구·강남구와 접하고, 서쪽은 성동구·동대문구, 북쪽은 중랑구·경기도 구리시와 닿아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광진구 소재 문화유적<ref>광진구청 홈페이지</ref>
 +
! 종목 || 명칭 || 설명
 +
|-
 +
| 사적 제234호 || 아차산성 || 아차산(해발 285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중앙에 위치하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
|-
 +
| 사적 제455호 || 아차산 일대 보루군 || 아차산, 용마산, 망우산 일대의 봉우리마다 보루(둘레 100-300m 정도의 소형 석축산성)중에서 17개 보루(홍련봉 1·2보루, 아차산 1·2·3·4·5보루, 용마산 1∼7보루, 망우산 1보루, 시루봉 보루, 수락산 보루, 망우산 보루)가 사적 제455호로 지정되었다.
 +
|-
 +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03호 || 화양동 느티나무 || 화양동 느티나무는 높이는 약 28m이며, 7그루의 총 둘레는 7.5m이다. 세종(재위 1418 ~ 1450) 때 세워진 화양정이란 정자가 있던 자리로 고종(재위 1863 ~ 1907)의 비인 명성황후가 임오군란(1882) 중에 피난길을 가다 잠시 쉬어간 곳이라 한다.
 +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4호 || 순명비 유강원 석물 || 조선 제 27대 왕이자 마지막 왕인 순종의 황후 순명효 황후의 능이었던 옛 유강원 터에 남아 있는 왕릉 석조각들이다.
 +
|-
 +
|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9호 || 도정궁경원당 || 조선 철종대 왕족인 이하전의 살림집이었던 건물로 도정궁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사랑채에 해당하는 건물만 남아 있다.
 +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80호 || 상부암석불입상 || 얼굴은 사각형에 가깝게 넓지만 양감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눈, , 입이 단아하고 미소를 띠고 있어서 원만하게 보인다. 9세기 후반 내지 10세기 초에 조성된 불상임을 추정할 수 있다.
 +
|-
 +
| 등록문화재  제53호 ||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회관 || 1907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에 민족애국단체인 “서북학회 회관”으로 세워진 붉은 벽돌조 건축물로 일제강점기에 오성학교 등 민족계 학교교사로 사용되어 왔다. 1977년 도시계획으로 철거·해체되어 1985년 건국대학교 교정안으로 이전·복원되었다.
 +
|-
 +
| 등록문화재 제358호 || 구의정수장 제1,2공장 || 1936년부터 1984년까지 지어진 광진구 구의정수장의 4개 시설 중 가장 먼저 지어진 2개 공장이다. 상수도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정수장이다.
 +
|}
  
== 문화·관광 ==
+
=='''관련 문서'''==
  
* '''어린이대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능동에 소재한 가족 단위 휴식 공간으로 1973년 5월 5일 어린이날에 개장하였다. 약 53만여 ㎡로 개장 당시에는 동양 최대의 규모였으며, 푸른 숲과 파란 잔디의 녹지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과 일반시민을 위한 휴식 및 문화공간으로서 시민공원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각종 교양시설 및 동, 식물원, 놀이시설 등을 갖춘 어린이의 낙원이자 살아있는 학습교육장으로 사랑받고 있다.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아차산|아차산생태공원'''
+
|-
서울시 광진구와 경기도 구리시에 걸쳐있는 산이다. 산에는 백제 시대에 건축된 아차산성이 있으며, 이 성은 현재 백제의 도성으로 많은 학자들이 추정하는 풍납토성과 마주보고 있다. 아차산은 야트막한 산이지만, 삼국시대의 전략요충지로 특히 온달장군의 전설이 전해져 온다. 학문적 고증과는 상관없이 이 지역 주민들은 온달장군이 아차산에서 전사했다고 믿고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아차산에는 ‘온달샘’이라 불리는 약수터와 온달이 가지고 놀았다는 지름 3m의 거대한 공기돌이 있다.
+
|[[광진구]]||A는 B에 포함된다||[[서울특별시]]
* '''뚝섬유원지'''
+
|-
* 한강유람선
+
|[[광진구]]||A에 B가 위치한다||[[아차산]]
* 로데오거리
+
|-
=== 문화재 ===
+
|[[광진구]]||A에 B가 위치한다||[[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
* 아차산성 - 사적 제234호
+
|-
* 서울 상부암 석조여래입상|상부암석불입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80호
+
|}
* 화양동 느티나무|화양동느티나무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호
+
* 아차산홍련봉보루유적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1호
+
* 도정궁경원당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9호
+
*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회관 - 등록문화재 제53호
+
* 구의정수장 제1·2공장 - 등록문화재 제358호
+
  
=== 쇼핑 ===
+
==기여==
* 강변테크노마트|테크노마트 - 광진구 구의동 부근에 있는 최초의 복합쇼핑몰이다. 1998년 오픈하였으며 당시 세인들의 관심과 최초의 복합쇼핑몰로 자리잡으며 많은 언론기사를 통해 부동산개발회사인 프라임산업이 알려진 계기가 되었다.
+
*[[김사현]] : 처음작성
* 엔터식스
+
*이마트
+
*롯데마트 강변
+
*스타시티
+
*롯데백화점
+
=== 극장 및 공연장 ===
+
*CGV 강변
+
*CGV 군자
+
*롯데시네마 건대
+
*악스코리아
+
  
