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소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지금은 기후위기가 코앞으로 도래한 시대이다. 그러나 안쓸수도 없는 노릇이니 환경에 비교적 부담이 덜 되는 생활용품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소개하려 한다.
+
 
===플라스틱의 환경 유해성===
+
석유화학 공업의 발달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한 합성수지는 천연소재와 비교할 때 가공성, 경제성, 강도, 미생물 저항성,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가볍 기 때문에 사용분야와 규모가 날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용되고 버려지는 폐합성수지는 무게에 비해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매립 시 거의 분해가 되지 않으며 소각 시에는 중금속이나 다이옥신 같은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폐합성수지 최종 처리는 사회적,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2004년 기준 우리나라의 경우 합성수지 폐기물 발생량이 전체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32%를 차지하고 있 어, 수집, 운반, 그리고 최종처리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환경부, 2005). 전 세계적으로 폐합성수지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 수지 사용에 대한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국내 경우도 1회용 봉투 사용제한 및 유상판매, 1회용 합성수지 제품 사용금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 사 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크게 향상됨 에 따라 폐합성수지로 인한 환경오염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합성수지 재 활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로는 폐합성수지로 인 한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히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난분해성 합성수지 - 4 - 폐기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질적 감량화 정책의 일환으로 합성 수지의 특성(강도, 내수성, 성형가공성, 내열성 우수)을 유지하면서도 미생 물(박테리아, 곰팡이 등)에 의해 자연 분해 될 수 있는 생분해성 합성수지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규제하는 교토의정서의 틀 안에서 각 국가들은 이산화탄소를 절감하면서 현재 화학기반 플라스틱 사업의 주요 정책적 대안으로 지속 발전시키는 국내·외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핵심 기술 개발 동향 및 선진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기술 개발 추진 방향을 제시
+
스페인 남부 므르시아 해변에서 죽은 항고래의 뱃속에서 플라스틱이 무려 115개 약 29kg,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9일 전북 부안 앞바다에서 잡힌 아귀 뱃속에서 20cm 크기 플라스틱 생수병이 나오는 상황으로 우리나라의 국민 1인당 플라스틱 연간 사용량은 2016년 기준 98.2Kg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포장 폐기물의 경우도 2017년 기준 64.12kg으로 세계 2위를 차지함 전세계 수돗물 81%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었고, 미세플라스틱은 대부분 PE로 만들어진 일회용 비닐 봉지로, 전세계 비닐봉지의 7%만 재활용되고, 78% 정도는 버려지게 되고, 그중의 90%는 바다로 흘러들고 있는 상황임 EU에서는 년간 2580만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되고, 재활용율은 30% 수준 으로, EU 의회에서는 2021년까지 빨대·면 봉·접시·포크 등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재생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고, 2025년부터는 플라스틱병의 90%를 재활용 하는 것으로 가결됨
+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활스타일의 변화나 리사이클의 추진, 소각, 매립 등 폐플라스틱 처리기술의 개량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소재 측면에서도 지구 환경에 부담을 덜 주기 위하여 사후 처리가 쉬운 소재의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소재 국가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실용화 및 의무화의 압력이 거세지면서 플라스틱의 가공성, 내구성,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면서도 추가로 분해성이라는 기능을 부여한 포장용품, 플라스틱 병 등의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실용화로 플라스틱의 편리성과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필름(쇼핑백, 위생용품, 쓰레기봉투, 비닐장갑, 일반포장용, 농업용, 종이라미레이션, 완구/문구, 유아용품, 일회용품 등), 사출성형(의료·스포츠 용품, 화장품 용기, 사무용품, 세제용기, 일용잡화, 음료수병 등), 중공성형(샴푸병, 세제병, 화공약품병, 음료수병 등), 시트 및 진공성형(상품내·외부 포장재, 일회용 컵, 발포시트 등)을 이용하여 여러 소비재 또는 산업용 분야 등에 사용될 수 있음. 특히, 플라스틱 생산량과 소비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버려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관리 문제가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총 플라스틱 생산량의 가장 큰 몫인 26%를 차지하고 있는 포장재는 14%만이 재사용/재활용되고 있고 있는 상황이며, 14%는 소각, 나머지는 매립 또는 관리할 수 없는 형태로 유실되고 있음. 매립의 경우 충분한 매립지 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매립 이후 자연계에서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는 플라스틱의 성질로 인해 플라스틱 쓰레기가 썩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어려움이 있으며, 플라스틱을 소각할 때에는 다이옥신 및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 발생으로 인해 또 다른 오염을 초래하기도 하며, 소각 이후 남아있는 잔류물의 처리 또한 문제가 되고 있음
+
일상생활에서 우리들은 일회용 물병과 같은 식품 용기·포장재, 장난감 등의 플라스틱을 직접 접하고 있으며, 건축, 자동차, 가전제품, 접착제, 가구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도 플라스틱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전 세계적으로 1년에 생산되는 플라스틱의 수량은 3억 톤을 넘어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곧 5억 톤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어, 이를 환산하 면 2014년 한 해 동안 생산된 전 세계 플라스틱 무게는 코뿔소 수억 마리에 해당하는 무게와 비슷하고 1950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된 플라스틱의 누적된 무게는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1만 8천 개의 무게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됨
+
===생분해성 소재===
+
===생분해성 소재 제품들===
+
===기타. 남은 플라스틱, 혹은 다른 환경유해물질(이산화 탄소, 메테인)은?===
+
ㄴ 대책연구 소개.
+

2020년 5월 5일 (화) 03:01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