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계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대한민국 읍면동 정보 |대표명칭 = 책계왕 |사진 = 중곡동-현재지도.jpg |면적 = 4.09 |가구 = 38,252(2012.12.31조사) |인구...)
 
1번째 줄: 1번째 줄:
{{대한민국 읍면동 정보
+
{{인물 정보
|대표명칭       = 책계왕
+
|대표명칭   = 책계왕(責稽王)
|사진      = 중곡동-현재지도.jpg
+
|활동시대  = 고대/삼국
|면적      = 4.09
+
|성별    =
|가구      = 38,252(2012.12.31조사)
+
|생년     = 미상
|인구      = 91,865(2012.12.31조사)
+
|몰년     = 298년(책계왕 13)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관련사건  = 아차성(阿且城, 지금의 서울 광장동 아차산성)·사성(蛇城, 지금의 서울 풍납동토성) 축성
|시군구     = [[광진구]]
+
|대표관직  =
|법정동     = 중곡동
+
|행정동    = 중곡1동,중곡2동,중곡3동,중곡4동
+
|홈페이지  = [http://www.gwangjin.go.kr/office/index.jsp?dongId=01 광진구 중곡제1동 주민센터]<br/>
+
[http://www.gwangjin.go.kr/office/index.jsp?dongId=02 광진구 중곡제2동 주민센터]<br/>
+
[http://www.gwangjin.go.kr/office/index.jsp?dongId=03 광진구 중곡제3동 주민센터]<br/>
+
[http://www.gwangjin.go.kr/office/index.jsp?dongId=04 광진구 중곡제4동 주민센터]
+
 
}}
 
}}
  
 
== 개요 ==  
 
== 개요 ==  
* 중곡동은 아차산 서쪽 기슭에 위치하며, 동명의 유래는 중곡동이 자리잡은 위치가 능동과 면목동 중간에 있으므로, ‘간뎃말’ 또는 한자음으로 ‘중곡리’라함. 중곡동은 천호대로, 동일로, 능동로, 복개천길이 지나고 지하철 5,7호선이 교차하는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며, 수방시설 개선과 중랑천변 개발로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성된 일반주택지역임.
+
* ?∼298(책계왕 13). 백제 제9대 왕.
  
== 지명 유래 ==
+
== 인물 정보 ==
* 능말(능동)과 면목동의 가운데 있으므로 가운데말 · 간뎃말이라고 하던 것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유래됨.  
+
* 재위기간은 286년부터 298년까지이다.
* 그런데 1911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로 장내중곡리라 이름 하였던 것을 분석해 보면, 그 일대에 있던 국립목마장인 사복시 전곶목장 안의 가운데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진 것으로도 볼 수 있음.
+
* 일명 청계(靑稽) 또는 책체(責替)라고도 한다.  
 +
* 고이왕의 맏아들이며, 왕비는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이다.
 +
* 체구가 장대하고 의지가 굳세었다고 한다.
  
== 행정동 이력 ==  
+
== 주요 활동 ==
* 1949년 8월 13일 :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에서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어 중곡리가 됨
+
* 286년(책계왕 1)에 고구려가 대방을 공격하였을 때, 대방왕이 사위인 그에게 구원을 요청하자 군사를 보내어 고구려군을 물리쳤다.
* 1950년 : 서울특별시조례 제10호에 의해 중곡동으로 개칭됨.
+
* 이 때문에 고구려와의 사이가 나빠져,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하여 아차성(阿且城 : 지금의 서울 광장동 아차산성)과 사성(蛇城 : 지금의 서울 풍납동토성)을 수축하였다.
* 1953년 3월 : 장안북부동회가 설치되어 중곡동과 능동의 행정을 담당함.
+
* 그러나 298년 한군(漢軍 : 낙랑의 군대)과 맥인(貊人 : 동예로 추정됨)의 침입에 맞서 싸우다가 적병에게 살해되었다.
* 1955년 4월 18일 :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행정동제가 시행되면서 장안동사무소가 설치되어 송정동 · 능동 · 화양동 · 군자동 · 중곡동 · 모진동을 관할
+
* 1970년 5월 5일 : 서울특별시조례 제613호에 의해 관할 법정동과 행정동명을 일치시키면서 장안동이 폐동되고 중곡동사무소가 설치되어 중곡동 · 능동 일원을 관할하게 됨으로써 행정동으로서의 중곡동이 탄생. 이때 화양동 · 송정동 · 군자동 · 모진동을 관할구역으로 화양동사무소가 설치됨.
+
*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784호에 의해 중곡동과 화양동의 일부를 관할구역으로 장안동이 다시 설치됨.
+
* 1975년 10월 1일 : 서울특별시조례 제981호에 의해 중곡동은 중곡제1동 · 중곡제2동 · 능동으로 분동됨
+
* 1995년 3월 1일 법률 제4802호로 성동구에서 광진구가 분구되면서, 중곡동 일원은 서울특별시광진구조례 제3호(1995년 3월 9일 공포하여 3월 1일로 소급 적용)로 광진구에 속하게 됨
+
 
