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안로 K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웹 자원)
1번째 줄: 1번째 줄:
*타입: 인물
+
== Meta Data ==
*한글명: 김안로
+
* 타입 : 인물
*한자명: 金安老
+
* 한글항목명 : 김안로
*생년: 1481년 ~ 1537년 10월 27일
+
* 한자항목명 : 金安老
 +
* 편자 :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http://kadhlab102.com/wiki/index.php/User:201410320_%EC%9D%B4%EC%A7%80%EB%AF%BC 이지민]
  
 
== 내용 ==
 
== 내용 ==
김안로는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다. 자는 이숙(頤叔), 호는 희락당(希樂堂), 용천(龍泉), 퇴재(退齋),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김전 KU|김전]]의 형 [[김흔 KU|김흔]]의 셋째 아들이다.  
+
* 출생-사망 : 1481 ~ 1537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홍문관과 사간원 등의 요직을 거쳐 대사간을 지냈다. 언관으로 있으면서 여러 시정의 폐단을 해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시비걸기 좋아하는 인물로 몰리기도 했다.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 KU|조광조]] 일파와 함께 유배되었다가 아들 김희가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 KU|효혜공주]]의 부군이 되면서 특별히 풀려났다. 1522년에 부제학, 1524년에는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
* 본관 : 연안
1530년에는 남곤, 심정 일파를 몰락시키고 권력을 장악, 그 뒤 [[문정왕후 KU|문정왕후]]의 친족인 [[윤원형 KU|윤원형]], [[윤원로 KU|윤원로]] 등과 갈등하였으며 [[윤임 KU|윤임]]과 손잡고 세자(훗날의 인종)를 보호한다는 미명하에 사림파및 [[윤원형 KU|윤원형]] 일파를 숙청하였다. 이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냈다.
+
* 자 : 이숙  
 +
* 호 : 희락당 ·용천 ·퇴재
 +
* 활동분야 : 정치
 +
* 주요저서 : 《용천담적기(龍泉淡寂記)
 +
<br/>조선 전기의 문신. 잦은 권력 남용으로 탄핵을 받고 유배되기도 하였으나 다시 기용되었다.  
 +
<br/>정적에 대해서 무서운 공포정치를 한 끝에, 문정왕후의 폐위를 도모하다가 체포되어 유배되고 사사되었다.  
 +
<br/>허항 ·채무택과 함께 정유삼흉으로 일컬어진다.
  
*편자: [[필암서원 KU|필암서원]][[201410300김은서]]
+
== 웹 자원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695&cid=40942&categoryId=33383 두산백과 김안로]
  
 
[[분류:서원 KU]]
 
[[분류:서원 KU]]

2014년 6월 7일 (토) 23:51 판

Meta Data

내용

  • 출생-사망 : 1481 ~ 1537
  • 본관 : 연안
  • 자 : 이숙
  • 호 : 희락당 ·용천 ·퇴재
  • 활동분야 : 정치
  • 주요저서 : 《용천담적기(龍泉淡寂記)》


조선 전기의 문신. 잦은 권력 남용으로 탄핵을 받고 유배되기도 하였으나 다시 기용되었다.
정적에 대해서 무서운 공포정치를 한 끝에, 문정왕후의 폐위를 도모하다가 체포되어 유배되고 사사되었다.
허항 ·채무택과 함께 정유삼흉으로 일컬어진다.

웹 자원

두산백과 김안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