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릉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문화유산정보
 +
|대표명칭 =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
 +
|지정번호 =
 +
|지정일 = 
 +
|지정명칭 =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
 +
|영문명칭 =
 +
|분류 =
 +
|건립·제작 =
 +
|주소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41-1
 +
|위도 = 41.147844
 +
|경도 = 126.220326
 +
|사진 =
 +
}}
 +
 +
=='''개관'''==
 +
광개토대왕릉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의 사면석이나 자연스러운 모습의 긴 바위 모습이다. 비는 대석과 비신으로 되어 있고, 비신이 대석 위에 세워져 있으나, 대석과 비신 일부가 땅속에 묻혀 있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로 고구려 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너비는 1.38~2.00m이고, 측면은 1.35m~1.46m로 불규칙하다. 비의 머리 부분은 경사져 있다. 대석은 3.35×2.7m 이다.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판독 여부가 불분명한 부분이 있고 비석이 불규칙하여 글자 수 통계에 이론이 있다.) 본래 비석만 있었으나, 1928년에 집안현 지사 유천성(劉天成)이 2층형의 소형 보호비각을 세웠고, 다시 1982년 중공 당국이 단층형의 대형 비각을 세워 비를 보호하고 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4750&cid=40942&categoryId=40012 두산백과 광개토대왕릉비]</ref>
 +
 +
=='''클래스'''==
 +
 +
* 유적
 +
 +
=='''관련 문서'''==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광개토대왕릉비]]||A는 B와 관련있다.||[[광개토대왕]]
 +
|-
 +
|}
 +
 +
=='''지도'''==
 +
<googlemap height="400" lat="41.147839" lon="126.220315" type="hybrid"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41.147839, 126.220315, [[광개토대왕릉비]]
 +
</googlemap>
 +
 +
=='''갤러리'''==
 +
 +
 +
=='''기여'''==
 +
*[[김사현]]: 처음 작성
 +
 +
=='''출처'''==
 +
<references/>
 +
 
[[분류:김사현]]
 
[[분류:김사현]]
 +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2016년 6월 9일 (목) 16:32 판


개관

광개토대왕릉비는 각력응회암(角礫凝灰岩)의 사면석이나 자연스러운 모습의 긴 바위 모습이다. 비는 대석과 비신으로 되어 있고, 비신이 대석 위에 세워져 있으나, 대석과 비신 일부가 땅속에 묻혀 있다. 높이는 6.39m로 한국 최대의 크기로 고구려 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너비는 1.38~2.00m이고, 측면은 1.35m~1.46m로 불규칙하다. 비의 머리 부분은 경사져 있다. 대석은 3.35×2.7m 이다. 네 면에 걸쳐 1,775자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판독 여부가 불분명한 부분이 있고 비석이 불규칙하여 글자 수 통계에 이론이 있다.) 본래 비석만 있었으나, 1928년에 집안현 지사 유천성(劉天成)이 2층형의 소형 보호비각을 세웠고, 다시 1982년 중공 당국이 단층형의 대형 비각을 세워 비를 보호하고 있다. [1]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광개토대왕릉비 A는 B와 관련있다. 광개토대왕

지도

갤러리

기여

출처

  1. 두산백과 광개토대왕릉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