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수 복식2020단국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Kimyeonjoo (토론 | 기여) (새 문서: <big>'''자수'''</big> =='''정의'''== =='''내용'''== =='''지식관계망'''== =='''주석'''== =='''참고문헌'''==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 |
Kimyeonjoo (토론 | 기여)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
+ | ====자수 기법==== | ||
+ | |||
+ | <table style="background-color: #FFFFFF; margin: 0; border: 1px solid #DEDED3; padding: 7px 7px 0px 7px; border-radius:5px"> | ||
+ | <tr valign="top"> | ||
+ | <td colspan="2">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전통 자수 기법 종류</td> | ||
+ | <td width=260px>평수</td> | ||
+ | <td width=260px>이음수</td> | ||
+ | <td width=260px>가름수</td> | ||
+ | <td width=260px>자련수</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style="background-color:#fff0f5;">기법 형태</td> | ||
+ | <td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평수.jpg|평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8쪽.</ref></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이음수.jpg|이음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가름수.jpg|가름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자련수.jpg|자련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
+ | </tr> | ||
+ | <tr > | ||
+ | <td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color:#fffaf0;">기법 설명</td> | ||
+ | <td> 사선, 수직, 수평방향으로 문양의 면을 실로 메우는 기법. 실과 실이 겹치거나 틈새가 없어야 하며, 넓은 면을 메울 떄는 수실이 뜨지 않도록 가는 실로 눌러준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d> 일정 길이의 땀수를 연속적으로 이어 선을 표현하는 기법. 바늘땀을 일정하게 겹쳐서 선을 이어 직선 또는 곡선을 표현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d> 좌우 대칭으로 문양의 안쪽을 향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한 면씩 메워 완성하는 기법. 주로 나뭇잎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d> 바늘땀을 불규칙적으로 길고 짧게 뜨면서 면을 메우는 기법. 색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표현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꽃잎이나 나뭇잎, 구름 등의 표현에 이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r> | ||
+ | </table> | ||
+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전통 자수 기법 종류</td> | ||
+ | <td width=260px>자릿수</td> | ||
+ | <td width=260px>매듭수</td> | ||
+ | <td width=260px>징금수</td> | ||
+ | <td width=260px>새털수</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style="background-color:#fff0f5;">기법 형태</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자릿수.jpg|자릿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매듭수.jpg|매듭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징금수.jpg|징금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새털수.jpg|새털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
+ | </tr> | ||
+ | <tr > | ||
+ | <td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color:#fffaf0">기법 설명</td> | ||
+ | <td> 땀의 간격과 방향을 일정하게 반복해 돗자리의 결처럼 촘촘하게 표현하는 기법. 각각의 자수열이 서로 맞물려 연결된 형태로 수놓아지며, 넓은 면을 메울 때 주로 사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d> 바늘에 실을 감아서 놓는 기법. 감는 실의 횟수나 굵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작은 점을 입체감 있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꽃의 씨앗, 동물의 눈동자 등에 사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d> 금사와 은사 등 금속성의 실이나 굵은 실과 면적이 있는 띠를 천 위에 고정시켜주는 기법. 실을 천 위에 놓고 문양을 만든 후 고른 간격의 땀으로 징그거나 고정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8"/></td> | ||
+ | <td> 동물이나 새의 부드러운 털을 표현하는 기법. 평수나 자련수로 표현된 새의 몸 안에 깃털 방향으로 결이 '팔八'자형이 되도록 수를 놓는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
+ | </tr> | ||
+ | </table> | ||
+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전통 자수 기법 종류</td> | ||
+ | <td width=260px> 솔잎수</td> | ||
+ | <td width=260px>선수</td> | ||
+ | <td width=260px>속수</td> | ||
+ | <td width=260px>납사수</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style="background-color:#fff0f5">기법 형태</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솔잎수.jpg|솔잎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9쪽.</ref></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선수.jpg|선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속수.jpg|속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
+ | <td><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납사수.jpg|납사수.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 /></gallery ></td> | ||
+ | </tr> | ||
+ | <tr > | ||
+ | <td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color:#fffaf0">기법 설명</td> | ||
+ | <td> 선수의 변현된 형태로 소나무 잎을 수놓을 때 쓰이는 기법. 솔잎의 사실적인 효과를 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
+ | <td> 겹치는 부분 없이 실을 잇지 않고 한 번에 선으로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 수를 놓는 각도나 길이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
+ | <td>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겉수의 밑에 수를 놓거나 심을 넣어 양감을 나타내는 기법. 속수의 방향은 겉수의 반대 방향으로 놓는다. 심의 재료는 솜, 실, 종이, 창호지 등을 사용한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
