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0-700.stor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박려정 사용자가 E0-700A.episode 문서를 S0-700.story 문서로 옮겼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pre>
+
<!--
 +
Project
 +
h1 <!--
 +
Project
 +
h1 왕과_함께한_일월오봉도
 +
 
 +
 
 +
#Class
 +
Story gold circle
 +
Episode magenta box
 +
 
 +
#Relation
 +
hasPart 부분_~이_있다 arrow
 +
isPreviousInSequenceTo ~보다_먼저이다 sequence
 +
 
 +
#Nodes
 +
S0-700 Story 왕과_함께한_일월오봉도
 +
E0-700A         Episode Episode_1:_권위의_상징     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700A
 +
E0-700B  Episode Episode_2:_왕의_행차 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700B
 +
E0-700C Episode Episode_3:_오봉도속의_낙폭지 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700C
 +
E0-700D Episode Episode_4:_태극기와의_만남 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700D
 +
E0-700E Episode Episode_5:_세종대왕과의_인연 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hanyang2021&project=hanyang&key=E0-700E                                       
 +
 
 
#Links
 
#Links
E0-700A 조선_고종 hasContextualElement
+
S0-700 E0-700A hasPart
E0-700A 고종_어진 hasContextualElement
+
S0-700 E0-700B hasPart
E0-700A 채용신 creator
+
S0-700 E0-700C hasPart
E0-700A 사진-문화재청-2001-덕수궁_중화전_어좌 hasContextualElement
+
S0-700 E0-700D hasPart
E0-700A 일월오봉도삽병 hasContextualElement
+
S0-700 E0-700E hasPart
E0-700A 익선관  hasContextualElement
+
E0-700A E0-700B isPreviousInSequenceTo
E0-700A 황룡포  hasContextualElement
+
E0-700B E0-700C isPreviousInSequenceTo
E0-700A 3D-황룡포  hasContextualElement
+
E0-700C E0-700D isPreviousInSequenceTo
E0-700A 원광대학교_박물관 hasContextualElement
+
E0-700D E0-700E isPreviousInSequenceTo
 +
 
 
#End
 
#End
</pre>
+
-->
  
 
==Theme==
 
==Theme==
병풍에 담긴 의례의 역사
+
왕과_함께한_일월오봉도
  
 
==Synopsis==
 
==Synopsis==
조선조 궁중 행사의 성격에 따라 병풍은 확연히 다르게 사용되었다. 어진관계 도감에 기록된 행사별 화가 명단에 그들이 제작한 병풍의 종류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병풍은 어좌 뒤에 항상 있는 오봉병, 그리고 십장생도병, 영모병풍, 모란병 등이었는데, 왕의 평소 집무실이라 할 편전에도 일월오봉병이 배설(排設)되었고 때로는 산수도병·사군자병·서예병·고사화병·오봉십장생도병·모란병 등이 둘러 쳐지기도 하였다. 왕의 휴식공간이며 생활공간인 침전에는 일월오봉병 대신 경직도·빈풍칠월도·모란도 등이 장식되기도 하였다.<br/>
 
  
조선시대 고궁의 병풍에 담긴 역사 이야기를 찾아서...
+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는 조선 시대 어좌의 뒷편에 놓였던 달과 해 그리고 다섯개의 산봉우리를 그린 병풍을 말한다. </br>
 +
일월오봉도는 독창적인 회화양식으로 섬세한 묘사와 화려한 색상을 자랑한다.</br>
 +
우리가 친숙하게 사극드라마에서 보던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는 언제부터 어디에 기록이 되어 있을까?</br>
 +
2007년에 발행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만원권 지폐에도 일월오봉도가 배경으로 그려져 있는데, 과연 세종대왕은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를 알고 있었을까? </br>
  
Episode 1: 권위의 상징 - 일월오봉병 <br/>
 
Episode 2: 왕실의 색채 <br/>
 
Episode 3: 궁중의 문자서병<br/>
 
Episode 4: 모란과 국장 <br/>
 
Episode 5: 왕실 여인들을 위한 연화병<br/>
 
  
{|class="wikitable"
+
==Storyline==
! 儀軌 || 사용처
+
 
|-
+
===[[E0-700A.episode | Episode 1: 권위의 상징]]===
|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1827)  || 大殿便次 대청御座
+
일월오봉도는 조선 왕실 회화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그림으로서 왕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한다. 특히나 왕의 일상생활이나 궁중의 각종 의례 및 행사 등에서 왕이 왕림하는 곳이라면 실내외를 막론하고 어좌(御座) 뒤에 일월오봉도를 배치하였다. 근정전, 인정전, 명정전, 중화전, 숭정전 등 도성 내의 다섯 개 궁궐의 정전(正殿)에는 반드시 이 그림이 설치됐다. 왕이 공식적인 업무를 보던 공간 외에도 '왕'을 상징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함께했다.
|-
+
===[[E0-700B.episode | Episode 2: 왕의 행차]]===
|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1827) || 中宫殿 便次 대청御座
+
 
