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소개)
29번째 줄: 29번째 줄:
 
|-
 
|-
 
| 백관의 상복 || 단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상복 || 단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무청 관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부 관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복설 경무청 관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무청 복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부 복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복설 경무청 복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
 
|-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2020년 11월 4일 (수) 17:03 판

초상화:하연
초상화:하연부인


개요

하연(河演)부부는 여말선초를 살다 간 인물들로, 하연부부의 셋째 아들 하우명(河友明)은 부모가 돌아가신 뒤 초상화를 직접 그려 세조 13년(1467) 영당(影堂)에 봉안하였다. 이후 시대를 거듭하며 후손들에 의해 여러 이모본(移模本)이 제작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본 1점, 무주 백산서원본 1점, 일본 덴리(天理)대학교 도서관 소장 초상화첩 1점, 합천 타진당본 1점, 청원 우록영당본 1점 등이 전해지고 있다.[1] 조선후기에 제작된 이모본이기는 하지만 원본을 가장 충실히 반영했다고 평가받는 무주 백산서원본을 가지고 조선초기 백관과 외명부의 복식을 분석해본다.

내용

인물소개

하연(河演, 1376~1453)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세종대에 황희(黃喜)를 이어 영의정을 지낸 조선초기 문신이다. 하연의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1380~1465)는 고려 말 문인 이조년(李兆年)의 5대 손녀로, 조선시대 정일품 부인에게 내려지던 ‘정경부인(貞敬夫人)’이라는 작호(爵號)를 받았다.

하연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백관 복식

하연이 착용하고 있는 사모, 단령, 품대, 에 대해 『高麗史』, 『朝鮮王朝實錄』, 『樂學軌範』, 『經國大典』, 『大明會典』 등 문헌자료와 동시대 백관의 초상화,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하연부인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외명부 복식

하연부인이 착용하고 있는 , 칠보잠, 번령장삼에 대해 『朝鮮王朝實錄』, 『樂學軌範』 등 문헌자료와 회화자료, 출토유물 및 전세유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하연부부 초상화의 가치와 의의

유교사상으로 인해 내외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부부초상화는 조선중기부터 사라지게된다. 당시 사회의 풍토 속에서 사대부 부인의 초상을 화가가 직접 보고 그리는 것은 매우 불경한 일이었을 것이다. 후대의 사대부 여인상은 강세황(姜世晃) 필 <복천오부인 영정>과 같은 노령의 모습만 남이 있는 실정이다.[2] 그러므로 하연부부 초상화는 조선초기 남녀복식을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시대에 따라 모양과 색이 그대로 유지되는 복식이 있고, 변해가는 복식이 있으며, 신분이나 착용 상황을 달리하는 복식도 있으나, 변하고 달라진다고 해서 전통(傳統)이 아닌 것은 아니다. 하연부부 초상화는 전통복식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의 상복 사모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단령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무청 관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부 관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복설 경무청 관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무청 복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경부 복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대한제국기 의례 반차도의 서구식 경찰 제복 복설 경무청 복제 A는 B를 포함한다 dcterms:hasPart
백관의 상복 품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외명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칠보잠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번령장삼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경국대전』 백관의 상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칠보잠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번령장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주석

  1. 『敬齋先生文集』에 하연부부 초상화의 이모와 봉안 현황이 시대별로 기록되어 있다.
  2. 이원진, "하연 부부 초상",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317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