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전통 복식의 형태적 요소==
 
 
  의복의 형태에서 구성선이나 장식적인 요소를 볼 수 있는데, 이를 전통 복식에 구성되는 형태적 요소로 정의해보고자 한다.
 
  의복의 형태에서 구성선이나 장식적인 요소를 볼 수 있는데, 이를 전통 복식에 구성되는 형태적 요소로 정의해보고자 한다.
 
==전통 의복 장식의 구분==
 
 
  일반적으로 의복의 장식은 크게 디테일과 트리밍으로 구분되며, 전통 의복 디자인의 범주 안에서 디테일과 트리밍으로 구분해보았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장식은 크게 디테일과 트리밍으로 구분되며, 전통 의복 디자인의 범주 안에서 디테일과 트리밍으로 구분해보았다.
 
 
  디테일은 옷을 꾸미는 역할이자 의복을 만드는 봉제 과정에서 천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식을 말한다. 디테일은 깃, 소매와 같이 구조적 디테일과 주름, 상침, 누빔과 같은 장식적 디테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디테일은 옷을 꾸미는 역할이자 의복을 만드는 봉제 과정에서 천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식을 말한다. 디테일은 깃, 소매와 같이 구조적 디테일과 주름, 상침, 누빔과 같은 장식적 디테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트리밍은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장식으로, 단추, 털, 자수 등이 이에 해당된다.
 
  트리밍은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장식으로, 단추, 털, 자수 등이 이에 해당된다.

2020년 9월 23일 (수) 14:53 판

의복의 형태에서 구성선이나 장식적인 요소를 볼 수 있는데, 이를 전통 복식에 구성되는 형태적 요소로 정의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장식은 크게 디테일과 트리밍으로 구분되며, 전통 의복 디자인의 범주 안에서 디테일과 트리밍으로 구분해보았다.
디테일은 옷을 꾸미는 역할이자 의복을 만드는 봉제 과정에서 천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식을 말한다. 디테일은 깃, 소매와 같이 구조적 디테일과 주름, 상침, 누빔과 같은 장식적 디테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트리밍은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장식으로, 단추, 털, 자수 등이 이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