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사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석)
(와사단)
1번째 줄: 1번째 줄:
 
=='''와사단'''==
 
=='''와사단'''==
::와사단(瓦斯緞)은 와사 silket 80번수의 쌍자(双子)로 평직으로 직조한 것에서 려와 같은 광택을 낸다.  백색, 또는 회색 무지염이 많고, 조선에서는 상급의 의류지에 속한다. 한단의 길이는 2장 9척, 폭은 9촌5분이 있다.<ref> 京城府(1925) 綿絲布ニ關スル調査(綿布ノ部). p.78.</ref> 기계방적사를 이용한 면직물로 비단같이 광택이 나게 만든 것으로 조선에서는 1920년대에 들어서 상류층의 의복지로 많이 소비되었으며, 이와 유사한 직물로는 동양목(東洋木)을 들 수 있다.<ref> 權泰檍(1988) 韓國近代의 綿業과 織物業.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 316.</ref>
+
::와사단(瓦斯緞)은 와사 silket 80번수의 쌍자(双子)로 평직으로 직조한 것에서 려와 같은 광택을 낸다.  백색, 또는 회색 무지염이 많고, 조선에서는 상급의 의류지에 속한다. 한단의 길이는 2장 9척, 폭은 9촌5분이 있다.<ref> 京城府, 『綿絲布ニ關スル調査(綿布ノ部)』, 1925, 78쪽. </ref> 기계방적사를 이용한 면직물로 비단같이 광택이 나게 만든 것으로 조선에서는 1920년대에 들어서 상류층의 의복지로 많이 소비되었으며, 이와 유사한 직물로는 동양목(東洋木)을 들 수 있다.<ref> 權泰檍,「韓國近代의 綿業과 織物業」,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88, 316쪽.</ref>
  
 
==주석==
 
==주석==

2020년 12월 1일 (화) 21:53 판

와사단

와사단(瓦斯緞)은 와사 silket 80번수의 쌍자(双子)로 평직으로 직조한 것에서 려와 같은 광택을 낸다. 백색, 또는 회색 무지염이 많고, 조선에서는 상급의 의류지에 속한다. 한단의 길이는 2장 9척, 폭은 9촌5분이 있다.[1] 기계방적사를 이용한 면직물로 비단같이 광택이 나게 만든 것으로 조선에서는 1920년대에 들어서 상류층의 의복지로 많이 소비되었으며, 이와 유사한 직물로는 동양목(東洋木)을 들 수 있다.[2]

주석

  1. 京城府, 『綿絲布ニ關スル調査(綿布ノ部)』, 1925, 78쪽.
  2. 權泰檍,「韓國近代의 綿業과 織物業」,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88, 3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