|-
+
 
| 진작의궤(進爵儀軌) (1828)||御座
+
===[[E0-700C.episode | Episode 3: 오봉도속의 낙폭지]]===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29) || 明政殿 御座
+
 
|-
+
===[[E0-700D.episode | Episode 4: 태극기와의 만남 ]]===
| 진찬의궤(進饌儀軌)(1829) || 慈慶殿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 通明殿 大殿 侍座
+
===[[E0-700E.episode | Episode 5: 세종대왕과의 인연]]===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 通明殿 야진찬시 大殿朝 侍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 通明殿 翌日회작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48) || 通明殿 翌日야연시 御座
+
|-
+
| 진연의궤(進宴儀軌)(1868) || 康寧殿 진찬시 大殿朝 侍座
+
|-
+
| 진연의궤(進宴儀軌)(1868) || 康寧殿 야연시 大殿朝 侍座
+
|-
+
| 진연의궤(進宴儀軌)(1868) || 康寧殿 翌日 회작시 御座
+
|-
+
|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 康寧殿 내진작시 大殿朝 侍座
+
|-
+
|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 康寧殿 야진찬시 大殿朝 侍座
+
|-
+
|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 康寧殿 翌日회작시 御座
+
|-
+
| 진작의궤(進爵儀軌)(1873) || 康寧殿 翌日야연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77) || 通明殿 翌日회작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77) || 通明殿 翌日야연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87) || 萬慶殿 翌日회작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92) || 勤政殿 외진찬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92) || 康寧殿 내진찬시 御座
+
|-
+
| 진찬의궤(進饌儀軌)(1892) || 야진찬시 御座
+
|-
+
|}
+
  
 
==Storytelling Network==
 
==Storytelling Network==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700A"></iframe>
 
<br/>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700A'">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Graph.py?account=edu&script=E0-700A.episode'">
 
</html>
 
  
==Reference==
+
{{NetworkGraph | title=S0-700.story}}
1.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 민속원.<br/>
+
 
2. 이성미, 「조선왕조 어진관계 도감의궤」,『조선시대어진관계 도감의궤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Metaverse 구현 예시==
 +
 
 +
[https://hubs.mozilla.com/6ekMTTQ/ksvc-201 Virtual Classroom: 왕과 함께한 일월오봉도]

2022년 3월 31일 (목) 06:38 판


Theme

왕과_함께한_일월오봉도

Synopsis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는 조선 시대 어좌의 뒷편에 놓였던 달과 해 그리고 다섯개의 산봉우리를 그린 병풍을 말한다. </br> 일월오봉도는 독창적인 회화양식으로 섬세한 묘사와 화려한 색상을 자랑한다.</br> 우리가 친숙하게 사극드라마에서 보던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는 언제부터 어디에 기록이 되어 있을까?</br> 2007년에 발행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만원권 지폐에도 일월오봉도가 배경으로 그려져 있는데, 과연 세종대왕은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를 알고 있었을까? </br>


Storyline

Episode 1: 권위의 상징

일월오봉도는 조선 왕실 회화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그림으로서 왕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한다. 특히나 왕의 일상생활이나 궁중의 각종 의례 및 행사 등에서 왕이 왕림하는 곳이라면 실내외를 막론하고 어좌(御座) 뒤에 일월오봉도를 배치하였다. 근정전, 인정전, 명정전, 중화전, 숭정전 등 도성 내의 다섯 개 궁궐의 정전(正殿)에는 반드시 이 그림이 설치됐다. 왕이 공식적인 업무를 보던 공간 외에도 '왕'을 상징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함께했다.

Episode 2: 왕의 행차

Episode 3: 오봉도속의 낙폭지

Episode 4: 태극기와의 만남

Episode 5: 세종대왕과의 인연

Storytelling Network


Metaverse 구현 예시

Virtual Classroom: 왕과 함께한 일월오봉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