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 K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
(Created page with "=='''Meta Data'''== * 타입: 사건 * 한글항목명: 갑오개혁 * 한자항목명: 甲午改革 * 편자: 자운서원팀 [http://digerati.aks.ac.k...")
1번째 줄: 1번째 줄:
== Meta Data ==
+
=='''Meta Data'''==
타입 : 개념
+
* 타입: 사건
한글항목명 : 갑오개혁
+
* 한글항목명: 갑오개혁
한자항목명 : 甲午改革
+
* 한자항목명: 甲午改革
편자 :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http://kadhlab102.com/wiki/index.php/User:201410320_%EC%9D%B4%EC%A7%80%EB%AF%BC 이지민]
+
* 편자: [[자운서원팀 KU|자운서원팀]] [http://kadhlab102.com/wiki/index.php/201410305%EB%B0%A9%EC%8A%B9%ED%98%9C 방승혜]
  
== 설명 ==
+
 
  1894년(고종 31)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추진되었던 일련의 개혁운동
+
=='''요약'''==
 +
  이칭별칭: 갑오경장
 +
유형: 사건
 +
시대: 근대
 +
성격: 개혁운동
 +
발생·시작 일시: 1894년(고종 31) 7월
 +
종결 일시: 1896년 2월
 +
관련인물·단체: 군국기무처
 +
 
 +
 
 +
1894년([[고종KU|고종]] 31)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추진되었던 일련의 개혁운동.
 +
 
 +
 
 +
=='''내용'''==
 +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한다. 2차에 걸쳐 봉기한 반봉건·외세배척운동으로서의 [[동학농민운동KU|동학농민운동]]이 실현되지 못한 가운데 이를 진압할 목적으로 정부는 청나라에 원병을 요청하였고 일본도 [[톈진조약KU|톈진조약]][天津條約]을 구실로 군대를 파견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청나라와 일본의 출병한 구실을 주지 않기 위하여 폐정개혁안을 제시하였고, 정부가 이에 동의함에 따라 양국은 더 이상 조선에 주둔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에 청나라는 일본에 대해 공동 철병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일본은 오히려 양국이 공동으로 조선의 내정(內政)을 개혁하자고 제안하였으며, 청나라가 이를 거절하여 회담이 결렬됨으로써 [[청일전쟁KU|청일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
 
 +
이후 일본은 단독으로 조선에 대한 내정개혁을 요구하였는데, 이는 침략정책 추진상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밝히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확립된 정부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일본 군대는 왕궁을 포위하고 [[흥선대원군KU|대원군]]을 앞세워 민씨 일파를 축출하였으며, [[김홍집KU|김홍집]](金弘集)을 중심으로 하는 온건개화파의 친일정부를 수립하여 국정개혁을 단행하였다.
 +
 
 +
 
 +
=='''웹자원'''==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6789&cid=40942&categoryId=31778 두산백과]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81994&cid=1593&categoryId=159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분류:서원 KU]]
 
[[분류:서원 KU]]

2014년 6월 15일 (일) 19:58 판

Meta Data


요약

이칭별칭: 갑오경장
유형: 사건
시대: 근대
성격: 개혁운동
발생·시작 일시: 1894년(고종 31) 7월
종결 일시: 1896년 2월
관련인물·단체: 군국기무처


1894년(고종 31)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추진되었던 일련의 개혁운동.


내용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한다. 2차에 걸쳐 봉기한 반봉건·외세배척운동으로서의 동학농민운동이 실현되지 못한 가운데 이를 진압할 목적으로 정부는 청나라에 원병을 요청하였고 일본도 톈진조약[天津條約]을 구실로 군대를 파견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청나라와 일본의 출병한 구실을 주지 않기 위하여 폐정개혁안을 제시하였고, 정부가 이에 동의함에 따라 양국은 더 이상 조선에 주둔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에 청나라는 일본에 대해 공동 철병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일본은 오히려 양국이 공동으로 조선의 내정(內政)을 개혁하자고 제안하였으며, 청나라가 이를 거절하여 회담이 결렬됨으로써 청일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이후 일본은 단독으로 조선에 대한 내정개혁을 요구하였는데, 이는 침략정책 추진상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밝히고,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확립된 정부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일본 군대는 왕궁을 포위하고 대원군을 앞세워 민씨 일파를 축출하였으며, 김홍집(金弘集)을 중심으로 하는 온건개화파의 친일정부를 수립하여 국정개혁을 단행하였다.


웹자원

  1. 두산백과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