+
== 법정동 유래 ==
+
* 조선시대 : 경기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함
+
* 갑오개혁 이후 :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한성부에 편입되어 남서(南署) 두모방(성외) 전곶중계 · 하계 면목리동이 됨
+
* 1911년 4월 1일 : 경기도령 제3호로 경성부를 5부 36방, 성외를 8면으로 할 때 경성부 두모면 장내중곡리가 됨.
+
* 1914년 4월 1일 :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해 경기도 고양군에 편입되어 뚝도면 중곡리가 됨
+
* 1949년 8월 13일 :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성동구 중곡리가 됨.
+
* 1950년 3월 15일 : 서울특별시조례 제10호에 의해 중곡동이 됨
+
* 1995년 3월 1일 : 법률 제4802호에 의해 성동구 중 동2로 이동지역이 광진구로 분구되면서 광진구 중곡동이 됨
+
 
+
==지도==
+
[[파일:중곡동-일제시대지도.jpg|300픽셀|섬네일|오른쪽|중곡동-일제시대지도]]
+
 
+
<googlemap height="400" lat="37.562739" lon="127.085425"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562739, 127.085425, [[중곡동]]
+
</googlemap>
+
  
 
== 클래스 ==
 
== 클래스 ==
* 장소
+
* 인물
* 장소-행정구역
+
* 인물-
  
 
==관련 문서==
 
==관련 문서==
56번째 줄: 31번째 줄: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중곡동 || A는 B에 일부걸쳐있다 || [[아차산]]
+
|책계왕 || A는 B에 축조하다 || [[아차산성]]
 +
|책계왕 || A는 B에 기록되어있다 || [[삼국사기]], [[삼국유사]]
 
|}
 
|}
  
63번째 줄: 39번째 줄:
  
 
== 출처 ==
 
== 출처 ==
* 위키피디아-중곡동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책계왕[http://encykorea.aks.ac.kr]
* 서울지명사전-중곡동,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년
+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김현종]]
 
[[분류:김현종]]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2016년 6월 9일 (목) 02:04 판


개요

  • ?∼298(책계왕 13). 백제 제9대 왕.

인물 정보

  • 재위기간은 286년부터 298년까지이다.
  • 일명 청계(靑稽) 또는 책체(責替)라고도 한다.
  • 고이왕의 맏아들이며, 왕비는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이다.
  • 체구가 장대하고 의지가 굳세었다고 한다.

주요 활동

  • 286년(책계왕 1)에 고구려가 대방을 공격하였을 때, 대방왕이 사위인 그에게 구원을 요청하자 군사를 보내어 고구려군을 물리쳤다.
  • 이 때문에 고구려와의 사이가 나빠져,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하여 아차성(阿且城 : 지금의 서울 광장동 아차산성)과 사성(蛇城 : 지금의 서울 풍납동토성)을 수축하였다.
  • 그러나 298년 한군(漢軍 : 낙랑의 군대)과 맥인(貊人 : 동예로 추정됨)의 침입에 맞서 싸우다가 적병에게 살해되었다.

클래스

  • 인물
  • 인물-왕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책계왕 A는 B에 축조하다 아차산성 책계왕 A는 B에 기록되어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기여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책계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