+ | <td> 올이 성긴 직물 전면에 짧은 땀의 수를 놓아 마름모꼴의 연속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 직조와 같은 느낌이 나며, 땀의 길이와 수놓는 방법에 따라 문양이 결정된다. 중국 명·청대에 유행한 기법으로 조선시대 흉배 바탕에도 보인다.<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229"/></td> | ||
+ | </tr> | ||
+ | </table> | ||
+ | </table> | ||
+ | |||
+ | ====자수 문양 의미==== | ||
+ | <table style="background-color: #FFFFFF; margin: 0; border: 1px solid #DEDED3; padding: 7px 7px 0px 7px; border-radius:5px"> | ||
+ | <tr valign="top"> | ||
+ | <td colspan="2">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자수<br>종류</td> | ||
+ | <td width=260px>용</td> | ||
+ | <td width=260px>거북</td> | ||
+ | <td width=260px>기린</td> | ||
+ | <td width=260px>해태</td> | ||
+ | <td width=260px>봉황</td> | ||
+ | <td width=260px>불노초</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문양<br>형태</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의미</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r> | ||
+ | </table>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자수<br>종류</td> | ||
+ | <td width=260px>조문</td> | ||
+ | <td width=260px>분미문</td> | ||
+ | <td width=260px>보문</td> | ||
+ | <td width=260px>불문</td> | ||
+ | <td width=260px>적문</td> | ||
+ | <td width=260px>이화문</td> | ||
+ | <td width=260px>원앙</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문양<br>형태</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의미</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r> | ||
+ | </table>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자수<br>종류</td> | ||
+ | <td width=260px>구름</td> | ||
+ | <td width=260px>학</td> | ||
+ | <td width=260px>연꽃</td> | ||
+ | <td width=260px>목련</td> | ||
+ | <td width=260px>모란</td> | ||
+ | <td width=260px>석류</td> | ||
+ | <td width=260px>화초문</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문양<br>형태</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의미</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d width=260px>zzz</td> | ||
+ | </tr> | ||
+ | </table> | ||
+ | </table> | ||
+ | |||
+ | ====복식 속 자수==== | ||
+ | <table style="background-color: #FFFFFF; margin: 0; border: 1px solid #DEDED3; padding: 7px 7px 0px 7px; border-radius:5px"> | ||
+ | <tr valign="top"> | ||
+ | <td colspan="2"> | ||
+ | <table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tr style="background-color:#f5f5dc; 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자수 형태</td> | ||
+ | <td width=260px>종류</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0f5;">[[흉배]]</td> | ||
+ | <td width=1000px>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50px> | ||
+ | 파일:기린 흉배.jpg|기린 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ref> | ||
+ | 파일:쌍호흉배.jpg|쌍호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ref> | ||
+ | 파일:쌍학 흉배.jpg|쌍학 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63">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3쪽.</ref> | ||
+ | 파일:단학흉배.jpg|단학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63"/> | ||
+ | 파일:운안흉배.jpg|운안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ref> | ||
+ | 파일:숙선옹주 봉황흉배.jpg|숙선옹주 봉황흉배.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ref> | ||
+ | </gallery ></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ffaf0;">[[보]]</td> | ||
+ | <td width=260px><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영친왕비 적의 오조룡보.jpg|영친왕비 적의 오조룡보.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ref></gallery ></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e6e6fa;">[[폐슬]]</td> | ||
+ | <td width=260px><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80px>파일:영친왕비 폐슬.jpg|영친왕비 폐슬. <ref name="국립고궁박물관_페이지">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소장.</ref></gallery > | ||
+ | |||
+ | </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5deb3;">[[후수]]</td> | ||
+ | <td width=260px>xxx</td> | ||
+ | </tr> | ||
+ | <tr style="text-align:center;"> | ||
+ | <td width="80px" style="background-color:#f5deb3;">[[aaa]]</td> | ||
+ | <td width=260px>xxx</td> | ||
+ | </tr> | ||
+ | </table> | ||
+ | </table>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주석'''==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20년 11월 21일 (토) 21:18 판
자수
정의
내용
자수 기법
|
자수 문양 의미
|
복식 속 자수
|
지식관계망
주석
-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8쪽.
-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229쪽.
-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58쪽.
-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4쪽.
- ↑ 5.0 5.1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3쪽.
-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60쪽.
-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4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아름다운 궁중 자수』, 안그라픽스 미디어사업부, 2013, 31쪽.
- ↑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