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신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미)
(설화)
9번째 줄: 9번째 줄:
  
 
===설화===
 
===설화===
 +
====처용설화====
 +
[[처용]]은 한국 민간 전승과 무속 신앙에서 신의 하나이다.
 +
 +
유명한 처용 설화는, 처용이 외부에 출타중인 사이 [[역신]](疫神: 질병을 전파하는 신)이 처용인 척 처용의 처를 속여 처용의 아내와 동침하였다. 처용은 이를 발견하였으나 분노하지 않고 [[향가]]인〈[[처용가]]〉를 노래 부르며 춤을 추었다. 이에 그의 인품에 감격한 [[역신]]은 처용이 있는 곳은 다시는 나타나지 않겠다는 약조를 하고 사라진다고 한다.
 +
 +
때문에 고려시대 이후 새해 초나 질병이 돌 때 문 앞에 처용의 얼굴을 한 그림을 그려서 붙이면 질병이 전파되지 않는다 믿었다.
  
 
===욕===
 
===욕===

2019년 6월 12일 (수) 04:33 판

제작 의도

한국 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라면 어느정도 무속신앙은 모두 갖고 있다. 서양이라고 해도 다를 것은 없다. 영혼을 믿고 영혼이 화내면 달래주는 모든 모습이 무속신앙의 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어디에도 있으나 어디에도 없기도 한 무속신앙이 한국에서는 어떤 양상을 띄고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제작 되었다.

의미

한국에서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무속(巫俗), 무교(巫敎),무(巫)라고 하는데, 이들은 고유의 관점이 존재하는 말들이다. 무속은 불교학자 이능화가 샤머니즘을 전통적인 관습으로 이해하여 처음 사용한 말이며, 지금은 국문학자들과 민속학자들이 즐겨 사용하고 있다. 무교는 개신교 신학자 유동식이 처음 사용한 단어이며, 샤머니즘기독교, 불교, 이슬람처럼 독립된 종교로 존중하는 중립적 입장의 종교학자들이 사용한다. 무(巫)는 인류학자 조흥윤이 사용한 말이며, 한국의 샤머니즘을 독특한 개성을 가진 전통으로 존중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1]

관련된 것

설화

처용설화

처용은 한국 민간 전승과 무속 신앙에서 신의 하나이다.

유명한 처용 설화는, 처용이 외부에 출타중인 사이 역신(疫神: 질병을 전파하는 신)이 처용인 척 처용의 처를 속여 처용의 아내와 동침하였다. 처용은 이를 발견하였으나 분노하지 않고 향가인〈처용가〉를 노래 부르며 춤을 추었다. 이에 그의 인품에 감격한 역신은 처용이 있는 곳은 다시는 나타나지 않겠다는 약조를 하고 사라진다고 한다.

때문에 고려시대 이후 새해 초나 질병이 돌 때 문 앞에 처용의 얼굴을 한 그림을 그려서 붙이면 질병이 전파되지 않는다 믿었다.

역사

멀티미디어

주석

  1. 《프리칭아카데미》2008년 4월호, 한국 교회와 샤머니즘: 이해와 오해 사이에서, 이길용, 프리칭아카데미.