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1 이효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효창공원 일원’ 디지털 큐레이션의 구성)
12번째 줄: 12번째 줄: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구역 || 공간  
+
! style="width 30%"; 구역 || style="width 70%"; 공간  
 
|-
 
|-
 
! rowspan="3"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효창공원_서쪽 효창공원 서쪽]
 
! rowspan="3" | [http://dh.aks.ac.kr/~my9univ/wiki/index.php/효창공원_서쪽 효창공원 서쪽]
60번째 줄: 60번째 줄: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2021년 6월 22일 (화) 16:21 판

‘효창공원 일원’ 디지털 큐레이션 [1]



‘효창공원 일원’ 디지털 큐레이션의 구성

2021년 1학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업의 일환으로 효창공원 일원에 관한 디지털 큐레이션을 제작하였다. 이 ‘효창공원 일원’디지털 큐레이션은 효창공원을 3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효창공원 내 7개의 공간에 대한 위키 페이지를 구성했으며, 이는 아래의 표와 같다.

style="width 30%"; 구역 style="width 70%"; 공간
효창공원 서쪽 백범김구 묘역
이봉창의사 상
반공투사 위령탑
효창공원 중앙 삼의사 묘역
의열사
효창공원 동쪽 임정요인 묘역
원효대사 상

또한 아래와 같이 효창공원 내 안장된 인물 8인에 대한 위키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디지털 큐레이션 방법은 전자지도, 사진, 동영상, VR,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 등을 이용하였으며, 장소감(물리적인 공간과 함께 그 장소에 깃든 문화적 사회적 의미가 함께 어우러져서 만들어 내는 감성)[3]을 구현하여 독자가 문맥 속에서 효창공원에 대한 인문지식을 파악하여 효창공원의 의미와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VR, 사진, 전자지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통한 장소감 구현

<자료1>과 같이 전자지도(Map)를 이용하여 효창공원의 지리적·공간적 특성을 시각화하여 효창공원이 삶의 터전 한 중간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지도를 통하여 효창공원과 그 공간들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지리적 특성 뿐 아니라 공간감(효창공원이 얼마나 큰 공간인지)과 지리감(각 공간이 어디에 위치하였는지)을 도모하였다.

<자료1> 전자지도를 통한 효창공원 일원의 시각화

그리고 <자료2>와 같이 각 구역별 위키페이지에는 효창공원의 VR을 구현하여 실제로 방문한 듯한 효과를 주어 장소감을 도모하였다. 해당 VR은 실제 동선을 고려하여 갈림길에서는 방문할 곳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몰입감을 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VR 내 8개의 공간에는 위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배치하여 클릭 시 해당 공간의 위키페이지로 이동하여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공간에 대한 위키페이지는 장소의 VR과 사진, 인물에 대한 주요 업적만을 간략하게 기재하는 대신, 인물 위키페이지를 생성하였다. [4]

인물의 위키페이지를 통한 인문학적 함의 구현

인물의 타임라인,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인문학의 구현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의의 및 가치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사회적 의의 및 가치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의 개인적 의의 및 가치

주석

  1. 기말 리포트를 축약하여 작성함.
  2. 안중근 의사의 묘는 유해를 아직 발굴하지 못하여 가묘이다.
  3. 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2012.12. 북코리아.
  4.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