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누리의 아차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누리의 아차산성 위키 페이지 설명)
(네트워크 설명 및 노드 설정 이유)
28번째 줄: 28번째 줄:
 
==김누리의 아차산성 위키 페이지 설명==
 
==김누리의 아차산성 위키 페이지 설명==
 
===네트워크 설명 및 노드 설정 이유===
 
===네트워크 설명 및 노드 설정 이유===
본 네트워크는 [[아차산]], 또는 [[아차산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노드들을 '기록물'을 통해 엮으려는 시도의 일부분이다. 여기서 노드로 채택된 기록물들은 단순히 [[아차산]]을 언급하는 데에 그치치 않고 역사적. 문화적 의의를 창출해낼 수 있는 것들이다.
+
본 네트워크는 [[아차산]], 또는 [[아차산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노드들을 '기록물'을 통해 엮으려는 시도의 일부분이다. 여기서 노드는 단순히 [[아차산]]을 언급하는 데에 그치치 않고 역사적. 문화적 의의를 창출할 수 있는 것들로 정하였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에서는 [[아차산]]의 옛 명칭, [[온달]]이 죽음을 맞았다고 전해지는 [[온달산성]]과 [[아차산성]]을 둘러싼 논란, [[개로왕]]과 [[아차산성]] 등 [[아차산]]을 중심으로 한 많은 이야깃거리들을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에서는 [[아차산]]의 옛 명칭, [[온달]]이 죽음을 맞았다고 전해지는 [[온달산성]]과 [[아차산성]]을 둘러싼 논란, [[개로왕]]과 [[아차산성]] 등 [[아차산]]을 중심으로 한 많은 이야깃거리들을 찾아낼 수 있다.
[[삼국사기]]와 [[고려사]]에서 역사적인 화제들을 찾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면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 [[세종실록 지리지]] 등의 기록물을 통해서는 공간, 장소 위주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
[[삼국사기]]와 [[고려사]]에서 역사적인 화제들을 찾아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면 [[대동여지도]]와 [[대동지지]], [[세종실록 지리지]] 등의 기록물을 통해서는 공간, 장소 위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광진구]]의 옛 지명인 '광나루', [[장한평]]이라는 지역 명칭을 남긴 [[아차산성]]의 이칭 [[장한성]]에 대한 기록, 현재에도 유적으로 남아 있는 [[아차산 봉수대지]]에 관한 기록 등 아차산의 예와 지금을 연결하는 지점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분류:아차산성]]
 
[[분류:아차산성]]

2016년 6월 23일 (목) 18:25 판

김누리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김누리 작성 기사 목록

나의 노드

신규 노드

김누리의 아차산성 위키 페이지 설명

네트워크 설명 및 노드 설정 이유

본 네트워크는 아차산, 또는 아차산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노드들을 '기록물'을 통해 엮으려는 시도의 일부분이다. 여기서 노드는 단순히 아차산을 언급하는 데에 그치치 않고 역사적. 문화적 의의를 창출할 수 있는 것들로 정하였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에서는 아차산의 옛 명칭, 온달이 죽음을 맞았다고 전해지는 온달산성아차산성을 둘러싼 논란, 개로왕아차산성아차산을 중심으로 한 많은 이야깃거리들을 찾아낼 수 있다. 삼국사기고려사에서 역사적인 화제들을 찾아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면 대동여지도대동지지, 세종실록 지리지 등의 기록물을 통해서는 공간, 장소 위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광진구의 옛 지명인 '광나루', 장한평이라는 지역 명칭을 남긴 아차산성의 이칭 장한성에 대한 기록, 현재에도 유적으로 남아 있는 아차산 봉수대지에 관한 기록 등 아차산의 예와 지금을 연결하는 지점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