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9번째 줄: 49번째 줄:
 
|-
 
|-
 
|가정신||은 ~에 속해있다.||[[가정신앙]]
 
|가정신||은 ~에 속해있다.||[[가정신앙]]
 +
|-
 +
|가정신||은 ~에 속해있다.||[[문전본풀이]]
 +
|-
 +
|가정신||은 ~에 속해있다.||[[성주풀이]]
 
|-
 
|-
 
|가정신||은 ~을 포함한다.||[[성주신]]
 
|가정신||은 ~을 포함한다.||[[성주신]]

2016년 6월 22일 (수) 19:57 기준 최신판


개요

가정신은 한국의 가정신앙에서 집안을 지켜주는 신을 의미한다. 가정신의 경우, 각각의 역할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있다. 이는 현세적 종교 문화발달에 따른 주거공간의 세분화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인다. 농경생활의 시작과 함께 집의 기능이 단순한 방어적 기능에서 생활근거지로 변화하게 되고, 문화와 생활영역이 확대되면서 집의 공간 역시 분화되며 이러한 신앙체계가 형성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왕신측신은 <문전본풀이>신화를 바탕으로 하며, 성주신은 <성주풀이>신화를 바탕으로 한다.

가정신을 소재로 한 작품중에 주호민작가의 네이버웹툰인 <신과 함께>가 대표주자로 나서고 있다. <신과 함께-이승편>에서 주호민작가는 가정신이 저승사자와 갈등을 빚을 수 있다는 점을 흥미롭게 여겨 재개발 지역의 한 가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일을 그렸다고 밝혔다. <신과 함께>를 바탕으로 10대, 20대의 어린 독자들이 주를 이루는 웹툰의 독자층에게도 우리의 전통 민속 신들인, 가정을 지키는 신들을 알리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평을 받게 되었다. 현재 어느 집안에서도 가정신을 모시는 모습은 볼 수 없지만, 가정신이 가지고 있는 서사적 맥락이 충분히 소재로 성공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집의 공간에 따른 가정신

집의 공간배치 공간 가정신
살림채 큰방, 안방, 작은방 삼신, 제석, 조상, 말명, 왕신
살림채 부엌 조왕신
살림채 마루 성주신
부속채 외양간 우마신
부속채 곳간 도장지신, 용단지, 업신, 농기구신
부속채 방앗간 방앗간신, 농기구신
부속채 측간 측신
마당과 부속시설 앞마당 마당신
마당과 부속시설 뒷마당 터주, 업신, 철융신, 철룡, 용단지, 칠성
마당과 부속시설 담장 사신
마당과 부속시설 대문 수문신
마당과 부속시설 우물 우물신
기타 생업현장 누에신, 인삼신

클래스

  • 배경개념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가정신 은 ~에 속해있다. 가정신앙
가정신 은 ~에 속해있다. 문전본풀이
가정신 은 ~에 속해있다. 성주풀이
가정신 은 ~을 포함한다. 성주신
가정신 은 ~을 포함한다. 조왕신
가정신 은 ~을 포함한다. 측신
가정신 은 ~의 배경이 된다. <신과 함께-이승편>
가정신 은 ~와 관련이 있다. 저승사자

출처

  •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 웹툰<신과 함께-이승편>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70-93p.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