===사진===
+
==인용==
[[File:Gwangjin1.jpg|400px]]
+
<references/>
  
[[Digerati Wiki]]
+
[[분류:김사현]] [[분류:아차산성]]

2017년 3월 5일 (일) 10:12 판


개요

광진구(廣津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동쪽으로 경기도 구리시, 남쪽으로 한강을 경계로 강남구송파구, 서쪽으로는 동대문구성동구, 북쪽으로는 중랑구와 이웃하고 있다.[1]

역사

광진구 지역에 사람이 정착했던 때는 신석기시대이다. 백제아차산성을 축조한 286년(책계왕 원년)에 역사의 무대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고대의 교통 및 군사적 요충지로서 396년 고구려광개토왕아차산성을 함락시킨 이후 신라한강하류를 장악한 553년(진흥왕 14년)까지 삼국이 국운을 걸고 싸웠던 고대사의 현장이다. 고려 태조 때부터 정종때까지는 양주로, 문종 이후 충렬왕 때까지는 남경, 충선왕 이후 고려말까지는 한양부라고 불렸다. 당시 각 지방은 호족세력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양주지방에서는 뚜렷한 호족세력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고려 태조 왕건의 공격에 의해 이 지역이 점령된 후 고려왕조의 직할지가 되었다. 그 후 조선시대 광진구 지역은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하였는데 이 곳은 국가의 군사용 말을 기르고 훈련하는 마장이 넓게 자리잡고 있어 임금이 수시로 나와 군사훈련을 참관하기도 하였다. 일제시대에는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에 속하였으며 해방 후 1949년 8월 13일 뚝도출장소를 설치, 서울특별시에 편입하였다. 1968년 1월 11일에 뚝도출장소를 폐지하고 관할구역을 성동구 직할로 편입하였다가 1995년 3월 1일 성동구중랑천과 동이로를 경계로 하여 성동구광진구로 분할,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행정동 15개(중곡 1·2·3·4동, 능동, 구의 1·2·3동, 광장동, 자양1·2·3·4동, 화양동, 군자동), 면적 17.04㎢, 인구 39만명으로 이루어져 있다.[2]

광진구 소재 문화유적

광진구 소재 문화유적[3]
종목 명칭 설명
사적 제234호 아차산성 아차산(해발 285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중앙에 위치하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사적 제455호 아차산 일대 보루군 아차산, 용마산, 망우산 일대의 봉우리마다 보루(둘레 100-300m 정도의 소형 석축산성)중에서 17개 보루(홍련봉 1·2보루, 아차산 1·2·3·4·5보루, 용마산 1∼7보루, 망우산 1보루, 시루봉 보루, 수락산 보루, 망우산 보루)가 사적 제455호로 지정되었다.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03호 화양동 느티나무 화양동 느티나무는 높이는 약 28m이며, 7그루의 총 둘레는 7.5m이다. 세종(재위 1418 ~ 1450) 때 세워진 화양정이란 정자가 있던 자리로 고종(재위 1863 ~ 1907)의 비인 명성황후가 임오군란(1882) 중에 피난길을 가다 잠시 쉬어간 곳이라 한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4호 순명비 유강원 석물 조선 제 27대 왕이자 마지막 왕인 순종의 황후 순명효 황후의 능이었던 옛 유강원 터에 남아 있는 왕릉 석조각들이다.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9호 도정궁경원당 조선 철종대 왕족인 이하전의 살림집이었던 건물로 도정궁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사랑채에 해당하는 건물만 남아 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80호 상부암석불입상 얼굴은 사각형에 가깝게 넓지만 양감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눈, 코, 입이 단아하고 미소를 띠고 있어서 원만하게 보인다. 9세기 후반 내지 10세기 초에 조성된 불상임을 추정할 수 있다.
등록문화재 제53호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회관 1907년경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에 민족애국단체인 “서북학회 회관”으로 세워진 붉은 벽돌조 건축물로 일제강점기에 오성학교 등 민족계 학교교사로 사용되어 왔다. 1977년 도시계획으로 철거·해체되어 1985년 건국대학교 교정안으로 이전·복원되었다.
등록문화재 제358호 구의정수장 제1,2공장 1936년부터 1984년까지 지어진 광진구 구의정수장의 4개 시설 중 가장 먼저 지어진 2개 공장이다. 상수도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정수장이다.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광진구 A는 B에 포함된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A에 B가 위치한다 아차산
광진구 A에 B가 위치한다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

기여

인용

  1. 광진구,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C%A7%84%EA%B5%AC
  2. 광진구청-문화관광-역사속의광진, http://www.gwangjin.go.kr/jsp/kr/c6/02/cul02_11.jsp
  3. 광진구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