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정송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과 유적을 주제로 한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ref>본 프로젝트에서는 디지털 큐레이션의 대상을 유물과 유적으로 한정지었는데, 연구대상에 대한 범위 제한이 없을 경우 광범위한 범위로 인하여 연구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기법의 콘텐츠 제작보다는 기존의 사례를 조사하고 기본적인 기법을 활용하는데 의의를 둔다.</ref>==
+
==유물과 유적을 주제로 한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ref><small>본 프로젝트에서는 디지털 큐레이션의 대상을 유물과 유적으로 한정지었는데, 연구대상에 대한 범위 제한이 없을 경우 광범위한 범위로 인하여 연구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기법의 콘텐츠 제작보다는 기존의 사례를 조사하고 기본적인 기법을 활용하는데 의의를 둔다.</small></ref>==
 
===1.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의 정의===  
 
===1.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의 정의===  
:2004년에 영국에서 설립된 The Digital Curation Centre(DCC)에서 언급한 디지털 큐레이션의 정의를 참고하면<br />[http://www.dcc.ac.uk/digital-curation/what-digital-curation 디지털 큐레이션의 생애주기]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의 이용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디지털 정보/자료를 유지하고<br />보존하며 가치를 부여하는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
:2004년에 영국에서 설립된 The Digital Curation Centre(DCC)에서 언급한 디지털 큐레이션의 정의를 참고하면<br />[http://www.dcc.ac.uk/digital-curation/what-digital-curation 디지털 큐레이션의 생애주기]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의 이용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디지털 정보•자료를 유지하고<br />보존하며 가치를 부여하는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디지털 큐레이션의 분류===
+
===2. 디지털 큐레이션의 분류<ref><small>전반적인 흐름과 구성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보다 많은 자료를 수집할 필요하다. 현재 분류에 대해선 수정 가능성이 높다</small></ref>===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분류 ||특징 || 사례  
 
!분류 ||특징 || 사례  
 
|-
 
|-
|디지털 아카이브||<pre>
+
|디지털 아카이브||
• 유물, 유적과 관련된 모든 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보존•보호
+
* 소장품과 그와 관련된 모든 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보존•보호•수집•관리
• 자료에 대한 각 전문분야의 연구자들과 일반인들의 접근성 용이
+
 
여러 박물관, 미술관에서 시행하고 있음(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는 유물관리시스템을
+
* 검색 시스템을 통한 소장품 정보 제공
</pre>
+
 
||<pre>구글
+
* 여러 박물관•미술관에서 시행하고 있음<small>(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는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을
네이버
+
무료로 배포하여 국공립 외의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small>  
국립중앙박물관
+
 
국립문화재연구소</pre>
+
||
 +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
 
 +
[https://collections.vam.ac.uk/ 영국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collectionList###### 국립중앙박물관]
 +
 
 +
[http://portal.nrich.go.kr/kor/originalUsrTotalList.do?menuIdx=1046 국립문화재연구소]
 
|-
 
|-
 
|가상현실(VR)을 통한 전시
 
|가상현실(VR)을 통한 전시
||<pre>•
+
||*
</pre>
+
|<pre>국립중앙박물관  
+
| [http://www.museum.go.kr/site/main/content/vr_museum 국립중앙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pre>
+
 
 +
한성백제박물관
 +
 
 
|-
 
|-
 
||온라인 가상전시관
 
||온라인 가상전시관
||
+
||네트워크 협업 및 정보의 공유를 통한 정보의 확장
|
+
가장 기본적인 검색 서비스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가상전시를 구성하고 있음
 +
|유로피아나
 +
가상명품박물관
 
|}
 
|}
 
===3. 실제 유물•유적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3. 실제 유물•유적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2020년 3월 8일 (일) 03:27 판

유물과 유적을 주제로 한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 [1]

1.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의 정의

2004년에 영국에서 설립된 The Digital Curation Centre(DCC)에서 언급한 디지털 큐레이션의 정의를 참고하면
디지털 큐레이션의 생애주기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의 이용을 위해서 신뢰할 만한 디지털 정보•자료를 유지하고
보존하며 가치를 부여하는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디지털 큐레이션의 분류[2]

분류 특징 사례
디지털 아카이브
  • 소장품과 그와 관련된 모든 자료들을 디지털화하여 보존•보호•수집•관리
  • 검색 시스템을 통한 소장품 정보 제공
  • 여러 박물관•미술관에서 시행하고 있음(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는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을

무료로 배포하여 국공립 외의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영국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가상현실(VR)을 통한 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온라인 가상전시관 네트워크 협업 및 정보의 공유를 통한 정보의 확장

가장 기본적인 검색 서비스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가상전시를 구성하고 있음

유로피아나

가상명품박물관

3. 실제 유물•유적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대상: <원행을묘정리의궤첩園幸乙卯整理儀軌>중 제1면 '화성행궁도'로 살펴 본 18세기의 다양한 측면

분류 내용 참고자료 결과물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온톨로지 설계 가이드라인

향후 추가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향후 추가
전자지도 나의 전자지도 제작 방법 향후 추가
가상전시관 파빌리온 제작 방법 향후 추가


주석

  1. 본 프로젝트에서는 디지털 큐레이션의 대상을 유물과 유적으로 한정지었는데, 연구대상에 대한 범위 제한이 없을 경우 광범위한 범위로 인하여 연구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새로운 기법의 콘텐츠 제작보다는 기존의 사례를 조사하고 기본적인 기법을 활용하는데 의의를 둔다.
  2. 전반적인 흐름과 구성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보다 많은 자료를 수집할 필요하다. 현재 분류에 대해선 수정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