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관왕묘 큐레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0번째 줄: 10번째 줄:
 
조선에 관왕묘가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시기였다. 참전을 위해 조선 경내로 들어온 명나라 장수들은 무운을 빌기 위해 자비를 들여 관우의 사당을 건립하였고, 조선 조정에 직접 인력과 물자를 들여 관왕묘를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중국에서 관우는 무인의 표상 같은 존재로 여겨져 숭배됐을 뿐 아니라 그의 충성심을 높이 산 정치가들의 의미 부여로 왕호와 제호까지 수여된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관우를 역사 속의 일개 무장으로만 인식하고 있던 조선의 지식인들은 이러한 종교적인 관우 숭배를 접하고 다소 당혹해하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조선에 관왕묘가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시기였다. 참전을 위해 조선 경내로 들어온 명나라 장수들은 무운을 빌기 위해 자비를 들여 관우의 사당을 건립하였고, 조선 조정에 직접 인력과 물자를 들여 관왕묘를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중국에서 관우는 무인의 표상 같은 존재로 여겨져 숭배됐을 뿐 아니라 그의 충성심을 높이 산 정치가들의 의미 부여로 왕호와 제호까지 수여된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관우를 역사 속의 일개 무장으로만 인식하고 있던 조선의 지식인들은 이러한 종교적인 관우 숭배를 접하고 다소 당혹해하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
<pre>
 
"내가 왕년에 연도(燕都)에 갈 때, 요동으로부터 연경까지 수천 리에 이르는 사이에 유명한 성이나 큰 읍과 여염이 번성한 곳에는 모두 묘우(廟宇)를 세워 한의 장군 수정후(壽亭侯) 관공(關公)을 제사하고 인가에도 사사로 화상을 설치하여 벽에 걸어 두고 향을 피우며 음식이 있으면 반드시 제사하는 것이었다. 무릇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기도하고, 새로 부임하는 관리는 목욕재계하고 관왕묘에 나가 알현하는데 심히 엄숙하고 경건하였다. 내가 이상히 여겨 어떤 사람에게 물었더니, 북방뿐 아니라 곳곳마다 이같이 하니 천하가 다 똑같다고 하였다."
 
"내가 왕년에 연도(燕都)에 갈 때, 요동으로부터 연경까지 수천 리에 이르는 사이에 유명한 성이나 큰 읍과 여염이 번성한 곳에는 모두 묘우(廟宇)를 세워 한의 장군 수정후(壽亭侯) 관공(關公)을 제사하고 인가에도 사사로 화상을 설치하여 벽에 걸어 두고 향을 피우며 음식이 있으면 반드시 제사하는 것이었다. 무릇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기도하고, 새로 부임하는 관리는 목욕재계하고 관왕묘에 나가 알현하는데 심히 엄숙하고 경건하였다. 내가 이상히 여겨 어떤 사람에게 물었더니, 북방뿐 아니라 곳곳마다 이같이 하니 천하가 다 똑같다고 하였다."
-서애선생문집 16권, 잡저(雜著), 기관왕묘(記關王廟).
+
-서애선생문집 16권, 잡저(雜著), 기관왕묘(記關王廟).
 +
</pre>
  
 
==관왕묘 제의와 인식 변화==
 
==관왕묘 제의와 인식 변화==

2020년 6월 20일 (토) 14:23 판

네트워크 그래프


개요

관왕묘는 본래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 측의 영향을 받아 건설되어 조선의 국왕이 제사를 지내도록 강요받은 역사를 지니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관우와 관왕묘에 우호적으로 변해간 국왕들의 태도와 민간의 관우신앙 등이 겹쳐 적잖은 인식의 변천을 겪었다. 근대에는 관성교(關聖敎)라는 민간 종교단체의 숭배 대상이 되기도 하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대표적인 관왕묘 중 하나였던 동묘가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어 유적 및 문화관광지로 보존되고 있다.

이 큐레이션은 국내에 건립된 관왕묘의 역사적 배경과 변천을 정리하고, 이에 얽힌 인물 및 문헌 자료들을 일괄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위키 페이지에 관왕묘 인식의 변천사를 간략히 작성하고,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들어 관왕묘와 그 주변에 얽힌 개체 정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시각화 자료로 만드는 작업을 시도했다. 관왕묘에 얽힌 역사적, 문화적 지식의 습득을 희망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는 초보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관왕묘의 건립 배경

조선에 관왕묘가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시기였다. 참전을 위해 조선 경내로 들어온 명나라 장수들은 무운을 빌기 위해 자비를 들여 관우의 사당을 건립하였고, 조선 조정에 직접 인력과 물자를 들여 관왕묘를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중국에서 관우는 무인의 표상 같은 존재로 여겨져 숭배됐을 뿐 아니라 그의 충성심을 높이 산 정치가들의 의미 부여로 왕호와 제호까지 수여된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관우를 역사 속의 일개 무장으로만 인식하고 있던 조선의 지식인들은 이러한 종교적인 관우 숭배를 접하고 다소 당혹해하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내가 왕년에 연도(燕都)에 갈 때, 요동으로부터 연경까지 수천 리에 이르는 사이에 유명한 성이나 큰 읍과 여염이 번성한 곳에는 모두 묘우(廟宇)를 세워 한의 장군 수정후(壽亭侯) 관공(關公)을 제사하고 인가에도 사사로 화상을 설치하여 벽에 걸어 두고 향을 피우며 음식이 있으면 반드시 제사하는 것이었다. 무릇 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기도하고, 새로 부임하는 관리는 목욕재계하고 관왕묘에 나가 알현하는데 심히 엄숙하고 경건하였다. 내가 이상히 여겨 어떤 사람에게 물었더니, 북방뿐 아니라 곳곳마다 이같이 하니 천하가 다 똑같다고 하였다."
 -서애선생문집 16권, 잡저(雜著), 기관왕묘(記關王廟).

관왕묘 제의와 인식 변화

고종 시대의 관왕묘와 관왕묘의식(關王廟儀式)

현대 관왕묘 문화유적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