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문서)
72번째 줄: 72번째 줄: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아차산성 장대지]]
 
|-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박물관]]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다||[[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다||[[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
 
|-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아차산성 시발굴조사]]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아차산성 시발굴조사]]

2016년 6월 9일 (목) 00:35 판

개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아차산성 내부 시설물(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 아차산성 우물지, 아차산성 연지 등) 중 하나이며, 아차산성 A지구에서 발견되었다.

A지구의 평탄면은 성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지형적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데 이 지역에서 배수로를 포함한 상당한 규모의 건물지 기단석렬과 초석 그리고 5기의 온돌이 조사되었다. 5기의 온돌유구와 기단 석렬이 배치된 건물지 사이에는 중복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지역에서는 먼저 기단석렬이 있는 건물지와 초석을 이용한 건물지가 축조되고, 그 다음에 온돌을 중심으로 한 시설들이 들어섰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토기의 양상이 상당히 긴 시간폭을 갖는 점과 일치하는 양상으로, 온돌의 아궁이 앞부분에 완형의 각병이 수점 출토된 것은 이 지역의 폐기연대를 암시하고 있다.[2]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아차산성의 사용기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인 것이다.


지도

아차산성 연지아차산성 우물지아차산성 동문지아차산성 장대지아차산성 남문지 배수시설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아차산성 원형수혈유구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빨간색 동그라미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3]















클래스

  • 유적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 있다 아차산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 속한다 아차산성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의 근처에 있다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박물관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 A에서 B가 행해지다 아차산성 시발굴조사

갤러리

주석

  1. 아래 사진출처: 임효재 외, 『아차산성 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광진구, 2000, 283쪽.
  2.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09쪽
  3. 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15쪽.
  4. 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23쪽.
  5.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6.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7.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3쪽.
  8.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9.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10.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84쪽.
  11. 그림출처: 임효재 외, 앞의 책, 2000a, 296쪽.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